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대황의 약성.효능

호남인1 2014. 10. 29. 07:22

 

 

 

 

 

대황의 약성.효능

 

대황속

속명: Rheum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대황속

대황속은 소리쟁이속에 비해 뿌리가 비후하다. 뿌리는 약용한다.

 

 

 

두산백과

대황[大黃]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대황류의 뿌리로 만든 한약재.

 

대황

대황류의 식물인 장엽대황(Rheum palmatum L.:掌葉大黃), 당고특대황(Rheum tanguticum Maximowicz:唐古特大黃), 약용대황(Rheum officinale Baillon:藥用大黃)의 뿌리줄기를 사용하여 만든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지 않는 풀이기 때문에, 중국산 대황류의 뿌리를 이용한다.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개대황(Rumex longifolius DC.), 토대황(Rumex aquaticus L.)을 대용품으로 사용되기도 하나 효능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약재의 바깥 면은 황갈색~엷은 갈색을 띄고, 흰색의 가는 그물눈 모양이 치밀하고 단단하게 구성되어 있다. 내부 조직은 갈색의 작은 원이 고리모양(環狀)으로 배열되거나 불규칙하게 산재된 형상을 한다. 대황(大黃)이란 이름은 색깔이 누렇고 약효가 매우 빠르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장군(將軍)’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오래된 것을 배출시키고 새로운 것을 공급하는 약재의 특성이 적을 무찌르고 태평성대를 이르게 하는 장군과 같다 하여 붙여졌다.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입에 넣고 씹으면 가는 모래를 씹는 느낌이 난다. 떫고 쓴 맛이 나고 찬 성질을 가지고 있다. 대황을 복용하면 설사를 하여 체내의 독(毒), 열(熱)을 없앤다는 ‘사하작용’이 일어난다. 장위를 세척하고 대사를 촉진하며 열성변비와 더부룩한 속을 치료한다. 또한 두통, 충혈, 인후통, 변비, 코피, 토혈, 종기에 효과가 있고 이뇨, 부종에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대장운동촉진, 해열, 체온강하, 담즙분비 촉진, 혈액응고 시간 단축, 항균, 이뇨, 간기능 보호 등이 알려져 있다.

출처: 대황 [大黃] (두산백과)

 

 

 

 

 

 

문화원형 백과사전

대황[大黃]

다른이름 : 黃良(황량),火參(화삼),蜀大黃(촉대황),川軍(천군),將軍(장군),牛舌大黃(우설대황),生軍(생군),膚如(부여),錦紋大黃(금문대황),

약       맛 : 고(苦)     

귀       경 : 간(肝)  비(脾)  위(胃)  대장(大腸)    

주       치 : 口舌生瘡, 衄血, 目齒腫痛, 膀胱蓄血, 痞滿燥實, 産後腹痛, 水火湯傷, 濕熱下痢, 濕熱黃疸, 實熱便秘, 癰腫疔瘡, 腸癰, 積滯腹痛, 跌仆損傷, 太陽病誤治攻下, 吐血, 血瘀閉經

약용부위 : 뿌리

처       방 : 가미형황탕(加味荊黃湯 ) : 의학입문                  강활도체탕(羌活導滯湯) : 의학입문

금       기 : 表證未解者, 血虛氣弱, 脾胃虛寒, 無實熱積滯, 胎前産後의 경우에는 使用을 忌해야 한다. 설사를 일으키는 성분이 젖으로도 나가기 때문에 授乳期의婦人은반드시주의해서사용해야한다.

산       지 : 영천

효       능 : 攻積導滯, 凉血解毒, 活血祛瘀

주치증상 : <본경(本經)> : 어혈(瘀血)이 뭉친 것을 배출시키고, 한열왕래(寒熱往來)를 치료하며 복부에 덩어리가 뭉친 것을 없애고 담음(痰飮)과 음식이 체한 것을 내린다. 장위(腸胃)를 씻어냄으로써 위장관(胃腸管) 속의 오래된 숙변 같은 것을 밀어내고 새로운 것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비위(脾胃)의 기능을 조절하고 음식물의 소화를 조절함으로써 오장(五臟)을 조화롭고 편안하게 한다.

<별록(別錄)> : 위기(胃氣)를 평정하여 하기(下氣)를 돕고 비정상적으로 끊적이는 진액을 제거하고 장(腸)에 열(熱)이 뭉치는 것을 없앰으로써 배가 빵빵하고 그득한 것을 치료한다. 도한 여성이 자궁이 차가워서 발생하는 월경불통, 아랫배 통증 및 어혈이 고여 있는 것을 치료한다.견권(甄權) : 여성의 월경을 잘 통하게 하고 수종(水腫)을 없애며 대소장(大小腸)을 잘 통하게 한다. 붓고 열이 나는 부위에 붙이기도 한다. 소아의 전염병으로 인한 발열을 다스리고 가슴이 답답하고 열나는 증상을 치료하며 곪는 것을 삭힌다.

지대명(池大明) : 모든 기(氣)가 울체된 것을 잘 통하게 하고 혈관을 조절하며 관절을 부드럽게 한다. 수기(水氣)가 울체된 것을 배설하고 열성 전염병과 학질을 치료한다.

장원소(張元素) : 실열(實熱)로 인한 변비를 치료하고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을 제거하고 식체(食滯)를 없애며 명치부위가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이시진(李時珍) : 피와 고름이 포함된 설사를 하는 증상, 갑자기 배가 아프면서 설사하는 증상, 소변이 똑똑 떨어지는 증상, 실열(實熱)로 인하여 변이 마르고 굳어진 것, 일정한 시간에 발열이 나면서 헛소리를 하는 것, 황달 및 모든 화기(火氣)로 인한 부스럼을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황량(黃良), 장군(將軍), 화삼(火參), 부여(膚如)가 있다.

도홍경(陶弘景) : 대황(大黃)은 그 색이 누렇다. 장군(將軍)이라는 명칭은 그 매우 효과가 빠르기 때문이다.

이고(李杲) : 오래된 것들을 배출시키고 새로운 것들을 공급하는 것이 적을 무찌르고 전란을 안정시킴으로써 태평(太平)한 시절을 이르게 하는 장군과 비슷한 점이 있으므로 장군(將軍)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출처 문화원형 백과사전

 

 

 

 

 

한국민속문화대백과사전

대황

 

한자 大黃

재질 장엽대황 뿌리|당고특대황 뿌리

용도 약용|치료

집필자 안덕균

 

[정의]

여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장엽대황(掌葉大黃, Rheum palmatum L.)과 당고특대황(唐古特大黃, Rheum tanguticum MAX. et. REG.)의 뿌리로 만든 약재.

 

[내용]

중국의 사천성 등지에서 재배하고 있다. 약효성분은 크리소파놀(Chrysophanol)과 에모딘(Emodin)·레인(Rhein)·센노사이드(senoside) 등이 알려져 있다. 약의 맛은 쓰고 약성은 차다.

 

효능은 체내에 과다하게 축적되어 있는 열을 내리므로 피부반진·변비·혈압 상승을 치료하고 안구 충혈과 동통을 치료한다. 쓴맛을 소량 복용하였을 때에는 건위 소화작용을 보이지만 1회 4g 이상을 복용하면 설사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이질초기증상에도 쓰이며, 열로 인한 토혈·코피·급성황달에도 유효하고, 피부의 종기가 발열·동통·발적이 심한 증상, 그리고 탕화상 등에 널리 활용된다. 또한, 충수돌기염의 초기증상에 현저한 치료반응을 나타내고, 어혈성으로 인한 월경불통, 적취증가에도 활용된다.

 

이 약이 건조된 것은 분말이 잘되므로 겨울에 많이 발생하는 동상에 가루를 내어 환처에 바르면 소염작용이 탁월하여 상처가 쉽게 치유된다.

 

최근의 임상결과에서 보면 혈소판 감소성질환에 지혈효과가 탁월하였고, 구강염과 구순궤양, 그리고 모낭염 등에 12∼25g을 물로 다려서 입안에 물고 있다가 넘기거나 양치질하고 또 환처를 세척하기를 1일 4∼5회 실시하면 치유된다.

 

탕화상에도 오래된 석회와 함께 가루 내어 환처에 뿌리면 부작용 없이 치료된다. 동물실험에서는 사하작용과 항균작용 항암작용 및 혈압강하작용이 입증되었다.

 

1회 4∼15g을 복용하는데 외용시에는 환처에 따라 선용(선택해 사용함)한다. 몸이 차고 설사를 하는 사람은 피해야 한다는 금기사항이 있다. 또, 소화기가 약한 사람과 임신 전후에는 복용치 않는다.

 

[참고문헌]

『한국본초도감(韓國本草圖鑑)』(안덕균, 교학사, 1998)

『中藥大辭典』下(江蘇新醫學院 編, 上海科技出版社, 1978)

 

대황은 일반적으로 참대황과 대황, 수입대황이 유통되고 있으며 중국산도 다수의 비중을 차치하고 있다. 국산 대황과 중국산 대황은 비슷한 크기와 겉표면을 가지고 있는데 국산대황이 중국산에 비하여 겉이 약간더 밝으나 수입대황은 국산보다는 노란색이 강하다.

절단면을 비교하면 국산이 중국산 대황보다는 안이 더욱 조밀하며 검은 색으로 변한 곳이 더욱더 많은 반면에 중국산은 약간 성글면 절단면의 색이 밝은 황색을 띠고 있으며 검은색의 반점이 적다. 대황은 맛이 쓰고 침을 황색으로 물들이는 성질이 있다.

전체적으로 색깔이 붉은 색을 띠면 띨수록 좋다. 맛을 보면 쓰고 향이 많이 나는 것을 상품으로 친다.

출처: 대황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2004, 한국콘텐츠진흥원)

 

                      

 

 

 

 

[과학백과사전]

대황(Rheum undulatum)

 

Share on facebookShare on twitterShare on google_plusone_share

마디풀과의 다년생 초본. 산골짜기의 습지나 냇가에서 자생하거나 재배한다,

 

높이가 1.5m에 달하며 원줄기는 속이 비었다.

뿌리는 장타원형이며 황갈색으로 매우 단단하고 특이한 냄새가 나며 약간 쓰다.

꽃은 복총상화서(複總狀花序)로 7~8월에 가지와 원줄기 끝에 달리며, 꽃자루가 있는 황백색 꽃이 화서에서 돌려난다.

꽃잎은 없으며 화피(花被)조각은 6개로서 2줄로 배열되고 수술이 9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수과(瘦果)이며 안쪽에 있는 3개의 화피조각으로 싸여 있다.

약용으로 쓰는 것은 뿌리이며 재배종은 4년째에는 무게가 3~5kg이 된다.

대체로 6~7년생의 뿌리를 가을에 채취하여 껍질과 잔뿌리를 제거하고 그대로 또는 잘게 잘라 말린 것을 대황이라고 하며 중국에서는 기원전부터 소염성의 하제로 사용되었다.

지금도 많은 처방에 배합되고 유럽 각국의 약국 처방에도 이용된다.

주성분은 안트라퀴논 유도체와 그 배당체 및 수지 · 타닌 등이며 소량으로는 건위작용을 발휘하고 다량으로는 완하제로 상습변비나 소화불량 등에 사용된다.

시베리아 · 중국 동북부가 원산이며 한국 전역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대황(장군풀)

 

Rheum coreanum nakai  장군풀

Rheum palmatum L.  금문대황

 

분포 : 산(재배) / 개화 : 6월

결실 : 8월 / 채취 : 뿌리

특징 : 성질은 아주 차고 특이한 냄새가 나고 맛은 떫고 쓰다.

효능 :  통변, 항균, 이담, 지혈작용  

 

대황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시베리아가 원산지이다.

높이는 1.5m 정도이고 줄기는 속이 비었으며 잎이 넓다. 7-8월에 노란 꽃이 가지와 원줄기 끝에 피며 9-10월에 결실을 맺는다. 뿌리는 황색으로 배추꼬랑이 모양이다. 6-10년생인 뿌리줄기의 껍질을 벗겨 말린 것을 완하제와 건위제의 생약으로 이용한다.

 

대황은 생약명으로 대황(大黃)이라 하며 다른 이명으로 황량(黃良), 화삼(火蔘)이라고 한다.약효는 뿌리에 있고 채취는 9~10월(3~5년 된 것)을 채취하여 껍질을 벗겨내고 햇볕 또는 불에 건조하여 쓴다. 성미는 차며 쓰다. 독성은 없다.줄기는 속이 비었다.

 

뿌리는 긴 타원형이며 황갈색인데 매우 단단하고 특이한 냄새가나며 씹으면 약간 쓰고 혀를 노랗게 물들인다. 재배종은 4년 된 뿌리가 3~5kg이나 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적은 양을 쓰면 지사(止瀉)가 되지만 많은 양을 쓰면 사하(瀉下)가 된다.

한방에서는 기원전부터 소염성의 하제(下劑)로 쓰고 있으며, 여러 가지 처방에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주성분은 안트라키논 유도체와 그 배당체 및 타닌 등이다. 소량을 섭취하면 건위작용(健胃作用)을 나타내고, 다량의 경우는 완하제(緩下劑)로 상습 변비나 소화불량에 좋으며, 민간약으로는 화상에 쓰기도 한다.

약용할 때 달여서 복용하는데 생것을 쓰며 효력이 강하고, 익은 것을 쓰면 효력이 완만하며, 숯으로 마른 것은 지혈력이 강하다.

 

▲ 대황(몽골)

아시아의 온대와 한대지역에 약 50여종이 분포한다. 대황은 중국에서 러시아를 통해 유럽으로 수출되었으며 대황의 원식물의 속명 Rheum의 어원인 Rha는 볼가강의 옛이름으로 당시 대황의 이입경로를 보여준다.

 

금문계대황

예부터 대황은 최상품으로 錦紋重質系의 것을 쳤다. 장군풀도 금문계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금문계 대황은 2500~3000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 자생한다. 뿌리에 횡단면에 여러개의 별 모양 무늬가 띠 형태로 배열되는데 이를 '금문'이라 한다. 낮은 곳에서 자라는 것으로 토대황, 종대황이 있으며 뿌리에 금문이 없으며 약호면에서 고지성 금문 대황에 비해 매우 떨어진다. 중국시장에선 금문계대황을 서녕형, 전수형, 마제형으로 나눈다.

 

생김새

대황은 중국의 북서부가 원산지인 마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가 씨앗으로 번식한다. 다른 약초들에 비해 포기가 크고 튼튼하며 '장군'이란 별명이 있다.

뿌리가 굵고 황색이므로 '대황'이란 이름이 붙었으며, 원줄기는 높이가 약 2cm로 곧게 자라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큰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으로 넘실거린다. 초여름에 원줄기 끝에 옅은 황녹색의 작은 꽃이 모여 핀다.

가을에 뿌리줄기를 파내서 흙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것을 약용으로 사용한다. 옛날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 중국에서 이제 전국시대에 펴낸 『산해경』에 그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서양에선 Discorides의 『그리스 본초』에 기재되어 있다.

뿌리는 달걀꼴 또는 긴 원주형이며 직경이 4∼10cm, 길이가 5∼15cm이며 껍질은 거의 벗겨져 있다. 질은 치밀하고 단단하다. 입에 넣고 씹으면 가는 모래를 씹는 느낌이 있다.

 

효능

대황은 열성변비를 치료하는 요약으로 응용범위가 광범위하다. 대변을 통하게 할 뿐 아니라 항균, 이담, 지혈, 항종양 등의 적용이 있다.

 

위 개대황 잎 - 중간 소루쟁이 잎 - 아래 수영 잎

 

 

질병에 따라 먹는 방법

열성 질병에는  이럴 때는 체액의 소모가 심해 변비가 계속되며 복부가 창만해지고 심하면 고열이 나며 헛소리를 하게 된다. 이때 대황 12g에 지실, 망초, 후박을 넣어 쓴다.

 

중년 이상의 상습성 변비에는  대황 4∼8g에 나복자(蘿蔔子) 8g을 넣고 달여 꿀을 첨가해 복용한다.

 

노인이나 만성 변비가 있다면  대황 8g을 쓰는데, 만약 몸이 차서 생긴 변비라면 부자나 당귀, 건강을 넣어 써야 몸이 상하지 않는다.

급성 장염으로 고열과 복통이 계속되며 대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으면  갈근, 황금, 황련, 황어, 대황 8g을 넣어 쓴다.

각혈, 비혈, 변혈, 위궤양의 출혈이 급성으로 발생되면  소량의 대황과 지혈약은 같이 쓴다.

피부습진, 피부화상에는  대황을 가루 내어 물에 녹여 바른다.

※주의 : 임산부, 월경기, 수유기에는 신중하게 써야하며, 성질이 아주 차서 만성 장염에 쓰면 안 된다.

 

▲생대황 : 사하작용이 강해 공하에 좋고 탕제에 응용할 때는 나중에 넣어 달이고 따뜻한 물로 거품을 내어 먹는다. 

▲술로 법제한 대황 : 상부의 화열을 끄는데 쓰며 태운 것은 화어지혈 한다.

 

구내염

입안 점막이 부은 정도와 헐어서 피가 나며 궤양이 생기기도 하고 입안 전체에 좁쌀 알 크기로부터 팥알 크기의 흰 점막이 뒤덮이는 수도 있으며 입에서 심한 냄새가 난다. 심한 경우에는 통증으로 인해 먹지도 못하고 말을 할 수 없게 된다.

이같은 구내염 치료에 대황 잘게 썬 것 40g에 물 300ml를 넣고 물을 절반이 되도록 달여 하루 4 ∼ 5회씩 입안을 가셔 내거나 약솜에 적셔 상처부위를 수시로 닦아주면 좋다.

 

양수나 태분이 위장관에 울체되어 아기가 젖을 빨지 못할 때

대황,귤껍질,목향을 같은 양으로 가루 내어 0.5g씩 물에 타서 하루 3번 먹인다.

 

소아변비

대황 4g, 당귀 6g을 가루내어 1살 된 아이에게는 한번에 0.7g 씩 하루 3번 꿀물에 타서 먹인다.

 

발목이 삐었을 때

대황과 치자를 우려낸 물을 밀가루에 묽게 반죽하여 삔 부위에 붙여준다.

 

좌골신경통

대황, 초오(맹독성이니 반드시 법제한 것을 써야한다.), 건강 각각 같은 양을 가루 내어 풀로 반죽하여 녹두알 만한 환을 지어 한 번에 4알씩 하루에 두 번 먹는다.

 

어혈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하면서 그 물을 환부에 자주 바른다.

 

해열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4~5회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냉병(冷病)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단 기준량을 초과하면 설사의 위험이 따른다.

 

거담(祛痰)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출처 :흰그늘님의 블로그(모심과 살림) /http://blog.daum.net/idomyself/6038026

 

 

대황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디풀속  (0) 2014.10.29
장군풀  (0) 2014.10.29
대황  (0) 2014.10.29
대황속  (0) 2014.10.29
나도수영  (0) 201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