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개정향풀

호남인1 2014. 11. 17. 19:29

 

 

 

 

 

개정향풀

학명: Trachomitum lancifolium (Russanov) Pobed. 

 

이명: 다엽꽃, 갯정향풀 /영명: /꽃말:

분류: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용담목 > 협죽도과 > 개정향풀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중앙아시아 /서식: 산이나 들 /크기: 키 40~80cm 

생약명: 전초(全草)를 羅布麻(나포마)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

협죽도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 40~80센티미터로, 6월에 자주색 꽃이 원추 꽃차례로 핀다. 씨에는 머리카락 같은 털이 있으며, 잎자루가 짧고 잎 모양은 타원형이다. 중부 이북 지방의 산이나 들에 자란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개정향풀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5158&mn=KFS_28_01_02_01

 

 

-------------------------------------------------------------

잎은 원줄기에서는 호생하며 가지에서는 대생하고 피침형 또는 타원형이며 둥근 끝에 엽맥의 연장인 돌기가 있고 길이 2.5~5.5cm, 나비 5-17mm로서 밑부분이 둔하거나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mm정도이다. 

 

열매는 골돌로 얇고 길이 12cm정도이며 종자에 머리카락 같은 종모가 있다. 

 

꽃은 6월에 피며 자주색이고 정생하는 원추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꽃받침과 더불어 잔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길이 1.5mm정도로서 가장자리가 백색 막질이고 화관은 통부의 길이가 3.5mm정도로서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진다. 

 

높이 40-80cm이고 털이 없으며 가지는 가늘고 분백색이 돈다. 

근경은 목질. 

중국 / 한국(인천시 옹진군; 경기도 시흥시, 여주군, 평택시; 강원도 삼척시; 충청북도 단양군)에 분포서식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산이나 들에 난다. 

 

 

생약명

전초(全草)를 羅布麻(나포마)라 하며 약용한다.

 

①성분 : 뿌리는 cymarin 및 strophanthidin, K-strophanthidin-β를 함유한다. 잎은 rutin, d-catechin, anthraquinones,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염화칼륨 등을 함유하며, 또한 quercetin 및 isoquercitrin을 함유하고 또 전초는 neoisorutin을 함유한다.

②약효 : 瀉火(사화), 降壓(강압), 强心(강심), 利尿(이뇨)의 효능이 있다. 심장병, 고혈압, 신경쇠약, 肝炎腹脹(간염복창), 腎炎浮腫(신염부종)을 치료한다. 어린 잎은 쪄서 볶아 비벼 차 대신 복용하면 淸凉(청량)하여 火(화)를 가시게 하고 頭暈(두운-현기증)을 방지, 强心(강심)의 효능이 있다.

③용법/용량 : 6-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끓는 물에 담가서 마신다. 

 

전국적으로 7~8곳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는 군집을 이루어 자란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개정향풀

 

학명: Trachomitum lancifolium (Russanov) Pobedimov

개화시기: 6월~7월

분포지: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중앙아시아

 

일반적특징

다년초로 가지는 가늘고 길며 높이 40~80㎝이고 털이 없으며 분백색이 돌고 근경이 목질이다. 잎은 원줄기에서는 호생하나 가지에서는 대생하고 피침형 또는 타원형으로 길이 2.5~5.5㎝, 너비 5~17㎜이며 끝은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은 둔하거나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길이 2㎜ 정도이다.

 

꽃은 6~7월에 자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원추화서로 달리며 소화경은 꽃받침과 더불어 잔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깊이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화관은 종형이고 통부는 길이 3.5㎜ 정도이며 끝이 5열하고 과실은 골돌이다.

 

본종은 정향풀에 비해 꽃밥은 암술머리와 합착하고 기부에 부속체가 있으며 화관은 종형이고 종자에 머리칼 같은 털이 있다.

 

생태적특징

산야에 난다. 충북(단양), 황해(장연), 평남(진남포)에 나며 만주, 중국, 몽골, 시베리아, 티베트, 히말라야, 중앙아시아에 분포한다.

출처: 개정향풀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1996.11.15, 아카데미서적)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학지님, 심슨님, 하늘금님, 마야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윤재규님, 임수철님, 길가들풀님,

 

 

 

 

협죽도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개정향풀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7. - 4,903種중 (4204. 쥐손이풀과 - 4901. 흑삼릉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오동과  (0) 2014.11.18
수궁초  (0) 2014.11.17
정향풀  (0) 2014.11.17
마삭줄속  (0) 2014.11.17
노랑협죽도  (0) 2014.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