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디풀
학명: Polygonum aviculare L
이명: 돼지풀, 옥매듭, 편축 /영명: /꽃말: 나를 깔고 앉지 말아요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마디풀속
원산지: 한국 /분포: 북반구 온대지방 /서식: 길가의 빈터 /크기: 높이 30-40cm.
생약명: 全草(전초)를 편축이라 하며 약용한다.
1년생초본
마디풀과에 속한 한해살이풀. 잎은 타원형으로 어긋나며 잎자루와의 사이에 마디가 있다. 6~7월에 홍백색의 꽃이 핀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줄기와 잎은 약재로 쓴다. 북반구의 온대 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어긋나고 엽병이 짧으며 장타원형 또는 선상 타원형이고 양끝이 둔하며 길이 1.5-4cm, 폭 3-12mm로서 말랐을 때는 녹색이다. 초상의 탁엽은 막질이고 2개로 크게 갈라진 다음 다시 잘게 갈라지며 길이 5-10mm로서 가는 맥과 더불어 가장자리에 굵은 털이 있다.
소견과는 난형이며 흑색 또는 갈색을 띠고 3개 모서리가 있으며 화피보다 짧으며 잔점이 있고 윤채가 없다. 열매는 꽃받침으로 싸였고 9-10월에 익는다.
꽃은 양성으로서 6-7월에 피고 1개 내지 여러개씩 액출(腋出)하며 꽃받침은 녹색 바탕에 흰빛 또는 붉은빛이 돌고 5조각으로 깊게 갈라지고 타원형이며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6-8개이고 화주는 3개이다.
높이 30-40cm이고 가늘며 길고 곧게 서는 것도 있으나 흔히 옆으로 비스듬히 눕는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다소 딱딱한 감이 들고 세로로 줄무늬가 있다. 전체에 흰가루가 있어 녹백색을 띤다.
▶북반구 온대지방에 분포한다.
길가의 빈터에서 흔하게 자란다.
종자로 번식한다.
결실기: 9월, 10월
▶어린 잎을 식용으로 한다.
생약명
▶全草(전초)를 편축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6-7월초(망종~소한) 개화시에 채취,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는 avicularin, quercetin, d-catechol, 沒食子酸(몰식자산), 카페산, 蓚酸(수산), 硅酸(규산), 클로로겐산, p-coumar酸(산), 점액질, 포도당, 과당, 蔗糖(자당)을 함유한다. 규산의 분포는 잎 1.6%, 줄기 0.6%, 뿌리 0.4%이다.
③약효 : 이뇨, 淸熱(청열), 살충의 효능이 있다. 熱淋(열림), 융폐(배뇨곤란), 황달, 陰蝕(음식-여자음부의 瘙痒症(소양증)), 白帶(백대), 회충, 疳積(감적), 痔瘡(치창), 습진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9g을 달여서, 또는 짓찧어서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유사종
▶큰옥매듭풀(P. bellardi Allioni var. effusum): 마디풀과 비슷하나,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진다.
▶이삭마디풀(P. polyneuron): 원줄기는 많이 갈라지고, 능선이 많으며, 털이 없다.
브리태니커
마디풀 [Polygonum aviculare]
마디풀과(―科 Polygonaceae)에 속하는 1년생초.
들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연초록색을 띠는 줄기는 단단하며 30㎝ 정도 곧추서서 자라지만 때때로 옆으로 비스듬히 누워 자라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에 비해 너비가 매우 좁은 타원형이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줄기를 감싸고 있는 턱잎의 위쪽에는 털들이 나 있다.
흰색 바탕에 홍백색의 꽃이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 또는 여러 송이가 무리져 핀다. 꽃잎은 없으나 꽃받침이 꽃잎처럼 보인다. 열매는 세모지며 꽃받침에 붙어 있다.
이른봄에 어린잎을 캐서 삶은 다음 나물로 먹기도 한다.
식물 전체를 가을에 캐서 그늘에서 말린 변축(萹蓄)은 한방에서 복통·이뇨·황달·구충 치료에 쓴다.
출처: 식물 | 브리태니커
몸에 좋은 산야초
마디풀
학명: Polygonum aviculare L.
생약명: 편축, 편죽, 노변초(路邊草), 분절초(粉節草)
개화기: 6~7월
분포: 전국
1. 특징
한해살이풀로 가늘고 긴 줄기는 비스듬히 눕거나 곧게 서고 가지를 치면서 30cm 안팎의 높이로 자란다.짤막한 잎자루를 가진 잎은 마디마다 서로 어긋나게 자리한다. 피침 꼴 또는 길쭉한 타원 꼴인 잎은 끝이 무디며 길이는 3~4cm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겨드랑이를 흰 칼자루와 같이 생긴 받침잎이 둘러싸고 있으며 그 속에서 좁쌀 만한 크기의 꽃이 피어난다. 꽃은 잎겨드랑이마다 1~3송이가 피어나며 꽃잎은 없다. 다섯 갈래로 갈라진 꽃받침이 붉은 빛을 띠기 때문에 꽃 전체가 분홍빛으로 보인다.
2. 분포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길가나 풀밭에 흔히 난다.
3. 약용법
생약명: 편축. 편죽, 노변초(路邊草), 분절초(粉節草)라고도 한다.
사용부위: 잎과 줄기를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 여름철에 꽃이 피는 것을 기다려서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때로는 생것을 쓰기도 한다.
성분: 아비쿨라린(Avicularin), 하이페린(Hyperin), 퀘르시트린(Quercitrin),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레이노트린(Reynoutrin), 루틴(Rutin) 등을 함유한다.
약효: 이뇨작용과 살균의 효능을 가지고 있다. 적용질환으로는 임질,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세, 황달, 장염, 대하증, 습진, 회충구제 등이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4~6g씩 200cc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생풀을 짓찧어 즙을 내서 복용해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생즙을 낼 때에는 40~60g의 생풀을 이용한다.
4. 식용법
4~5월에 연한 순을 따다가 나물로 무쳐 먹는다. 약간 쓴맛이 나므로 데친 뒤 잠시 찬물에 담가 쓴맛을 우려내어야 한다. 약간의 쓴맛은 위장을 좋게 하므로 때로는 우려내지 않고 그냥 먹어도 좋다.
저자 - 장준근
출처: 마디풀 (몸에 좋은 산야초, 2009.11.15, (주)넥서스)
다음 TiP
마디풀 (Polygonum aviculare L.)
● 마디풀과(Polygonaceae) 식물입니다.
● 은매듭, 옥매듭풀, 매듭나물, 백절(百節) 등의 많은 이름이 있습니다. 북한에서는 돼지풀이라고도 부르는데, 알러지를 일으키는 국화과의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Descourtils)과는 완전히 다른 식물입니다. 또한 콩과의 매듭풀(Kummerowia striata Schindl.)과도 다른 식물입니다. 한의학명은 편축(篇蓄)입니다.
● 학명에서의 Polygonum 은 마디가 많다는 뜻이며, aviculare 는 새가 좋아한다는 의미입니다. 영어로는 bloodwort, bird's-knot-grass, centynody 등으로 부릅니다. 아마도 이 식물의 씨앗을 새가 무척 좋아하는가 봅니다. 학명에도 새가 좋아한다는 뜻이 들어 있고, 영어명칭 중에서도 bird's-knot-grass라는 이름이 있는 걸 보면...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이 식물의 가장 큰 특징은 많은 마디가 많다는 것입니다. 한자명칭의 백절(百節)과 영어명칭의 centynody가 모두 '백 개의 마디'를 뜻한다는 사실이 흥미롭지 않습니까?
● 마디풀은 곳곳의 길가 등지에서 볼 수 있는 한해살이풀입니다. 크기는 다 자라도 사람 무릎보다 낮으며, (이름이 말해주듯) 마디가 많고, 약간 누워서 자랍니다. 잎은 어긋납니다. 꽃은 초여름에 피며, 양성화이고, 녹색이거나 분홍색, 흰색이며, 잎겨드랑이에 몇 송이가 모여 핍니다. 열매는 수과이며, 세모집니다.
출처: 다음 TiP
문화원형백과사전
마디풀의 전설
어느 해 여름 하늘의 칠 선녀가 인간 세상을 내려다보니 백두산 천지가 휘황찬란하며 천하비경임을 알고 무지개를 타고 천지에 가게 된다. 백두산의 열여섯 기봉에 흠뻑 취한 후 선녀들은 비단 선녀 옷을 벗어 놓고 천지 못에 뛰어든다.
반나절이 흐르고 선녀들은 몸의 피곤함을 풀 위에 누워 오순도순 속삭이며 풀어가고 있다. 풀 위에 눕자 자꾸만 뾰족한 무언가가 선녀들의 잔등을 콕콕 찌른다. 이에 큰언니가 찬찬히 눈여겨보니 그것을 끝이 바늘같이 생긴 뾰족한 파란 풀이다.
칠 선녀들은 잔잔한 흥을 깨뜨리는 풀끝을 모조리 꺾어버리기 시작했다. 이때로부터 칠 선녀는 여름 한철이 다 할 때까지 백두산에서 노닐면서 그 때마다 한초, 마관초, 갈대의 줄기와 잎 끝을 어김없이 다 꺾어 놓고 한다.
백두산 길피 마다의 마디풀은 이렇게 하여 생겨나게 된 것이다.
출처 문화원형백과사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꽁지님, 깜보/송동섭님, 도린곁님,
다음 자연박물관 /포토겔러리
마디풀과(Polygon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마디풀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마디풀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마디풀 (0) | 2014.10.30 |
---|---|
개마디풀 (0) | 2014.10.30 |
마디풀속 (0) | 2014.10.29 |
장군풀 (0) | 2014.10.29 |
대황의 약성.효능 (0) | 201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