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첩협죽도
학명: Nerium indicum for. plenum Makino
이명: 많첩협죽도 /영명: Common Oleander, Rosebay /꽃말:
분류: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용담목 > 협죽도과 > 협죽도속
원산지: 인도 /분포: 한국(재배),일본,대만 /서식: 토심이 깊고 비옥한 사질양토 /크기: 높이 3m정도.
생약명: 가지와 잎은 강심(强心)·이뇨(利尿)·고혈압 등에 약재로 쓴다.
상록활엽관목.
본종인 협죽도와 비슷하나 꽃잎이 겹으로 된 것이 특징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진다. 암술대는 1개이며, 수술은 5개로 화관통에 달린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윤생하고 선형이며 두껍고 길이 7-15cm, 폭 8-20m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골돌은 선형이고 길이 10cm정도이며 종자에 연한 갈색 털이 밀생한다.
꽃은 많첩이며 7-8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흔히 적색이지만 백색도 있으며 가지끝의 취산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꽃잎은 윗부분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후부에 실같은 부속체가 있다.
인도원산의 상록활엽관목으로 높이 3m정도 성장하며 제주도 및 남부 각지에서 재배하며 일본과 대만에도 분포한다.
내한성은 약하나 공해에 강하며 토심이 깊고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생장이 신속하다.
광선: 양생 /내한성: 약함 /토양: 비옥 /수분: 보통
번식은 줄기를 물에 담갔다가 꺾꽂이한다.
남쪽지방의 공원수나 가로수 등의 관상용으로 식재하고 수피와 뿌리는 약용(강심제)으로 쓴다.
유사종
▶서양협죽도(N. oleander)
▶노랑협죽도(for. lutescens Makino): 노랑 꽃이 피는 것.
▶흰협죽도(for. leucanthum Makino): 흰꽃이 피는 것.
특징
1920년경에 우리 나라에 도입되어 제주도에서는 야외에 식재하고 내륙지방에서는 분에 식재하여 관상한다,
두산백과
만첩협죽도
쌍떡잎식물 용담목 협죽도과의 상록활엽 관목.
학명: Nerium indicum for. plenum
원산지: 인도
분포지역: 한국(중부 이남·제주도)·인도
서식장소/자생지: 습기가 많은 사질 양토
크기: 높이 3m 내외
습기가 많은 사질 양토에서 자란다. 높이 3m 내외이며,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울타리 같은 형태를 이룬다. 나무껍질은 검은 갈색이며 밋밋하다. 잎은 돌려나며 길이 7~15cm의 길쭉한 줄 모양이다. 두껍고 짙은 녹색을 띠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7~8월에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피며, 새로 자란 가지 끝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본종인 협죽도와 비슷하나 꽃잎이 겹으로 된 것이 특징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진다. 암술대는 1개이며, 수술은 5개로 화관통에 달린다. 열매는 줄 모양이며 10월에 익는다. 길이 10cm 정도의 골돌이 달리고 그 안에 연한 갈색 털이 빽빽이 난 종자가 들어있다.
공해에 강하고 방음 효과가 있어 가로수나 울타리용으로 많이 심는다. 번식은 꺾꽂이로 하며,
가지와 잎은 강심(强心)·이뇨(利尿)·고혈압 등에 약재로 쓴다. 인도 원산으로 한국(중부 이남·제주도)·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만첩협죽도 [─夾竹桃] (두산백과)
협죽도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협죽도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만첩협죽도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7. - 4,903種중 (4204. 쥐손이풀과 - 4901. 흑삼릉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삭줄속 (0) | 2014.11.17 |
---|---|
노랑협죽도 (0) | 2014.11.16 |
흰협죽도 (0) | 2014.11.16 |
협죽도 (0) | 2014.11.16 |
협죽도속 (0) | 201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