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땃딸기

호남인1 2015. 1. 10. 22:05

 

 

 

 

 

땃딸기

학명: Fragaria yezoensis H.Hara

 

 

 

 

 

 

이명: /영명: /꽃말: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딸기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러시아극동부 /서식: /크기:

생약명:

 

다년생초본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온몸에 털이 있고 기는줄기를 뻗어 번식하며, 잎은 세 쪽씩 붙은 겹잎인데 잎자루가 길고 달걀 모양이다. 8~9월에 흰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산지(山地)에 나는데 강원, 평남, 평북, 함남, 함북 등지에 분포한다. [비슷한 말] 초매4. (Fragaria yezoensis)(草苺)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땃딸기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0951&mn=KFS_28_01_02_01

 

 

 

 

-------------------------------------------------------------

근생엽은 총생하며 3출복엽이고 길이 5-18cm로서 엽병이 있다. 정소엽은 사각상 도란형이며 원두 설저이고 길이 2-5cm, 폭 1-4cm이며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표면은 녹색이고 견모가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와 뒷면은 견모가 밀생하고 뒷면은 회백색이며 엽병에 옆으로 퍼진 털이 있다. 

 

열매는 타원형이며 육질이고 붉게 익는다. 수과는 뚜렷하지 않은 1-2개의 맥이 있으며 지름 0.5mm의 난형이다. 

 

꽃은 지름 1.5-2cm로서 백색이며 화경(花莖)은 8-9월에 높이 15cm정도 자라고 소화경에 퍼진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난상 피침형이며 예두이고 녹색으로서 털이 있다. 부악편과 꽃잎은 각 5개이고 꽃잎은 희고 둥글다. 수술과 암술은 많다. 

가지가 지면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한국, 중국, 러시아극동부에 분포한다. 

화경(花莖)은 높이 15cm 정도로 자란다. 

산비탈 양지바른 풀밭, 관목림에서 자란다. 

광선: 양생 

 

포복지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번식한다. 

▶밀원식물이며 열매는 식용한다.

▶전초를 설사, 이질, 기침, 눈병, 덜익은 열매를 신결석, 열매즙을 습진에 쓴다. 

▶흰땃딸기와 비슷하지만 소화경의 털이 옆으로 퍼지고 가지가 지면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는 것이 다르다. 

 

 

 

 

 

=============================================================================================================================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땃딸기

 

 

학명: Fragaria nipponica Makino var. yezoensis (Hara) Kitamura

개화시기: 8월~9월

분포지: 한국, 일본

 

일반적특징

다년초로 전체에 털이 많으며 포복지가 지면으로 벋으면서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3출 복엽이며 정소엽은 도란형, 측소엽은 일그러진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치아상 톱니가 있으며 표면에 견모가 약간 있고 가장자리와 뒷면에 견모가 밀생하며 엽병에 옆으로 퍼진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백색으로 피고 15㎝ 정도의 화경에 3~6개의 꽃이 달리며 소화경에 옆으로 퍼지는 털이 있다. 꽃받침 조각은 난상 피침형, 부악편은 피침형, 꽃잎은 도란형으로 각각 5개이고 수술과 암술은 많다. 화탁이 타원형으로 육질화되고 붉게 익으며 수과가 들어 있다.

 

본품은 흰땃딸기에 비해 전체가 약간 크고 소엽은 3~7㎝이며 화경에 3~6개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에 옆으로 퍼지는 털이 있다. 만주의 Fragaria concolor Kitagawa와의 관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생태적특징

산지에 난다. 강원 이북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이우철, 1996.11.15, 아카데미서적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초록뫼/송종문님. lailaps/경희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아이디카님,

 

 

 

=============================================================================================================================

바로가기

 

장미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딸기 | 식물도감(植物圖鑑)

땃딸기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목속  (0) 2015.01.11
마가목  (0) 2015.01.11
딸기속  (0) 2015.01.10
딸기  (0) 2015.01.10
눈개승마속  (0) 201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