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목서
학명: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Makino
이명: 단계목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용담목 >물푸레나무과 >목서속
원산지: 중국 /분포: 남부지방식재 /서식: /크기: 높이 3~4m
생약명:
상록활엽관목
물푸레나뭇과의 상록 소교목. 높이는 3~4미터이며, 잎은 마주나고 빽빽하게 붙는다. 초가을에 주황색의 잔꽃이 잎겨드랑이에 많이 모여 핀다. 중국이 원산지로 향기가 좋아 정원에 가꾼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대생하며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상 넓은 피침형이고 예첨두 예저이며 길이 7-12cm, 폭 2.5-4cm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거나 거의 밋밋하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중륵이 요입(凹入)되고 털이 없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측맥이 어느 정도 뚜렷하게 도드라지며 엽병은 길이 7-15mm이다.
꽃이 질 때 쯤이면 초록색 콩만한 열매가 맺힌다. 다다닥 가지에 붙은 아름다운 열매가 겨울을 나고 다음해 여름·가을을 지나 다시 서리가 내리고 꽃이 필 때쯤 열매가 익는다.
꽃은 이가화이고 지름 5mm정도로서 9-10월에 산형화서로 액생하며 두터운 육질화로 짙은 향기가 있다. 꽃은 등황색이며 길이 7-10mm의 소화경이 있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4개로 갈라지고 화관도 4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타원형 원두이고 2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가지에 털이 없고 연한 회갈색이다.
중국 원산으로 경남, 전남지역의 따뜻한 곳에 식재하고 있다.
상록활엽관목으로 높이 3~4m 이다.
양수이며 배수가 잘되는 사질양토의 비옥한 곳에서 생장이 좋으나 느린 편이다. 잎이 두터워서 공해에도 저항력이 강하다. 한가지 결점은 내한성이 다소 약하므로 중부 이북에서는 식재가 어렵다.
광선: 양생 /내한성: 약함 /토양: 비옥 /수분: 보통
생장이 육묘 때는 더디다. 전정에도 견디며 이식도 가능하다.
결실기; 5월
이용
목서의 잎은 차 대용으로 끓여 마실 수 있고, 꽃으로 술을 담가 마신다. 잎은 기침·가래를 삭이고, 중풍 또는 버짐치료·치통·구취제로 썼다. 목재는 단단하고 치밀해 조각제로 쓴다. 또한, 남쪽 땅의 생울타리 조경용으로, 정원수로, 도시 도로의 조경용으로 최고의 수종이다.
유사종
▶박달목서(Osmanthus insularis Koidz): 제주도의 절부암과 거문도에서 자라는 상록 활엽수이다. 암수 다른 나무이고 11~12월에 잎 사이에서 흰꽃이 핀다. 타원형 열매는 길이 1.5~2cm이고 5월에 검은색으로 익는다.
▶은목서(Osmanthus asiaticus): 잎은 두껍고 광택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마주 난 잎은 짧은 잎자루가 있다. 꽃은 흰색을 띤 노란색이다.
▶홍목서(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중국 원산의 상록관목이다. 서리가 내릴 때쯤 짙은 붉은색 꽃이 잎 겨드랑이에 5~10송이씩 핀다. 꽃자루가 길고 옆을 향하거나 밑으로 쳐진다.
특징
꽃이 귀한 초겨울을 즐길 수 있다. 겨울 내내 푸른 잎과 자주색 열매, 섬세하고 풍성한 가지에 황홀한 향기까지 갖추어 정원수로는 금목서보다 더한 식물이 없다는 것이 학계의 얘기다.
병충해
▶응애류: 발생이 심하므로 장마뒤 가뭄이 계속될 때 주의한다.
▶응애류: 켈젠유제나 디프테렉스 등을 이용하여 초기에 방제한다.
=============================================================================================================================
두산백과
금목서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상록 소교목이다.
학명: 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높이는 3~4m이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상의 넓은 피침 모양이고 빽빽하게 붙는다. 잎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다. 9~10월에 잎겨드랑이에 주황색의 잔꽃이 많이 모여 핀다. 꽃이 질 때 쯤에 녹색의 콩과 같은 열매를 맺는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금목서 (두산백과)
=============================================================================================================================
금목서(목서) 재배
생육환경 및 성질
양수이며 생장은 더딘 편이며 높이 3m 안팎으로 자라나 이 정도로 자라자면 오랜 시일이 걸린다. 전정은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이식은 가능하다. 공기오염지대에서는 꽃이 잘 피지 않는다. 내한성이 약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중부이북에서는 식재가 어렵고 남부지방에서 주로 식재하고 있는 수종이다.
재배
1) 적지
해를 잘 받는 따뜻한 곳이 좋으며 겨울의 서북풍이 막힌 곳이 좋다. 해를 잘 받지 못한 곳에서는 도장지가 되어 꽃이 잘 맺히지 않는다. 토질은 배수가 잘 되면서도 보수력이 있는 비옥한 양토나 점질 양토를 좋아하나 비교적 토질에 대한 적응성은 넓은 편에 속한다.
2) 이식
봄과 가을에 이식할 수 있으나 봄에 이식하는 것이 뿌리 활착이 잘되는 등 결과가 좋은 편이다. 심는 구덩이는 크게 파고 잘 썩은 퇴비, 계분 등을 섞어 넣고 흙을 덮은 다음 관수를 충분히 한다.
3) 시비 및 전정
시비 : 꽃이 피던 나무가 꽃이 피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대개 해가 잘들지 않던가 흙의 양분이 부족한 탓이므로 다른 비옥한 땅에 이식하든가 아니면 뿌리 주위를 돌려가며 파고 오래 된 묵은 뿌리를 잘라 버리고 잘 썩은 퇴비와 계분 등을 넣고 묻어주면 다시 꽃피게 된다.
전정 : 전정은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너무 무성하여 공기 유통이 잘 안될 때 빽빽한 중심부의 가지를 솎아 주는 정도로 그친다. 목서는 봄에 자란 가지 전체에서 여름에 화아가 분화되므로 6월에서 꽃필때까지는 전정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굵은 도장지보다 가늘고 약한 가지에 꽃이 피므로 도장지는 전정해 버린다.
4) 병충해
뿌리에 혹이 생기는 근류선충병이 발생하나 그리 흔치 않다. 해충으로 5~6월경 잎을 갉아먹는 벌레, 특히 응애류에는 4~5월에 디프테렉스를 뿌리고 개각충이 발생하면 포살하든가 데나뽕을 뿌려 구제한다.
5) 육묘관리
활착하면 차광물을 벚긴 후 비배하였다가 다음 해 봄 4월에 18cm간격으로 이식하여 2년간 묘상에서 육묘한 후 넓혀 이식한다.
번식
목서류의 번식방법에는 삽목, 접목, 휘묻이 등으로 번식되나 일반적인 것은 삽목을 많이 이용한다.
삽목 :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나 특정한 짧은 기간에만 할 수 있으므로 활착률이 좋은 편은 아니다. 즉, 적기는 그해에 따라 다르나 7~8월 중 고온인 시기의 1주일 정도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고온기가 가까와지면 집중적으로 많이 삽목하여 어느 것인가가 활착하도록 하는 방법이 유리하다.
삽수는 그해 자란 새 가지가 굳어진 것을 골라 12~15cm 길이로 잘라 반 정도 밑쪽 잎을 따내고 진흙 경단을 붙여 모래에 꽂든가 모래 섞인 진흙에 꽂는다. 삼목상은 차광하였다가 활착하면 벚겨주며 건조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관리하면 된다. 특히 금목서의 경우 삽목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어 삽목시 특별한 주의를 요하여야 한다.
접목 : 봄에 쥐똥나무의 실행묘에 접붙이기를 한다. 이 밖에 장마 때 가지를 2cm 폭으로 돌려가며 겁질을 벗기고 물이끼를 댄 후 싸매어서 건조하지 않게 관리하면 뿌리가 나므로 이를 잘라내는 고취법도 있다.
출처: http://www.namu-ro.com/tree_agri/gwansang/moksu.htm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이종태님. 지산님, 이종균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靑山/이장희님, 구름님, 채안골/이성원님,
=============================================================================================================================
바로가기
물푸레나무과(Ole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목서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금목서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갑구골나무 (0) | 2014.11.30 |
---|---|
박달목서 (0) | 2014.11.29 |
목서속 (0) | 2014.11.28 |
목서 (0) | 2014.11.28 |
쇠나무 (0) | 201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