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유채

호남인1 2014. 12. 22. 12:12

 

 

 

 

 

유채

학명: Brassica napus L. 

 

 

이명: 호무우, 호무 /영명: /꽃말: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진덩쌍떡잎식물강 >십자화목 >십자화과 > 배추속

원산지: 유럽 /분포: 한국(제주와 남부지방), 일본, 중국 /서식: 따뜻한 곳 /크기: 높이 80∼130cm

생약명:

 

2년생초본

십자화과에 속한 두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80~130센티미터 정도이고 표면이 매끄러우며 녹색을 띤다. 잎은 약간 넓은 바늘 모양으로 끝이 둔하다. 4월경에 노란 꽃이 피며, 꽃이 진 뒤에는 20개 가량의 씨가 들어 있는 꼬투리가 달린다. 꽃은 밀원(蜜源)으로, 씨는 기름을 짜는 데, 깻묵은 사료나 비료로 이용된다. 우리나라나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유채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4668&mn=KFS_28_01_02_01

 

 

 

-------------------------------------------------------------

잎은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다. 아래쪽 줄기에 달린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잎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진다. 끝이 둔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매끄러우며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엽병에 자줏빛이 도는 것도 있다. 위쪽 줄기에 달린 잎은 밑부분이 귀처럼 처져서 원줄기를 둘러싸고 넓은 피침형이며 잎자루가 없고 끝은 가늘고 갈라지지 않는다. 서양종의 잎은 두껍고 혁질이며, 보통종은 연한 녹색이고 잎살이 비혁질이다. 줄기에는 보통 30∼50개의 잎이 붙는다. 

 

열매는 각과로서 길이 8cm 가량의 원통 모양이다. 중앙에는 봉합선이 있으며 완숙하면 봉합선이 갈라져서 종자가 떨어진다. 속은 2실로 되고 투명한 격막으로 갈라지며, 보통 20개 가량의 짙은 갈색 종자가 들어 있다. 끝에 긴 부리가 있고 원주형이며 익으면 흑갈색 종자가 나온다. 

 

꽃은 3∼4월에 원추화서를 이루며 가지 끝에 달린다. 약 10cm 길이의 꽃자루를 가진 홑꽃이 핀다. 꽃잎은 끝이 둥근 도난형이고 ?이 10mm이며, 6개의 수술 중 4개는 길고 2개는 짧으며, 암술은 1개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의 배같고 4개로 갈라지며 길이 6mm이다. 성숙한 이삭 길이는 가지의 위치, 재식방법, 품종 등에 따라 다르나 대개 35∼45cm이고 한 이삭에 30∼40개의 열매가 달린다. 

원줄기에서는 15개 안팎의 1차곁가지가 나오고, 이 가지에서 다시 2∼4개의 2차곁가지가 나온다. 

 

지중해 연안과 중앙아시아 고원지대(보통종), 스칸디나비아반도와 시베리아, 캅카스(서양종) 

한국(제주와 남부지방), 일본, 중국 등지 

높이 80∼130cm이다. 

번식은 종자로 한다. 

 

 

 

 

 

 

 

 

=============================================================================================================================

 

브리태니커

유채

 

 

다른 표기 언어 rape

십자화과(十字花科 Brassicaceae)에 속하는 1년생 식물. 평지라고도 함.

 

 

 

유채(Brassica napus)

 

유럽이 원산지이다. 키가 30㎝ 또는 그 이상으로 자라며 대개 가늘고 길다란 원뿌리를 가진다. 잎은 밋밋하고 파란빛이 도는 녹색이며 물결 모양으로 깊게 갈라져 있다. 윗부분의 잎은 밑이 귀처럼 처져서 줄기를 감싼다.

 

꽃은 연노란색이고 4장의 꽃잎으로 되어 있으며 무리지어 핀다. 각각의 둥그런 꼬투리에는 짧은 부리가 있으며 많은 씨가 들어 있다.

 

씨에는 유채 기름이 들어 있는데 연료, 요리 재료, 윤활유로 이용되며 비누·합성고무를 만드는 데도 쓰인다. 또한 씨는 사료로도 이용된다. 길쭉해진 식용 원뿌리를 얻기 위해 심고 있는 변종들은 순무 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언제부터 심기 시작했는지 확실하지 않은데, 중국 명나라 시대에 어린잎과 줄기를 먹기 위한 채소의 하나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기름을 짜내고 남은 깻묵은 사료로 쓰인다.

주로 남부지방에서 심고 있는데, 제주도에서 생산되는 유채가 전체의 약 99%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도에서는 이른봄에 노랗게 피는 유채밭을 하나의 관광자원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한국에서 심고 있는 주요품종으로는 미우키·유달·아사이 등이 있다.

 

 

 

 

 

 

=============================================================================================================================

 

위키백과

유채

 

 

학명: Brassica napusL. 1753

유채(油菜) 또는 평지십자화과 두해살이풀의 하나이다. 아시아, 유럽, 뉴질랜드 등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된다.

 

 

 

품종[편집]

 

종류에는 보통종과 서양종이 있으며 보통종은 지중해 연안에서 중앙아시아 고원 지대 원산으로, 꽃은 황색이고 종자는 적갈색이라 적종(赤種)이라고도 한다. 서양종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시베리아카프카스 지방에 걸친 지역이 원산지로, 꽃은 황색에 약간 녹색을 띠며 종자는 흑갈색이다. 서양종의 경우에는 드물지만 유전적 형질에 따라 하얀꽃이 피는 경우도 있다.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것은 서양종이며 유료작물(油料作物)로서 본격적으로 재배한 것은 1960년대 초부터이다.

 

유채의 품종간에는 파성(播性)의 정도에 차이가 있는데,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서양종은 맥류와는 달리 감광성이 약하고 감온성의 차이에 의해서 파성 정도가 달라진다. 유채는 수확량이 많고 품질이 좋으며 조생·내한·내습성이 강한 것이 우량 품종이다. 현재 널리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아사히·유달·목포11호·용당 등이 있다.

 

 

 

 

생태[편집]

 

줄기는 높이 80~130센티미터이고 표면은 매끄러우며 녹색이다. 잎은 피침형이고 끝이 둔하다. 아래쪽 줄기잎은 긴 잎자루를 가지며 잎가장자리는 깊게 갈라지고, 위쪽 줄기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줄기를 둘러싸고 그 끝은 가늘다. 서양종의 잎은 두껍고 혁질이며, 표면에 납질물이 있고, 보통종은 담녹색이고 잎살이 비혁질이며 납질물이 없다. 줄기에는 보통 30~50개의 잎이 붙는다. 꽃은 총상꽃차례로 피며 가지 끝에 달린다. 약 10센티미터 길이의 꽃자루를 가진 홑꽃이 핀다. 꽃잎·꽃받침은 각각 4개 갈라져 있으며 수술 6개, 암술 1개, 4개의 꿀샘으로 이루어져 있다. 꼬투리는 길이 8센티미터 가량의 원통형으로 중앙에는 봉합선이 있으며 완숙하면 봉합선이 갈라져서 종자가 떨어진다.

 

 

 

쓰임새[편집]

 

유채꽃은 밀원식물로서 식용유로 콩기름 다음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다.

종자에서 분리한 지방유를 유채기름 또는 채종유라 하며, 엔진 윤활유, 바이오디젤, 연고기제·유성주사의 용제 및 식용으로 널리 쓰인다.

 

유채기름에는 글루코시노레이트 성분 때문에 불쾌한 쓴 맛과 독성이 있고 지방의 상당 부분이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에루스산(erucic acid)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바로 식용으로 사용할 수가 없으므로 과거에는 주로 공업용으로 한정해서 사용해 왔다.

이런 유해 성분을 일정 수준으로 제거하거나 처음부터 유전자 조작을 통해서 유해 성분의 함량을 줄인 유채로부터 얻은 유채기름은 식용이 가능하고 이런 식용 유채기름은 카놀라 기름이라는 마케팅 용어로 판매되기도 한다.

 

유채기름을 가리키는 영어의 rapeseed oil이라는 단어가 어원상 아무 상관이 없지만 부정적인 rape(강간)라는 단어를 연상시키고 과거의 공업용 기름이라는 이미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캐나다 유채 학회에서 캐나다의 Can과 ola를 합성해서 카놀라라는 이름을 만들었다.

특히 유전적으로 인체에 무해한 유채기름을 생산하는 유채의 한 품종을 카놀라라고 한다.

 

 

 

 

=============================================================================================================================

 

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

유채

 

 

다른 표기 언어 油菜

 

학명: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

원산지: 스칸디나비아반도, 시베리아, 코카서스지방

서식지: 전라남도, 제주도

 

정의

십자화과에 속하는 2년생 초본식물.

 

내용

학명은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이다. 평지라고도 부르며 한자어로는 채종(菜種)·운대(蕓薹)·호채(湖菜)라고 한다.

 

키가 80∼140㎝에 이르고 줄기의 표면이 매끄러우며, 원줄기에서 15개 내외의 1차 분지(分枝:원래의 줄기에서 갈라져 나간 가지)가 발생하고 다시 2∼4개의 2차 분지가 발생한다. 잎은 피침형(披針形)으로 선단이 둔하며, 아랫잎은 긴 잎자루가 있지만 윗잎에는 잎자루가 없고 원줄기에 착생하는 잎은 보통 30∼50매이다.

 

꽃은 총상화서(總狀花序:긴 꽃대에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피는 꽃차례)이고 꽃대를 가진 완전화이며 꽃잎과 꽃받침은 각각 4열씩이다. 오전 9시경에 가장 많이 개화하고 자가불임성이 높다.

 

원산지는 스칸디나비아반도에서부터 시베리아 및 코카서스지방에 걸친 지역으로 추정되는데 16세기경부터 기름을 목적으로 재배하였다고 한다. 우리 나라에 전래된 시기는 확실하지 않지만 명나라로부터 전래되어 재배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간 세계 총생산량은 약 1000만t이며 캐나다·인도·중국에서 60%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우리 나라는 1961년 약 1,800t에서 1,300t을 생산하였고, 1976년에는 2만 5000t에서 3만 5000t을 생산하였으나 지금은 재배면적이 줄어들고 있다.

 

주산지는 전라남도와 제주도이다. 전 생육기간을 통하여 일조가 많고 기온이 높은 것이 좋고, 이식 재배인 경우 9월 하순에는 파종하여 한달 후 이식하며, 직파 재배인 경우에는 이보다 2∼3주 늦게 파종한다.

 

병충해로는 균핵병·벼룩벌레·진딧물·도둑나방 등이 있다. 우리 나라의 재배품종은 미유기·유달·아사히·전남재래·용당·영산유채·내한유채·목포29호 등이 있다.

 

유채의 어린 잎과 줄기는 식용하거나 사료로 이용하고, 열매에서 짠 기름은 반건성유로 식용·의학용·공업용 등으로 쓰인다. 유채의 열매에는 38∼45%의 기름이 함유되어 있다.

 

참고문헌

• 『공예작물학』(손응룡, 상지문화사, 1969)

• 『작물학개요』(조재영 외, 향문사, 1983)

• 『농림통계연보』(농수산부, 1982)요약 테이블

 

 

 

=============================================================================================================================

사진출처

 

워키피디아 floma / http://www.floma.pe.kr/  김효님,

 

 

 

=============================================================================================================================

바로가기

 

십자화과 [Brassicaceae, 十字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배추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유채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5. - 4,903種중 (2733. 사초과 - 3470. 쐐기풀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대속  (0) 2014.12.22
갯장대  (0) 2014.12.22
왜무  (0) 2014.12.22
순무  (0) 2014.12.22
겨자  (0) 2014.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