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호남인1 2014. 12. 22. 06:36

 

 

 

 

 

학명: Brassica juncea (L.) Czern. var. juncea

 

 

이명: 계자, 상 /영명: /꽃말: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진덩쌍떡잎식물강 >십자화목 >십자화과 > 배추속

원산지: 중국  /분포: 중국  /서식: 하천변, 나지 /크기: 높이 1~1.5m

생약명:

 

2년생초본

십자화과에 속하는 채소. 줄기와 잎을 먹으며 씨는 겨자와 같이 사용되나 매운맛이 적고 향기가 있다. 줄기와 잎은 김치를 담군다. 종자(갓씨)는 향신료로 쓰이며, 개자유(갓씨 기름)을 제조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갓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4681&mn=KFS_28_01_02_01

 

 

 

 

-------------------------------------------------------------

잎은 어긋나며, 경엽은 주걱형으로 길이 20cm이다. 엽병이 길고, 우상전열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장 타원형으로 엽병이 짧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주름져있다. 

 

열매는 장각과로 길이 2.5~5cm이다. 종자는 진한 갈색 또는 노란색이고, 지름 1.5mm이며 구형이다. 종자는 원주상이다. 

꽃은 십자화로 4~5월에 황색으로 피고 총상화서로 달린다. 꽃자루 길이는 1cm 내외이고, 꽃받침 길이는 5~6mm이며 3맥이 있다. 꽃잎은 주걱형으로 길이 8mm이고, 요두이다. 수술은 4개, 암술은 1개이다. 

털이 없고, 위쪽에서 가지를 친다. 

 

높이는 1~1.5m이다. 

 

 

 

 

 

 

=============================================================================================================================

두산백과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Brassica juncea var. integrifolia

분포지역: 한국, 중국

크기: 높이 1m

 

한자로 개채(芥菜) 또는 신채(辛菜)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BC 12세기 주(周)나라 때 이 종자를 향신료로 사용하였다고 하며, 한국에서도 중국에서 들여온 채소류로 널리 재배한다.

 

높이가 1m 정도로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뿌리잎은 넓은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으로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좁아져 짧은 잎자루가 되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갈라지지 않는다. 줄기잎은 긴 타원형 바소꼴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희미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없으나 줄기를 감싸지 않으며, 양면에 주름이 지고 흔히 흑자색이 돈다.봄부터 여름까지 총상꽃차례에 노란꽃이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4개, 꽃잎도 4개로 밑부분이 좁아져 자루 모양으로 된다. 각과(角果)는 길고 비스듬히 서며, 종자는 노란색으로 구슬 모양이다.

 

① 재배환경

채소 중에서는 고온성(高溫性)이다. 생육 초기에는 추위와 더위에 모두 강하나, 비교적 온난한 지방에 적응된 품종은 성장함에 따라 추위에 약해지고, 저온지방의 것은 추위에 강하다. 품종에 따라 다르나 추태(抽苔)와 개화는 일조시간이 많을 때에 촉진된다. 종자의 발아 최저온도는 6℃, 최적온도는 25℃, 최고온도는 35℃ 정도이다. 토양에 대한 적응성은 매우 강해 다습한 토양에서도 잘 견디며, 논의 2모작에서도 생육이 잘 된다. 토양산도는 pH 5.5∼6.8이 적당하다.

 

② 재배

조기재배에서는 3∼4줄 또는 흩어뿌리기를 한다. 김치용으로 재배할 경우에는 직접뿌리기로 3∼4줄 골을 짓고 30∼45cm 간격으로 점파(點播) 또는 줄뿌림을 한다. 정식묘는 본엽이 5∼6매일 때를 기준으로 하고, 묘를 옮기기 전에 충분히 보관하고 지켜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한다. 김치용 재배에서는 2줄로 포기사이를 30∼45cm, 잎 재배에서는 4줄로 포기사이를 40∼50cm로 한다. 직접뿌리기 했을 때는 본엽이 2∼8매일 때 솎아서 소정의 포기사이로 만들고 그때마다 사이갈이, 덧거름, 흙주기를 한다. 수확은 밑뿌리를 베어 다발로 만들고, 김치용의 포기가 큰 것은 오전에 베어 볕에 말리며 오후에 다시 벤 순서대로 뒤집어 말려서 저녁에 들여 놓는다.

 

③ 이용

잎은 주로 김치와 나물로 쓰는데 향기와 단맛이 있으며 적당히 매운맛도 있다. 종자는 가루로 만들어서 향신료인 겨자 또는 약용인 황개자(黃芥子)로 쓴다.

 

(두산백과)

 

 

 

 

 

 

 

=============================================================================================================================

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

 

 

학명: Brassica juncea var. integrifolia SINSK

 

십자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한자어로는 ‘개(芥)’로 쓰며, 학명은 Brassica juncea var. integrifolia SINSK.이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라고 하며, 키는 1m 정도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내용]

뿌리 부근에 나는 잎은 넓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倒卵形)이며,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잎자루가 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에 나는 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잎자루가 없고 줄기를 감싸지 않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희미한 톱니가 있고 양면에 주름이 있으며 흔히 자주빛이 돈다.

 

봄부터 여름까지 총상화서(總狀花序:꽃대에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붙어있는 꽃모양)에 황색 꽃이 많이 달린다. 꽃받침은 4개이고 연한 녹색이며, 꽃잎도 4개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자루처럼 된다.

 

특유한 향기와 다소 매운 맛이 있는 줄기의 잎은 김치나 나물로 쓰이고, 노란색의 구슬모양인 종자를 가루로 만들어 향신료인 겨자, 또는 약용인 황개자(黃介子)로 쓴다. 요즈음에는 잎을 목적으로 하는 품종과 씨를 목적으로 삼는 품종이 각각 개발되어, 전자를 갓, 후자를 겨자라고 하는 일도 있다.

 

기원전 12세기 주나라 때에 이미 종자가 향신료로 쓰였다고 하며, 6세기의 ≪신농본초경집주 神農本草經集注≫에는 “갓은 배추와 비슷하면서 털이 있고 맵다. 날것을 먹어도 좋고 소금에 절여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

 

또한, 당나라 때의 ≪신수본초 新修本草≫에는 “갓에는 세 종류가 있는데, 잎이 크고 씨가 큰 것은 잎을 먹기에 좋고 씨는 약으로 쓴다. 잎이 작고 씨가 가는 것은 잎을 먹지 못하지만 씨는 향신료로 쓴다. 또 흰 갓[白芥]은 씨가 희고 크며, 매우 맵고 맛이 좋다. 이것은 서쪽나라에서 온 것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본초강목≫에는 “갓에는 청개(靑芥)·대개(大芥)·마개(馬芥)·화개(花芥)·자개(紫芥)·석개(石芥) 등의 여러 품종이 있고 8, 9월에 파종한다. 겨울에 먹는 것을 납채(蠟菜), 봄에 먹는 것을 춘채, 4월에 먹는 것을 하개(夏芥)라 이른다.”고 하였다.

 

우리 나라는 삼국시대 문헌에 갓에 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일찍부터 중국에서 들어와 있었던 것 같다.

 

갓으로 이름난 지방은 통영이었다. 갓의 성분은 배추무리와 비슷하나, 단백질·회분·카로틴(비타민 A)·나이아신 등이 약간 많고, 포도당·설탕도 함유되어 있다. 특히 비타민 C·칼슘·철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잎에는 종자(겨자)보다는 덜하나 약간의 매운 맛이 있는데, 이것은 겨자나 고추냉이와 같이 시니그린(sinigrin)이라는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약간 쓴 맛이 있는 시니그린은 미로시나제(myrosinase)라고 하는 효소의 작용으로 매운 맛을 내는 성분이 생성된다.

 

갓의 잎은 휘발성의 매운 맛이 특징이기 때문에, 이 맛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가열하여 조리하는 것보다 날것으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 갓김치를 담글 때에는 소금에 절이면 매운 맛이 부드러워진다.

 

담그기 전에 뜨거운 물에 살짝 데치면, 가열효과로 인하여 미로시나제라는 효소가 작용하게 되어 매운 맛을 내는 성분이 증가하고 빛깔도 깨끗하게 된다. 삶아서 나물로 하거나 튀길 때에는 갓잎의 쓴 맛이나 매운 맛을 살린다기보다 오히려 조미료의 맛을 알맞게 살려야 한다.

 

≪명의별록 名醫別錄≫에 따르면 “갓의 줄기와 잎은 독이 없고 맵다.” 하였고, ≪식료본초≫에는 “갓을 삶아 먹으면 기(氣)와 풍(風)이 동하고 날로 먹으면 결석이 생기며, 많이 먹으면 좋지 않다. 잎이 큰 것이 좋고 잎이 잘고 털이 있는 것은 사람에게 해롭다.”고 하였다. ≪천금식치 千金食治≫에는 “갓을 토끼고기나 붕어고기와 함께 먹으면 해롭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1982)

• 『土名對照滿鮮植物字彙』(村田懋磨, 成光館書店, 1931)

• 『한방식료해전(漢方食療解典)』(심상룡, 창조사, 1976)

• 『菜果健康療法』(伊澤凡人, 家の光協會, 1977)요약 테이블

 

 

 

 

 

 

=============================================================================================================================

경기도농업기술원

[ Mustard ]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이판화군 겨자과의 2년초 또는 한해살이풀

크기: 30~150cm

개화시기: 봄(5~6월), 가을(익년 4~5월)

파종시기: 4월~5월

수확시기: 6월

원산지: 중앙아시아

분포지: 동북아시아, 한국, 중국, 일본

자생지: 남부지방 저지대 인가근처

 

 

특징

높이가 1m 정도로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뿌리잎은 넓은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세운 달걀 모양으로 끝이 둥글고 밑부분이 좁아져 짧은 잎자루가 되며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갈라지지 않는다. 줄기잎은 긴 타원형 바소꼴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희미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없으나 줄기를 감싸지 않으며, 양면에 주름이 지고 흔히 흑자색을 띤다.

이년생초본으로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이고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재배정보

 

1) 심는 방법

퇴비와 밑거름을 밭 전면에 고루 살포하고 경운 정지하여 120cm 두둑을 만들고 4줄로 골을 내어 줄뿌림하거나 골을 만들지 않고 흩어뿌리기도 하지만 줄뿌림하는 것이 관리가 편하고 생육이 고르다. 파종 후에는 얕게 흙으로 덮고 충분히 물을 준 다음 200mesh 한냉사를 씌워 배추좀나방 등 해충의 피해를 막는다. 발아 후 잎이 2~3매 될 때 솎음 및 김매기를 실시하고 포기 사이를 10cm 내외가 되게 다소 빽빽하게 심어 웃자라게 하는 것이 상품성이 좋다. 그렇지만, 지나친 밀식은 연약하게 자라게 되므로 품질이 떨어진다.

 

(1) 준비물

10a당 씨앗 5개

 

(2) 가꾸기 포인트

봄 재배 시 토양수분이 부족하면 엽색이 자색을 띄게 되고 조직이 거칠어 지며 매운맛이 강해 져서 품질이 떨어진다.

 

 

2) 기후 및 토양

 

(1) 기후조건

종자의 발아는 6~30℃ 범위이며 적온은 25℃이고 호광성이다. 생육적온은 12~22℃이다. 온도와 관계없이 장일 조건에서 꽃눈이 분화되어 추대하여 꽃이 핀다. 품종에 따라서 저온이 필요한 품종이 있다.

 

(2) 토양조건

토양적응성은 넓고 토양수분이 많은 곳이 좋아 다습에 잘 견디므로 논에도 재배된다. 산성토양에서는 월동기에 건조하면 내한성이 약해지며 pH 6.0~7.2에 적응한다.

 

 

3) 관리하기

 

(1) 물주기

토양수분은 관수를 충분히 하여 다습한 환경이 좋다. 가뭄 시에는 5일 간격으로 5mm 관수를 실시한다.

 

(2) 거름주기

10a(300평)당 질소 17kg, 인산 8kg, 칼륨 12kg, 석회 150kg, 붕사 1kg, 퇴비 2,000kg을 기준으로 하여 질소는 기준량의 70%, 인산은 전량, 칼리는 기준량의 70%, 석회 및 붕사, 퇴비는 전량을 밑거름으로 주고, 질소 30%, 칼리 30%는 파종 후 25일경에 웃거름으로 준다.

 

(3) 질병관리

ㆍ충해(배추좀나방, 진딧물), 바이러스병증상 - 1년에 여러 차례 발생하며 5∼6월에 특히 많이 발생한다. 먹이풀의 앞뒷면에 1개씩 낱개로 산란한다. 유충은 잎맥을 따라 잎살만 먹는다. 자라면서 잎 뒷면에 기생하며 겉껍질만 남기고 갉아먹는다. 피해가 심하면 작물 전체가 희게 보인다.치료 - 배추좀나방은 농약방제보다 한냉사를 씌워 방제하며 진딧물은 천적인 무당벌레로 진딧물의 밀도를 낮추거나 약제방제를 실시한다.

 

 

4) 수확하기

파종 시기에 따라 수확 시기가 다르다. 파종 시기가 4월이면 6월에, 6월이면 8월, 8~9월이면 10~11월에 수확한다. 파종 후 50~60일 정도 경과하면 초장이 20~40cm내외일 때 수확을 한다. 파종 후 씌웠던 한냉사는 수확 10일 전, 궂은 날을 택하여 벗겨준다. 수확할 때는 아랫잎과 병에 걸린 잎 또는 벌레가 먹은 잎을 제거한 다음 1단에 2㎏ 단위로 묶어 출하한다.

 

[Mustard] (경기도농업기술원)

 

 

 

 

 

 

 

=============================================================================================================================

요리백과: 쿡쿡TV

 

 

칼로리: 26kcal (100g)

제철: 9월 ~ 12월

 

독특한 향으로 입맛을 돋우는 갓은 향신채소로도 분류가 됩니다. 잘 익은 갓김치 하나면 밥 한그릇은 거뜬합니다.

 

 

1. 기본정보

· 구입요령 : 줄기가 가늘고 연한 것이 좋다. 잎이 싱싱하고 크기가 너무 크지 않은 것이 좋다.

· 유사재료 : 돌산갓 (여수의 돌산지역에서 생산되는 갓은 잎이 붉은색을 띠고 있으며 훨씬 강한 향을 나타낸다.)

· 보관온도 : 0~5℃

· 보관일 : 3일

· 보관법 : 깨끗이 다듬어 신문지에 싸서 냉장실에 보관한다.

· 손질법 : 시든 잎을 정리하고, 깨끗이 다듬은 뒤 흐르는 물에 씻어 물기를 빼 둔다.

· 산지특성 및 기타정보 :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재배되며 우리나라에서는 돌산갓이 유명하다.

 

 

2. 섭취정보

· 섭취방법 : 주로 김치로 많이 담가 먹는다.

· 궁합음식정보 : 굴 (갓의 풍부한 비타민 C는 굴의 철분을 흡수하는 데 도움을 준다.)

· 다이어트 : 열량과 지방이 적어, 다이어트 시 적당량 섭취하면 좋다.

· 영양성분

니아신

0.70mg

나트륨

29.00mg

단백질

2.50g

당질

4.90g

레티놀

0.00㎍

베타카로틴

2,350.00㎍

비타민 A3

92.00㎍RE

비타민 B1

0.07mg

비타민 B2

0.18mg

비타민 B6

1.20mg

비타민 C

370.00mg

비타민 E

2.30mg

식이섬유

2.80g

아연

1.05mg

엽산

95.00㎍

51.00mg

지질

0.30g

철분

2.60mg

칼륨

423.00mg

칼슘

141.00mg

콜레스테롤

0.00mg

회분

1.40g

영양성분 : 100g 기준

 

 

(쿡쿡TV , 쿡쿡TV)

 

 

 

 

=============================================================================================================================

사진출처

 

워키피디아

 

 

 

 

 

=============================================================================================================================

바로가기

 

십자화과 [Brassicaceae, 十字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배추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재배법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5. - 4,903種중 (2733. 사초과 - 3470. 쐐기풀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무  (0) 2014.12.22
겨자  (0) 2014.12.22
녹색꽃양배추  (0) 2014.12.21
줄기양배추  (0) 2014.12.21
자주양배추  (0) 2014.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