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사철나무
학명: Euonymus fortunei (Turcz.) Hand.-Mazz.
이명: 줄사철나무 /영명: /꽃말: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 >화살나무속(Euonymus)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랴오닝성 이남), 일본, 타이완, 동남아시아, 한국 | 경북(울릉도), 경기(백령도, 연평도) /서식: 숲 가장자리, 산지 능선 및 바위지대 /크기:
상록활엽관목
사철나무에 비해 잎, 꽃, 열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좀사철나무'라고도 부른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광타원형으로 옆연은 둥글고 둔한 톱니가 있다. 잎은 혁질로 상록성이다. 맹아는 난형이다.
삭과의 열편은 거의 발달하지 않고 둥글다.
화축 끝에 달린 꽃 밑에서 1쌍의 화경이 나와 각각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리고 그 꽃 밑에서 각각 1쌍씩의 소화경이 나와 그 끝에 꽃이 1개씩 달린다. 화수는 4수성이다. 화판은 원형, 아원형으로 가장자리는 매끈하다. 꽃받침은 중열하고 양끝이 90도 이상의 둔각으로 합쳐진다. 화사는 뚜렷하고 약실이 뚜렷한 2개의 방으로 나뉘어 나타난다.
소지는 원주형이고 표면에 아무런 부속물이 없이 평활하다.
소지표면에 매우 미세한 소돌기가 밀생하며 줄기는 대개 직립하고 잎은 타원형 또는 난상타원형으로 길이 2-6cm이다.
사철나무는 상록성 작은키나무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부지방에서 자라나 중부지방의 경우 바닷가 주변의 산지를 따라서 분포한다. 좀사철나무와 함께 사철나무절에 분류한다.
두 분류군은 복기산꽃차례를 가지며 꽃받침이 둔두형이고 삭과의 열매가 구형으로 비슷하다. 그러나 사철나무는 소지에 유두상 돌기가 없어 매끈한 특징이 있어서 소지에 유두상 돌기가 있는 좀사철나무와 구별할 수 있다.
줄사철나무에 비해서 줄기는 덩굴성이 아니라 곧추서며, 공기뿌리가 없고, 가지는 매끈하므로 구분된다.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꽁지님,
노박덩굴과 [Celastr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화살나무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좀사철나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털화살나무 (0) | 2014.09.09 |
---|---|
줄사철나무 (0) | 2014.09.09 |
뾰족잎사철나무 (0) | 2014.09.09 |
사철나무 (0) | 2014.09.09 |
좁은잎참빗살나무 (0) | 2014.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