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珍島의 植物

석위

호남인1 2014. 11. 22. 21:13

 

 

 

 

 

석위

학명: Pyrrosia lingua (Thunb.) Farw.

 

이명: /영명: /꽃말:

분류: 양치식물문 고사리강 고란초과 > 석위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인도지나, 월남 /서식: 바위 또는 노목 겉 /크기: 높이 13-30cm

생약명: 잎은 석위(石韋), 근경은 석위근(石韋根), 잎에 있는 털은 석위모(石韋毛)이다.

 

상록다년생양치식물

양치식물 고란초과에 속한 상록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잎이 드문드문 돋는다. 잎은 긴 타원형인데, 겉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누런 갈색이다. 바위나 나무줄기에 붙어살며, 잎과 줄기는 이뇨제로 쓴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석위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5624&mn=KFS_28_01_02_01

 

 

-------------------------------------------------------------

잎은 드물게 근경에서 총생한다. 엽병은 길이가 10~26cm이며 가늘고 길며 빳빳하고 흑색이 나며 홈이 파지고 성상모가 있으나 밑부분이 근경에서 나와 인편으로 덮인 짧은 가지와 연결되며 인편은 길이 7-8mm이다. 엽신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서 양끝이 좁고 두꺼우며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나 뒷면은 갈색이 도는 성상모가 밀생하고 중륵이 뚜렷하게 도드라진다. 가장자리는 약간 파상이다. 

 

포자낭군은 갈색의 점모양 조밀하게 잎 뒷면에 덮여 있다. 

근경은 거칠며 가냘프고, 적갈색의 인편이 덮여 있다.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지름 3mm이고 적색 또는 다갈색 인편으로 덮인다. 인편은 선상 피침형으로서 길이 4mm정도이며 밑부분은 흑갈색이지만 끝과 가장자리로 갈수록 연해져서 회갈색으로 되고 가장자리에 털같은 돌기가 있다. 

 

▶한국, 중국, 일본, 대만, 인도지나, 월남 등지에 분포하는 상록 다년초, 양치식물로 높이 13-30cm 정도 자라며 바위 또는 노목 겉에 붙어서 자란다.

 

▶음지 또는 적당한 반음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양지에서도 어느 정도 적응한다. 건조에는 강한 식물이므로 지하부의 물빠짐이 좋아야 한다. 충분히 관수하여 축축하게 관리하며, 공중습도는 다습하게 관리한다. 

광선: 양생 /내한성: 중간  /수분: 습윤 

 

수태나 배양토에 심는다. 그늘 또는 반그늘에서 잘 자라고, 5℃ 이상에서 월동하며, 10~21℃에서 잘 생육한다. 

▶화분에 심어 관상하거나 수태에 심어 Hanging plant로 이용된다.

 

 

생약명

잎은 석위(石韋), 근경은 석위근(石韋根), 잎에 있는 털은 석위모(石韋毛)이다.

 

1.석위(石韋)

석위(石韋) 및 동속(同屬) 근연식물(近緣植物)의 잎이며 봄,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수치(修治) : 협잡물을 제거한 후 흙이나 모래를 털어 씻고 솔로 용모(茸毛)를 제거하고 잘라서 햇볕에 말린다. 반드시 황모(黃毛)를 제거하고 사용해야 하며 엽병을 제거해서 약용할 것이며 반드시 뭉근한 불에 쬐어 말려서 사용해야 한다. 다른 방법으로 양(羊)의 기름에 볶아 말려서 사용한다.

ⓑ성분 : 석위, 애기석위의 전초는 모두 flavonoid를 함유한다. 석위의 전초는 그 위에 szponin, anthraquinones, tannin, hopene-b, β-sitosterol을 함유하고, 애기석위의 전초는 phenolic substances, 수지(樹脂), saponin을 함유한다. 이 밖에 분리된 결정성분(結晶成分)으로는 fumaric acid, caffeic acid, isomangiferin 등이 있다.

ⓒ약효 : 설열, 이수(利水), 통림배석(通淋排石), 청폐(淸肺), 止血의 효능이 있다. 임병(淋病)으로 인한 통증, 혈뇨, 요로결석, 신염(腎炎), 자궁출혈, 세균성설사, 폐열(肺熱)로 인한 해수(咳嗽), 만성기관지염, 창상(創傷), 옹저(癰疽)를 치료한다.

ⓓ용법/용량 : 4.5-9g(대제大劑는 30-90)을 달여서 또는 산제(散劑)로 복용한다.

ⓔ배합 금기사항 : 단사(丹砂)를 억제하고 음허(陰虛) 또는 습열(濕熱)이 없는 자는 복용을 피한다. 골석(滑石), 행인(杏仁), 사간(射干)은 상사(相使), 창포(菖蒲)는 상득(相得)이다.

 

2.석위근石韋根

석위(石韋) 및 동속(同屬) 근연식물(近緣植物)의 근경(根莖)이다.

ⓐ약효 : 통림(通淋), 소종(消腫), 제노열(除勞熱), 지혈(止血), 창상출혈(創傷出血)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가루를 산포(散布)한다.

 

3.석위모(石韋毛)

석위(石韋) 및 동속(同屬) 근연식물(近緣植物)의 잎에 있는 털이다.

ⓐ약효 : 화상에 바른다. 

 

유사종

▶우단일엽(P. linearifolia Ching)

▶애기석위(P. petiolosa Ching)

▶세뿔석위(P. tricuspis Tagawa) 

 

 

 

 

브리태니커

석위 [Pyrrosia lingua, 石葦]

 

고란초과(皐蘭草科 Polypldiaceae)의 상록 양치식물.

뿌리줄기는 땅속에 있으며 길고 다갈색 인편(鱗片)들로 덮여 있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27㎝ , 너비 2~6㎝이다.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잎 뒷면에는 갈색의 별처럼 생긴 털들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6~26㎝ 정도이다. 포자낭은 잎 뒤에 골고루 퍼져 있으며 포막(苞膜)은 없다.

 

잎 또는 식물 전체를 그늘에 말린 것을 석위라 하여 한방에서 임질 또는 기관지염의 치료나 이뇨제로 쓴다.

 

남쪽 지방의 그늘진 바위나 오래된 나무 표면에 자라지만 현재는 많은 관엽식물 품종들이 만들어져 널리 심고 있다.

잎에 잔털이 밀생하는 우단일엽(P. linearifolia), 잎이 단풍잎처럼 갈라져 있는 세뿔석위(P. tricuspis), 석위와 비슷하지만 잎이 작은 애기석위(P. petiolosa) 들도 석위처럼 이용된다. 申鉉哲 글

 

 

 

 

 

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

석위

 

한자 石葦

학명 Pyrrosia lingua(THUNB.) FARWELL

생물학적 분류 고사리과

집필자 안덕균

 

[정의]

고사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내용]

주로 암벽의 음습지에 붙어서 살기 때문에 고려 때의 이두향명으로는 석화(石花)라 하였으며, 『물명고(物名考)』에는 바위옷이라 하였다. 학명은 Pyrrosia lingua(THUNB.) FARWELL이다.

 

근경은 옆으로 길게 벋으며 지름 3㎜이고, 적색 또는 다갈색 인편(鱗片)으로 덮인다. 인편은 선상피침형으로서 길이 4㎜ 정도이며, 밑부분은 흑갈색이지만 끝과 가장자리로 갈수록 연해져서 회갈색으로 되고 가장자리에 털 같은 돌기가 있다.

 

잎과 뿌리는 진해·거담·평천작용이 있어 약재로 쓰인다. 비뇨생식기질환으로서 임질·요도염·방광염·신염 등의 증상에 이뇨·해열효과를 나타내고, 요도결석에도 다른 약물과 배합하여 이용한다. 만성기관지염에도 효과가 인정되며, 급만성신염·신우신염에도 소염·이뇨작용을 나타낸다.

 

[참고문헌]

『향약채취월령』(안덕균,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83)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이창복, 향문사, 1982)

『中藥大辭典』(江蘇新醫學院, 上海 科技出版社, 1979)

 

 

 

 

두산백과

석위[石韋]

 

우리나라에서는 고란초과의 석위(Pyrrosia lingua Thunberg Farwell) 또는 동속 식물의 잎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석위를 비롯해서 애기석위(>Pyrrosia petiolosa Ching:유병석위(有柄石葦)), 여산석위(Pyrrosia sheareri Ching 慮山石葦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공정생약에 수재되지 않았다.

 

석위의 잎과 뿌리를 약용한 것으로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평하다. 소변을 잘 보게 하고 임증을 낫게 하며 폐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다. 기침, 임증, 피가 섞인 소변 등에 사용한다."

 

석위

석위의 잎과 뿌리를 약용한 것으로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평하다. 소변을 잘 보게 하고 임증을 낫게 하며 폐열을 내리는 효과가 있다. 기침, 임증, 피가 섞인 소변 등에 사용한다.석위는 자갈밭에서 가죽 같은 잎이 나오기 때문에 부드러운 가죽을 뜻하는 위(韋)를 써서 지어진 이름이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약간 차다.(苦甘微寒)

 

석위는 이뇨작용이 있어 방광 및 요로결석, 혈뇨에 동통을 수반하는 경우, 급성신염의 수종, 방광습열로 인해 소변이 시원치 않을 때 쓰며 진해, 거담, 토혈, 코피, 자궁출혈, 각혈 등에 사용한다.약리작용은 진해, 거담, 평천, 항균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피침형 또는 난상피침형으로 잎이 두껍고 잎의 윗면은 황록색이며 뒷면은 회백색이나 갈황색으로 갈색의 털이 있고 주맥이 융기되어 있으며 엷은 포자낭이 덮여 있다. 이 약은 두껍고 황록색인 것이 좋다.

석위[石韋] (두산백과)

 

 

 

 

 

 

몸에 좋은 산야초

석위

 

학명: Pyrrosia lingua FARWELL

생약명: 석위(石韋), 석피(石皮), 석란(石>蘭), 석검(石劍0

분포: 제주도와 남쪽의 따뜻한 고장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사철 푸른 잎을 가지고 있으며 길게 뻗어나가는 뿌리줄기가 있다.피침 모양의 적갈색 비늘조각에 덮여 있는 뿌리줄기의 곳곳에서 잎이 자라난다. 잎자루는 10cm 안팎이고 별 모양의 작은 비늘조각이 흩어져 있다. 잎은 피침 꼴이고 가죽처럼 두텁고 빳빳하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깃털처럼 생긴 잎맥이 두드러져 보이는 잎 뒷면에는 작고 둥근 홀씨주머니가 전체적으로 퍼져 있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에는 연한 갈색의 미세한 비늘조각이 치밀하게 깔려 있어 담갈색으로 보인다.

 

분포

제주도와 남쪽의 따뜻한 고장에 분포한다. 산지의 나무 그늘에 자리한 바위에 붙어사는데 담장 위에 덮어놓은 기와 틈에 붙어사는 것도 있다.

 

생약명

석위(石韋). 석피(石皮), 석란(石蘭), 석검(石劍)이라고도 부른다.

 

사용부위

잎을 약재로 쓰는데 애기석위(petiolosa CHING)와 세뿔석위(hastata CHING)의 잎도 함께 쓰이고 있다.

 

채취와 조제

봄부터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뿌리줄기와 잔뿌리를 따버리고 햇볕에 말린다. 잎 뒤의 비늘을 깨끗이 닦고 잘게 썬다.

 

성분

잎에는 디플로프텐(Diplopten)과 베타-사이토스테롤(β-Sitosterol)을 함유하고 있다.

 

약효

이뇨와 청폐 즉 폐를 맑게 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종기를 가시게 하는 작용도 한다. 따라서 임질을 비롯하여 요로결석, 신장염, 혈뇨 등을 다스리는 약으로 쓰이며 폐의 열기로 인한 기침이나 기관지염 등의 치료에도 사용된다. 그밖에 악성종기와 월경이 멈추지 않는 증세 등에 쓰인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1.5~3g씩 200cc의 물로 달이거나 또는 곱게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일본에서는 정기를 돋구는 데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다루고 있다.

(몸에 좋은 산야초, 2009.11.15, (주)넥서스)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 뻐꾹채/이상헌님, 김효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紅枾님, 초록뫼/송종문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새벽바다 김봉석님, 바람소리님, 장수하늘소님,

 

 

 

고란초 | 식물도감(植物圖鑑)

석위 | 珍島의 植物

석위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석위 (石韋)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1. (4,903種중 1.가래과 - 650.국화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珍島의 植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뿔석위  (0) 2014.11.23
애기석위  (0) 2014.11.23
털마삭줄  (0) 2014.11.17
마삭줄  (0) 2014.11.17
나도은조롱  (0) 201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