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꽃싸리
학명: Campylotropis macrocarpa for. rosea Uyeki
이명: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이판화아강 > 장미목 > 콩과 > 꽃싸리속
원산지: 한국 /분포: 김해시 /서식: /크기: 높이 1.5m
생약명:
낙엽활엽관목
콩과식물로 김해지역의 산에서 자라는 落葉灌木(낙엽관목)이다. 꽃싸리의 일종으로 龍骨瓣이 자주색인 것을 ‘붉은꽃싸리’라고 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호생하며 3출엽이고 소엽은 길이 2~5cm로서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도란상 긴 타원형이며 둔두 또는 미요두이다. 잎의 표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에 갈색 견모가 밀생하고 엽병은 길이 1.5-3.7㎝로 털이 있다.
협과는 길이 1.2-1.5㎝,넓이 5㎜정도로서 타원형이고 주름과 녹색 연모가 많으며 양끝이 좁고 10월에 익는다. 싸리속(Lespedeza)은 소화경이 끝까지 남아 있는 포액에 2개씩 달리며 환절이 없으나, 꽃싸리속(Campylotropis)은 화경이 곧 떨어지는 포액에 1개씩 달리고 환절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며 기판이 적색이고 용골판이 자주색이고 길이 1cm정도로서 길이 8cm정도의 엽액에서 나온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포액에 1개씩 달리며 길이 5-7mm로서 꽃과의 사이에 환절이 있다. 꽃받침열편은 통부보다 짧고 길이가 서로 비슷하며 첨두이다.
한 곳에서 여러 대가 모여 나와서 사방으로 퍼진다. 어린가지에 견모가 있다.
경남 김해군에서 자란다.
낙엽활엽관목으로 높이 1.5m에 달한다.
내한성이 강하고 햇빛이 잘 들며 토양은 특별히 가리지 않으나 배수성이 뛰어난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지하부에 뿌리혹 박테리아를 지니고 있어 척박지에서도 잘 적응하며 해변, 도심지에서도 잘 자란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가을에 종자를 채취하여 기건저장한 하였다가 파종 전에 열탕처리하여 파종한다. 파종 당년에 개화가 가능한 식물이다.
결실기: 10월
척박지 녹화용으로 식재한다. 건조하고 메마른 경사지나 해변에 식재해도 좋다. 정원수로 바위 옆에 식재해도 잘 어울린다. 뿌리가 깊게 들어가서 사방용 소재로 이용할 수 있다.
유사종
▶꽃싸리(C. macrocarpa Rehder): 꽃은 길이 8㎝정도의 총상화서에 달리며, 8-9월에 계속 연분홍색으로 핀다.
붉은꽃싸리
콩과식물로 김해지역의 산에서 자라는 落葉灌木(낙엽관목)이다.
꽃싸리의 일종으로 기판(旗瓣:콩과식물의 화관에서 한가운데 위쪽에 있는 화판)이 붉은 색이면서 용골판(龍骨瓣:콩과식물의 화관에서 가장 밑에 있는 2장의 꽃잎으로 보통 암술과 수술을 감싸고 있음)이 자주색인 것을 ‘붉은꽃싸리’라고 한다.
(이창복 저 원색 대한식물도감)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素泉님,
콩과(Leguminosae) | 식물도감(植物圖鑑)
꽃싸리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붉은꽃싸리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담초 (0) | 2014.10.14 |
---|---|
골담초속 (0) | 2014.10.14 |
꽃싸리 (0) | 2014.10.14 |
꽃싸리속 (0) | 2014.10.14 |
흰큰등갈퀴 (0) | 2014.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