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동부

호남인1 2014. 10. 3. 09:58

 

 

 

 

 

동부

 

학명: Vigna unguiculata (L.) Walp.

이명: 광저기, 광작, 강두(?豆), 강자두(?子豆), 대각두(大角豆), 장두(長豆), 신곡(腎穀) /영명: /꽃말: 반드시 오고야 말 행복

분류: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이판화아강 > 장미목 > 콩과 > 동부속

원산지: 아프리카의 중동부 킬리만자로 /분포: 전세계재배 /서식: /크기:

생약명:

 

한해살이풀

콩과에 속한 한해살이 덩굴 식물. 줄기는 길게 뻗어 다른 것에 감겨 붙고 잎은 세 쪽씩 된 겹잎이다. 여름에 자주색, 흰색 등의 꽃이 피고, 길이 30센티미터 정도의 가늘고 긴 꼬투리를 맺는다. 씨와 어린 꼬투리는 식용하며, 씨는 팥과 비슷하나 약간 길다. 우리나라, 중앙아프리카, 미국 등지에서 재배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동부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41996&mn=KFS_28_01_02_01

 

 

-------------------------------------------------------------

꽃은 구조가 콩꽃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훨씬 크고 꼬투리는 원통형으로 미숙시에는 녹색이지만 성숙하면 종실과 비슷한 색깔을 띠게 된다. 

 

아프리카의 중동부 킬리만자로원산이다.

 

저온에 약하고 특히 야간온도가 낮으면 생육이 불량하다. 동부의 생육적온은 20 ~ 35℃로써 27℃내외가 가장 알맞다. 

 

이용

조미료의 원료, 커피대용원료 

 

 

 

 

두산백과

동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학명: Vigna sinensis

분포지역: 한국 ·동남아시아 ·중앙아프리카 ·미국

 

강두(豇豆)·광저기라고도 하며, 지방에 따라서는 광정이로 부르기도 한다. 작물로 재배하는데, 전체에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며 왜성(矮性)과 덩굴성의 구별이 있다. 잎은 3출 복엽(三出複葉)이고 잎자루가 길다. 꼭대기의 작은잎은 사각형꼴 달걀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8∼15cm이다. 옆쪽의 작은 잎은 일그러진 달걀모양이고 잎자루는 짧다.

 

꽃은 잎겨드랑이총상꽃차례[總狀花序]를 이루고 8월에 피는데 나비 모양이며, 백색 ·자주색 또는 담황색 등으로 핀다. 열매는 협과로 긴 꼬투리이고 밑에서부터 올라가면서 익으며, 신장형이고 빛깔은 여러 가지이다. 동부는 과 비슷하나 종자가 약간 길고 종자의 눈도 길어서 구별된다. 고온을 요하므로 따뜻한 지방에 알맞은 작물이며 서리에 약하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여름의 고온시기를 이용하여 재배가 가능하다. 토양은 별로 가리지 않는다. 한국·동남아시아·중앙아프리카 ·미국 등지에서 재배한다.

 

종자를 밥에 넣거나 떡의 소, 과자 만드는 데 이용한다. 미국에서는 풋베기 사료 또는 건초로 이용하고 녹비(綠肥)로 쓰기도 한다. 약재로도 쓰이는데, 신장을 보호하고 위장을 튼튼히 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킨다. 또한 당뇨병·구토·설사 등에도 효력이 있다. 원산지를 동남아시아·서남아시아로 보는 학자도 있고, 중앙아프리카로 보는 학자도 있다. 오래전부터 재배하였고 한국에는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다.

출처: 두산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동부

 

동부콩과에 속하는 일년생 덩굴식물. 광저기, 광작이라고도 한다. 넝굴줄기로 자라며, 여름에 누른 빛을 띤 자줏빛 꽃이 핀다. 원산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많으나, 우리 나라에는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을 거쳐 도입되었다.

 

이칭별칭: 광저기, 광작, 강두(?豆), 강자두(?子豆), 대각두(大角豆), 장두(長豆), 신곡(腎穀)

학명: Vigna sinensis KING

외형(크기|길이|높이): 길이 150㎝

 

정의

콩과에 속하는 일년생 덩굴식물 또는 그 열매.

 

내용

광저기·광작이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강두(豇豆)·강자두(豇子豆)·대각두(大角豆)·장두(長豆)라고도 한다. 그 모양이 콩팥처럼 생겼다고 해서 신곡(腎穀)이라는 별칭도 있다.

 

학명은 Vigna sinensis KING이다. 원산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많으나, 우리나라에는 중앙아시아에서 중국을 거쳐 도입되었다.

 

넝굴줄기로 자라며, 길이는 150㎝ 가량 되는 품종과 짧은 품종이 있다. 세 쪽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름에 누른빛을 띤 자줏빛꽃이 다발져서 핀다. 꽃이 진 뒤에 길이가 30㎝ 정도 되는 가늘고 긴 꼬투리가 맺히는데, 열매를 얻기 위한 품종은 짧아서 10∼20㎝ 정도이다. 열매의 형태를 보면 콩팥형·타원형 등이 있으며, 색깔은 백·황·갈·적갈·적자주·암자주색 등으로 매우 다양하고 흰 바탕에 얼룩무늬가 있는 것도 있다.

 

성분은 단백질 23.9%, 탄수화물 55%, 지질 2%이며, 100g 속에는 칼슘 75㎎, 인 400㎎, 철 5.6㎎, 칼륨 1400㎎, 비타민 B1 0.5㎎, 비타민 B2 0.1㎎, 니코틴산 2.5㎎이 함유되어 있다.

 

『본초강목』에서는 “동부는 3, 4월에 심으며, …… 어린 꼬투리는 먹을 수 있다. 채소가 되기도 하고 열매를 먹을 수도 있어서 곡물로서의 장점을 두루 갖추고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동부의 어린 꼬투리는 채소로 쓰이며, 열매는 팥의 대용으로 곡물에 섞어서 밥을 짓거나, 떡고물·과자의 원료로 쓰인다.

 

이밖에 약재로도 쓰여서 『본초강목』에서는 “신장을 보호하고 위장을 튼튼히 하며 오장을 고르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당뇨병과 토역(吐逆: 구역질)·설사·요실금증(尿失禁症: 무의식적으로 오줌이 나오는 상태) 등도 다스린다. 쥐에게 물렸을 때 삶아서 마시면 독이 풀린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본초강목(本草綱目)』

『재물보(才物譜)』

『고려이전한국식생활사연구(高麗以前韓國食生活史硏究)』(이성우, 향문사, 1978)

『菜果健康療法』(伊澤凡人, 家の光協會, 1976)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부열매

동부의 열매를 보면 콩팥형, 타원형 등이 있으며, 색깔은 백, 황, 갈, 적갈, 적자주, 암자주색 등으로 다양하고 흰 바탕에 얼룩무늬가 있는 것도 있다. 또한, 열매는 곡물에 섞어서 밥을 짓거나, 떡고물, 과자의 원료로 쓰인다.

 

 

콩과(Leguminosae) | 식물도감(植物圖鑑)

동부 | 식물도감(植物圖鑑)

동부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팥 재배법  (0) 2014.10.04
녹두  (0) 2014.10.04
동부속  (0) 2014.10.03
시루산돔부  (0) 2014.10.03
두매자운속(Oxytropis)의 종  (0) 2014.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