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사철나무
학명: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Miq.) Rehder
이명: 덩굴사철나무, 좀사철,덩굴들축 /영명: Fortunes Creeping Spindle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Euonymus)
원산지: 한국 /분포: /서식: 산기슭 숲 /크기: 약 10.0m
생약명:
상록활엽반경목
노박덩굴과에 속한 상록 관목. 잎은 긴 타원형으로 두껍고 마주나며, 5~6월에 열다섯 개 정도의 연두색 꽃이 취산 꽃차례로 핀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줄사철나무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6590&mn=KFS_28_01_02_01
-------------------------------------------------------------
잎은 대생하며 혁질이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cm, 나비 1-2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지만 엽맥 주위는 회록색이고 뒷면도 회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얕고 둔한 톱니가 있다. 길이 5-10㎜의 엽병이 있다.
잎의 형태와 크기는 변이가 많고 어린 나무의 것은 1㎝내외이다.
삭과는 둔한 사각상 편구형(扁球形)이고 10월에 연한 홍색으로 익으며 황적색 종의로 싸여 있는 종자가 들어 있다.
취산화서는 액생하며 15개 내외의 꽃이 달리고 화경이 길며(길이 2-4㎝)꽃은 양성으로서 5-6월에 피고 지름 6-7mm이며 연한 녹색이고 소화경은 길이 2-4mm이다. 꽃받침잎, 꽃잎 및 수술은 각각 4개이다.
줄기에서 뿌리가 나와서 다른 나무와 바위에 붙어 자란다. 소지는 녹색이며 약간 모가 지고 뚜렷하지 않은 돌기가 있다.
▶일본,중국에도 분포한다.
산기슭의 숲속에 자라며 내한성과 내음성,내조성,내공해성이 강하다.
광선: 음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번식은 실생 또는 삽목으로 한다. ①실생 : 종자채취후 과육을 제거한 다음 노천매장을 하였다가 봄에 파종한다. ②삽목 : 1년생 어린 삽수를 채취하여 시설온실에서 꺾꽂이하여 증식한다. 주로 3-4월,5-10월에 가지삽목을 한다.
결실기: 10월
이용
▶관상용이나 황폐지나 절사면의 지피식물로서 효과가 있다.
▶가지는 신경통에 쓰인다.(다소 유독)
유사종
▶화살나무(E. alata)
▶사철나무(E. japonicus)
▶참빗살나무(E. sieboldianus)
▶참회나무(E. axyphyllus)
특징
▶마이산의 줄사철나무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제380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지정사유:학술연구자원
ⓒ면적:171.9㎡
천연기념물 제380호 마이산의 줄사철나무 군락지
마이산의 줄사철나무군락지 (천연기념물 제 380 호)
소 재 지 : 전북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 산18
줄사철나무는 노박덩굴과에 속하는 덩굴식물로, 줄기에서 나는 뿌리가 나무나 바위에 붙어서 기어오르는 습성을 갖고 있다. 꽃은 5∼6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고 열매는 10월에 연한 홍색으로 익는다. 사시사철 잎이 푸르러 낙엽이 진 겨울철이면 삭막한 주위환경과 대조를 보이며 장관을 이룬다. 마이산의 줄사철나무군락지는 마이산 절벽에 붙어 자라고 있으며 다 자란 줄사철나무와 어린 줄사철나무들이 한데 모여 있다. 마이산의 줄사철나무군락지는 우리나라 내륙지방에서 줄사철나무가 자랄 수 있는 북쪽한계선이 되고, 나무들이 무리를 이루어 자라고 있어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료이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지정면적 : 171.9㎡
지 정 일 : 1993-08-19
마이산의 줄사철나무 군락지는 우리나라 내륙지방에 분포하고 있는 줄사철나무 중 북한계지이고 노목과 유목이 군락을 이루고 있어 학술적, 생태학적으로 귀중한 자료이다. 줄사철나무는 노박덩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의 덩굴식물로 줄기에서 나는 뿌리로 나무나 바위를 덩굴처럼 기어오르며 자라는 식물이다. 꽃은 5∼6월에 연한 녹색으로 피고 열매는 10월에 연한 홍색으로 익으며 황적색 종의로 싸여 있는 종자가 들어있다. 수마이산 깍아지른듯한 수마이봉 기슭 은수사 뒷편 수풀속에 오래된 나무는 기암절벽에 붙어 자라고 있고 유목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오래된 나무는 직경 8∼12㎝이고 높이 3∼7m 쯤 되고 동절기 낙엽진 계절에도 마이산 바위 벼랑에 붙어서 두터운 상록성을 자랑하고 있는 독특한 모양을 이룬다.
출처/남북의천연기념물/http://nm.nktech.net/cont/natural_v.jsp?nat_id=NM-SK380&nation=S
▶주로 줄기에서 기근이 나와서 바위 위나 나무 위를 기어올라 흡착하면서 벋어가며 맹아력이 강하다. 층을 형성하며 나무 위를 기어오르는 수형의 질감이 부드럽고 아름다우며,붉게 익는 열매의 연분홍색 색감이 곱다.
줄사철나무
노박덩굴과(―科 Celastraceae)에 속하는 상록관목.
잎은 긴 타원형으로 두껍고 마주나며, 5~6월에 열다섯 개 정도의 연두색 꽃이 취산 꽃차례로 핀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옆으로 기면서 자라고 줄기에서 뿌리가 내린다. 초록색의 어린 가지는 약간 모가 져 있다. 다소 두꺼운 잎은 길이가 2~5㎝, 너비가 1~2㎝로 마주나는데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톱니들이 있다.
연녹색의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취산(聚繖)꽃차례로 무리져 핀다. 꽃받침잎, 꽃잎 및 수술은 모두 4개이다. 10월경에 익는 연한 붉은색의 열매는 삭과(蒴果)로, 익으면 터져 씨를 감싸는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 껍질이 드러난다.
주로 남쪽지방에서 자라지만 인천 앞바다와 울릉도 등지에서도 자란다.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동촌리에 있는 마이산의 줄사철나무 군락지는 천연기념물 제380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사철나무 와 비슷하지만 옆으로 기면서 자라며, 줄기가 둥글어 사각형인 사철나무와 다르다. 다른 물체를 감아올라 자라기 때문에 정원에 심기도 한다. 뿌리는 얕게 내리지만 줄기에서 많은 잔뿌리가 내리기 때문에 옮겨심기는 쉽다. 대체로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줄사철나무와 비슷하지만 줄기가 곧추서며, 잎이 빽빽하게 달라붙어 올라가면서 소용돌이치듯이 비비 꼬이는 와동청(E. f. var. fastigiatus)도 정원에 심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것의 줄기와 잎을 지혈제, 월경불순의 치료제로 쓰고 있다.
출처: 브리테니커 申鉉哲 글
○ 분포|자생지
중국(랴오닝성 이남), 일본, 타이완, 동남아시아, 한국 | 경북(울릉도), 경기(백령도, 연평도) 이남의 숲 가장자리, 산지 능선 및 바위지대에 자란다.
○ 형태
수형 상록 덩굴성 목본이며 높이 10m까지 자라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에서 기근을 내어 주변의 바위나 다른 나무를 타고 자란다.
수피 : 암갈색이다. 어린가지는 둥글고 보통 녹색 또는 녹갈색을 띤다. 겨울눈은 난형이며 인편이 다수이고 광택이 난다.
잎 : 마주나며 길이 2-6cm의 장타원형-난형이다. 끝은 뾰족하거나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은 가줄질이며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 2-9mm이며 털이 없다.
꽃 : 6-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취산꽃차례에 황록색 또는 황백색의 양성화가 7-15개씩 모여 달린다. 꽃은 지름 5-6mm이며 4수성이다. 꽃잎은 거의 원형에 가깝고 수술은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 : 삭과, 지름 6-7mm의 구형이며 10-12월에 연한 홍색-적갈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4갈래로 갈라지며 속에서 적황색의 가종피로 싸인 종자가 나온다.
○ 동정 포인트
사철나무에 비해 잎, 꽃, 열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좀사철나무'라고도 부른다.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행운님, 풀지기 / 박대문]님, 회색늑대님, 섬지기/임경팔님,
노박덩굴과 [Celastr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화살나무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줄사철나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역줄나무 (0) | 2014.09.09 |
---|---|
털화살나무 (0) | 2014.09.09 |
좀사철나무 (0) | 2014.09.09 |
뾰족잎사철나무 (0) | 2014.09.09 |
사철나무 (0) | 2014.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