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제비꽃과

호남인1 2014. 10. 22. 07:28

 

 

 

 

제비꽃과

 

과명: Violaceae

분류: 피자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제비꽃목 >제비꽃과

 

쌍떡잎식물 갈래꽃류에 속한 과. 대부분은 초본이나 간혹 관목도 있다.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 달리며 턱잎이 있고,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한 개씩 달리거나 원추 꽃차례를 만든다. 꽃받침 조각, 꽃잎, 수술은 다섯 개씩이고 꿀주머니가 있다. 상투가 있으며, 삭과(蒴果)를 맺는다. 16속(屬) 850종(種)이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우리나라에는 제비꽃속의 42종이 자란다. 과명은 Violaceae이다.

 

제비꽃 (Viola grypoceras A.Gray)

 

 

 

 

두산백과

제비꽃과

 

요약: 쌍떡잎식물 갈래꽃의 한 과.

 

학명: Violaceae

계: 식물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제비꽃목

분포지역: 온대지방 및 멕시코·브라질·안데스·아프리카·케이프 등의 열대 산악지대

 

초본이 대부분이지만 간혹 관목도 있다. 잎은 어긋나고 때로는 마주달리며 턱잎은 소형이나 잎 모양이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거나 원추꽃차례를 형성하고 양성화이며 때로 잡성화이고 폐쇄화가 많다. 꽃받침조각·꽃잎 및 수술은 5개씩이고 꿀주머니가 있다. 꽃밥은 씨방을 둘러싸고 아래쪽 2개는 꿀주머니 안에 돌기를 만든다. 씨방은 상위이며 밑씨는 대개 다수이다.

 

열매는 삭과(蒴果)이며 간혹 장과(漿果)도 있다.

 

16속(屬) 850종(種)이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한국에는 제비꽃속의 42종이 자란다. 제비꽃속은 100종이 북반구의 온대에 주로 자라지만 멕시코·안데스·브라질 ·아프리카 및 케이프 등 열대의 산악지대에 많이 분포한다.

출처: 제비꽃과 [Violet Family] (두산백과)

 

남산제비꽃 (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Regel) F.Maek. ex Hara)

 

 

 

위키백과,

제비꽃과

 

제비꽃과: Viola banksii

생물 분류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말피기목

과: 제비꽃과 (Violaceae) Batsch

 

아과

Fusispermoideae

Leonioideae

제비꽃아과 (Violoideae)

 

제비꽃과말피기목의 하위 이다. 크론키스트 분류 체계제비꽃목의 하위 과로 분류했다.

 

분포[편집]

세계 각지에 널리 분포하며, 전 세계에 약 16속의 800종 가량이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는 제비꽃·낚시제비꽃·콩제비꽃·장백제비꽃·노랑제비꽃·각시제비꽃·누운제비꽃·털제비꽃·호제비꽃 등 1속 37종이 분포한다.

 

특징[편집]

대부분 초본이지만, 종에 따라서는 관목인 것도 있으며, 턱잎이 있고 잎은 보통 어긋난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1-2개가 달리는데, 각각의 꽃은 5수화로서 보통 좌우대칭인 양성화이지만, 어떤 속은 방사대칭인 꽃을 가진 것도 있다. 한편, 5개의 꽃잎은 모두 같은 모양이 아니며, 특히 1개는 순판으로 발달되어 밑부분에 꿀주머니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수술은 5개인데, 씨방을 둘러싸고 고리 모양을 이루고 있다. 씨방은 상위로 1개의 방을 가지고 있는데, 그 안쪽 벽에는 다수의 밑씨가 달린다. 열매는 삭과로 익으면 벌어지게 된다.

출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호제비꽃 (Viola yedoensis Makino)

 

 

 

브리태니커

제비꽃류 [violet]

 

제비꽃과(─科 Violaceae) 제비꽃속(─屬 Viola)에 속하는 식물.

 

제비꽃속은 500여 종(種)의 풀 또는 작은 관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세계에 분포한다. 가장 흔히 심는 원예변종 중에는 팬지 가 있는데, 수세기 전부터 정원에서 재배되어온 잡종이다(아프리칸바이올렛 은 제비꽃목이 아니라 현삼목에 속함). 일부 지역에서는 제비꽃을 날것으로 먹거나 요리해서 먹기도 한다. 또한 당밀·사탕·술·향수를 만드는 데 쓰고 있으며, 옛날에는 약품을 만들기도 했다.

 

야생 제비꽃은 1년생 또는 다년생이다. 그러나 제비꽃은 쉽게 잡종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종을 동정하기가 쉽지 않다. 꽃은 꽃자루에 1송이씩만 핀다. 잎과 꽃이 같은 줄기에서 나는 경우와, 줄기가 없이 뿌리에서부터 잎과 꽃이 따로 나는 경우가 있다. 꽃은 5장의 꽃잎을 가지는데, 이중 4장은 2장씩 짝을 이루고 있는 것처럼 보이며, 나머지 1장에는 거(距)가 만들어져 있다. 꽃색은 보통 푸른색·보라색·라일락색·적자색·노란색·흰색 등이다.

 

대부분의 제비꽃은 목초지 또는 습한 숲에서 자란다. 모든 야생종들은 이른봄에 꽃을 피우지만, 일부 재배변종들은 꽃이 더 늦게 핀다. 대부분의 제비꽃은 꽃가루받이가 일어나는 꽃과 일어나지 않는 꽃의 2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꽃가루받이가 일어나지 않는 꽃은 화려하고 봄에 피며, 꽃가루받이가 일어나는 꽃은 눈에 잘 띄지 않는데, 여름에 피며 완전히 닫혀 있어 제꽃가루받이를 한다.

 

북아메리카에 가장 흔히 자라는 종 중에는 비올라 파필리오나케아(V. papilionacea)와 비올라 페다타(V. pedata) 등이 있다. 비올라 파필리오나케아는 키가 20㎝까지 자라고, 잎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는 심장 모양의 잎이 달린다. 꽃은 밝은 보라색부터 어두운 보라색까지 있으나, 흰색을 띠기도 한다. 비올라 페다타는 다년생으로 깊게 갈라진 잎 때문에 'bird's foot violet'이라는 영어 이름이 붙여졌으며, 라일락색과 보라색이 조합된 다양한 색의 화려한 꽃이 핀다. 오도라타제비꽃(V. odorata)은 향기가 좋아 향수를 만드는 데 쓰인다.

 

한국에는 50여 종의 제비꽃속 식물이 자라고 있다. 이중 흔히 자라는 종으로는 꽃이 줄기에서 나오는 연한 자주색의 낚시제비꽃(V. grypoceras), 하얗게 피는 졸방제비꽃(V. acuminata), 이른봄 노란색 꽃을 피우는 노랑제비꽃 , 이른봄 짙은 자주색 꽃을 피우는 제비꽃 , 잎에 무늬가 있는 알록제비꽃(V. variegata), 잎이 갈라져 있는 남산제비꽃(V. dissecta var. chaerophylloides) 등이 있다. 이밖에 외국에서 들어온 팬지를 화분이나 정원에 널리 심고 있다.

출처: 식물 | 브리태니커

 

콩제비꽃 (Viola verecunda A.Gray var. verecunda)

 

 

 

제비꽃속 (Viola) 61종 바로가기

 

제비꽃속(Viola) 62종

각시제비꽃 (Viola boissieuana Makino)

간도제비꽃 (Viola dissecta for. pubescens (Regel) Kitag.)

갑산제비꽃 (Viola kapsanensis Nakai)

경성제비꽃 (Viola yamatsutai Ishid.)

고깔제비꽃 (Viola rossii Hemsl.)

구름제비꽃 (Viola crassa Makino)

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Nakai)

긴잎제비꽃 (Viola ovato-oblonga (Miq.) Makino)낚시

제비꽃 (Viola grypoceras A.Gray)

남산제비꽃 (Viola albida var. chaerophylloides (Regel) F.Maek. ex Hara)

넓은잎제비꽃 (Viola mirabilis L.)

노랑제비꽃 (Viola orientalis (Maxim.) W.Becker)

누운제비꽃 (Viola epipsila Ledeb.)

단풍제비꽃 (Viola albida f. takahashii (Makino) W.T.Lee)

둥근털제비꽃 (Viola collina Besser)

뫼제비꽃 (Viola selkirkii Pursh ex (Goldie) for. selkirkii)

민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for. glabrior (Kitag.) Kitag.)

민둥뫼제비꽃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Makino) F.Maek.)

민둥제비꽃 (Viola phalacrocarpa for. glaberrima (W.Becker) F.Maek. ex H.Hara)

민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for. glaberrima (H.Hara) Kitam.)

반달콩제비꽃 (Viola verecunda var. semilunaris Maxim.)

사향제비꽃 (Viola obtusa (Makino) Makino)

삼색제비꽃 (Viola tricolor L.)

서울제비꽃 (Viola seoulensis Nakai)

선제비꽃 (Viola raddeana Regel)

섬제비꽃 (Viola takesimana Nakai)

아욱제비꽃 (Viola hondoensis W.Becker &H.Boissieu)

알록제비꽃 (Viola variegata Fisch. ex Link var. variegata)

애기금강제비꽃 (Viola yazawana Makino)

애기낚시제비꽃 (Viola grypoceras var. exilis (Miq.) Nakai)야

생팬지 (Viola arvensis Murray)

여뀌잎제비꽃 (Viola thibaudieri Franch. &Sav.)

엷은잎제비꽃 (Viola blandaeformis Nakai)

왕제비꽃 (Viola websteri Hemsl.)

왜제비꽃 (Viola japonica Langsd. ex Ging.)

왜졸방제비꽃 (Viola sacchalinensis H.Boissieu)

우산제비꽃 (Viola woosanensis Y.N.Lee &J.Kim)

울릉제비꽃 (Viola Ullenungdoensis M. KIm et J. Lee)

자주알록제비꽃 (Viola variegata var. chinensis Bunge)

자주잎제비꽃 (Viola violacea Makino)

잔털제비꽃 (Viola keiskei Miq.)

장백제비꽃 (Viola biflora L.)

제비꽃 (Viola mandshurica W.Becker)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Ledeb.)

종지나물 (Viola papilionacea Pursh)

줄민둥뫼제비꽃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for. variegata F.Maek.)

참졸방제비꽃 (Viola Koraiensis Nakai)

콩제비꽃 (Viola verecunda A.Gray var. verecunda)

큰졸방제비꽃 (Viola kusanoana Makino)

태백제비꽃 (Viola albida Palib.)

털긴잎제비꽃 (Viola ovato-oblonga for. pubescens F.Maek.)

털낚시제비꽃 (Viola grypoceras var. pubescens Nakai)

털노랑제비꽃 (Viola brevistipulata var. minor Nakai)

털제비꽃 (Viola phalacrocarpa Maxim.)

호제비꽃 (Viola yedoensis Makino)

화엄제비꽃 (Viola ibukiana Makino)

흰갑산제비꽃 (Viola kapsanensis for. albiflora (Nakai) T.B.Lee)

흰뫼제비꽃 (Viola selkirkii for. albiflora (Nakai) F.Maek. ex H.Hara)

흰애기낚시제비꽃 (Viola grypoceras var. exilis for. albiflora Nakai)

흰젖제비꽃 (Viola lactiflora Nakai)

흰제비꽃 (Viola patrinii DC. ex Ging.)

흰털제비꽃 (Viola hirtipes S.Moore)

 

고깔제비꽃 (Viola rossii Hemsl.)

 

 

위키백과

제비꽃목

 

제비꽃목(Violales)은 속씨식물 분류군의 하나이다. 크론키스트 분류 체계제비꽃과를 모식과를 하는 속씨식물 목의 하나로 분류한다. 분류 체계에 따라 포함된 과는 다르다.

 

속씨식물 계통분류 그룹(APG, Angiosperm Phylogeny Group)은 제비꽃목을 인정하지 않으며, 제비꽃과는 말피기목으로 분류하고, 다른 과들은 여러 목으로 나누어 분류하고 있다.

 

제비꽃목 (Violales)

아카리아과 (Achariaceae) → 말피기목 (Malpighiales)

안키스트로클라투스과 (Ancistrocladaceae) → 석죽목 (Caryophyllales)

베고니아과 (Begoniaceae) → 박목 (Cucurbitales)

홍목과 (Bixaceae) → 아욱목 (Malvales)

파파야과 (Caricaceae) → 십자화목 (Brassicales)

반일화과 (Cistaceae) → 아욱목 (Malvales)

박과 (Cucurbitaceae) → 박목 (Cucurbitales)

다티스카과 (Datiscaceae) → 박목 (Cucurbitales)

디온코필룸과 (Dioncophyllaceae) → 석죽목 (Caryophyllales)

이나무과 (Flacourtiaceae) → 말피기목 (Malpighiales)의 버드나무과 Salicaceae)에 포함

관봉옥과 (Fouquieriaceae) → 진달래목 (Ericales)

프란케니아과 (Frankeniaceae) → 석죽목 (Caryophyllales)

호플레스티그마과] (Hoplestigmataceae) → 분류학적 위치가 불확실

후아과 (Huaceae) → 진정장미군 I (eurosids I)의 기저 분류군의 분류

라키스테마과 (Lacistemataceae) → 말피기목 (Malpighiales)

로아사과 (Loasaceae) → 층층나무목 (Cornales)

말레세르비아과 (Malesherbiaceae) → 말피기목 (Malpighiales)의 시계꽃과 (Passifloraceae)에 포함

시계꽃과 (Passifloraceae) → 말피기목 (Malpighiales)

페리디스쿠스과 (Peridiscaceae) → 말피기목 (Malpighiales)

스키포스테기아과 (Scyphostegiaceae) → 말피기목 (Malpighiales)의 버드나무과 (Salicaceae)에 포함

통조화과 (Stachyuraceae) → 크로소소마타목 (Crossosomatales)

위성류과 (Tamaricaceae) → 석죽목 (Caryophyllales)

투르네라과 (Turneraceae) → 말피기목 (Malpighiales)의 시계꽃과 (Passifloraceae)에 포함

제비꽃과 (Violaceae) → 말피기목 (Malpighiales)

출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두콩  (0) 2014.10.22
취산꽃차례  (0) 2014.10.22
진홍토끼풀  (0) 2014.10.22
애기노랑토끼풀  (0) 2014.10.21
붉은토끼풀  (0) 201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