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비쑥

호남인1 2014. 8. 18. 09:41

 

 

 

 

 

비쑥

 

학명: Artemisia scoparia Waldst. &Kit. 

이명: /영명: Virgate Wormwood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초롱꽃목 >국화과 >쑥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인도북부, 중앙아시아, 유럽

서식: 산야의 모래자갈 땅, 묵밭, 바닷가 모래땅 /크기: 높이 60-90cm

생약명: 사철쑥/비쑥의 어린 莖葉을 茵蔯蒿(인진호)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

국화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높이는 60~90센티미터이고, 줄기잎은 1~2회 갈라지고 어긋나며, 8~9월에 황갈색 두상화(頭狀花)가 원추(圓錐) 꽃차례를 이룬다. 어린 식물체는 식용한다. 우리나라, 일본, 시베리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비쑥 /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5741&mn=KFS_28_01_02_01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새가지 끝의 잎은 로제트형이고 경생엽은 길이 3-5cm, 나비 2-5cm로서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실같이 가늘고 위로 올라갈수록 잎이 작아지며 엽병은 길이 2-6.5cm이다. 은 긴 엽병이 있고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꽃철에는 말라 없어진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길이 3-5cm, 폭 2-5cm로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 또는 실모양이고 털이 있거나 없다. 

 

수과는 도란형으로 털이 없고 9-10월에 익는다. 

 

꽃은 8-9월에 황갈색으로 피고 길이 1.2-1.5mm, 지름 1-1.2mm로서 피기 전에 밑으로 처지며 두상화서가 원줄기 끝에서 큰 원추화서를 형성하고 화경은 길이 1-2.5mm이다. 총포는 길고 둥글며 담록색이고 지름 1-1.2mm로서 털이 없으며 총포편은 3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짧으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둔두이고 중편과 내편은 타원형이며 길이 0.7mm, 나비 0.4mm정도로서 털이 없다. 가장자리의 5-7개의 꽃은 열매 맺는 암꽃으로서 화관은 길이 0.5mm정도이다. 가운데의 열매 맺지않는 양성화는 4개 가량이며 화관의 길이는 0.4mm정도이다. 

 

높이 60-9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흔히 자줏빛을 띠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털이 약간 있거나 거의 없다. 밑부분에서 다음해의 새싹이 자란다. 

 

뿌리는 굵고 방추형이다.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인도북부,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산야의 모래자갈 땅, 묵밭, 바닷가 모래땅에서 흔히 자란다. 

결실기: 9월, 10월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생약명

사철쑥/비쑥의 어린 莖葉을 茵蔯蒿(인진호)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에 幼苗(유묘)의 높이가 약 8cm 쯤 되었을 때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사철쑥은 利膽作用(이담작용)의 유효성분인 scoparone 즉 6,7-dimethoxycoumarin을 함유한다. 함유율은 계절에 따라서 다르며 개화기가 가장 높아 1.98%이다. 또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도 함유한다. 전초는 精油(정유)를 약 0.27% 함유하지만 果穗(과수)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아서 함유율은 1%에 달한다. 그 성분은 β-pinene, capillin, capillone, capillene, capillarin이다. 또한 脂肪油(지방유)를 함유하며 그 脂肪酸(지방산)은 stear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rachidic acid, montanic acid이다. 무기성분으로서 염화칼륨을 함유한다.

 

③약효 : 淸熱(청열), 利濕(이습)의 효능이 있다. 濕熱黃疸(습열황달), 小便不利(소변불리), 風痒瘡疥(풍양창개)를 치료하고 주로 風濕寒熱邪氣(풍습한열사기), 熱結黃疸(열결황달)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비쑥                                                            개똥쑥

 

 

 

비쑥

 

학명: Artemisia scoparia Waldst. et Kitaib.

분포지: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몽골, 중앙아시아, 유럽

 

일반적특징

1년초 또는 다년초로 뿌리는 방추형이고 흔히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는 곧추서며 때로 자색을 띠고 상부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 50~100㎝이고 기부에 때로 다음 해의 새싹이 나며 새싹은 끝에 잎이 로제트상으로 난다. 근엽은 화시에 마르고 경엽은 호생하며 길이 3~5㎝, 너비 2~5㎝이고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실같이 가늘고 엽병은 2~6.5㎝이며 위로 갈수록 잎은 작아진다.

 

꽃은 8~9월에 황갈색으로 피고 많은 두화가 원추화서로 달리며 두화는 길이 1.2~1.5㎜, 너비 1~1.2㎜이고 화경은 가늘며 짧다. 총포는 구형으로 털이 없고 포편은 3열로 배열하며 외편은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짧고 중편과 내편은 타원형이다. 과실은 수과이다.본종은 사철쑥에 비해 줄기의 기부가 목질화하지 않으며 두화가 너비 1㎜로 작다.

 

사철쑥과 닮았으나 냄새가 다르다. 사철쑥은 줄기가 나무처럼 되어 있어 겨울철에도 죽지 않지만 비쑥은 겨울철에 줄기가 완전히 말라 죽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 일본, 시베리아, 인도 북부, 중국, 유럽 등지에 분한다.

 

생태적특징

바닷가의 모래땅에 난다. 제주, 경기, 강원, 함남북에 나며 일본,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 몽골, 시베리아, 코카서스, 중앙아시아, 유럽에 분포한다.

출처: 비쑥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1996.11.15, 아카데미서적)

 

 

 

비쑥(약명 : 황호)

DijkstraAL | 2005-12-21 15:16 | 조회 380 | 출처: http://www.nanum.pe.kr/nh4fr/f...

약재에 대하여

쑥은 우리나라에 40여 종이 자라고 있는데 거의 모든 종류가 식용, 약용으로 중요하게 쓰인다. 비쑥은 흔히 인진쑥으로 부르는 사철쑥과 구별하기 어려울 만큼 닮았으나 약성은 좀 다르다.비쑥은 제주도를 비롯한 우리나라 중, 남부 지방의 바닷가 모래밭이나 돌 틈에 많이 자란다. 사철쑥과 닮았으나 냄새가 다르다. 사철쑥은 줄기가 나무처럼 되어 있어 겨울철에도 죽지 않는 것에 견주어 비쑥은 겨울철에 줄기가 완전히 말라 죽는 것이 특징이다.60~90cm쯤 자라고 뿌리는 굵으며 뿌리 윗부분은 자줏빛이다. 잎은 바늘 모양이며 길이는 3~5cm정도이다.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며 꽃은 8~9월에 황갈색으로 피어 10월에 익는다.

 

약성 및 활용법

비쑥은 8~9월에 잎과 꽃줄기가 붙은 웃가지를 베어 그늘에 말려 약으로 쓴다. 단오무렵에 베어서 약으로 쓰기도 하는데 황달치료에 쓸 때에는 단오 때 벤 것이 쓴맛이 적어서 더 좋다고 한다.비쑥은 갖가지 염증과 소변이 잘 안 나오는데, 요도염, 신경쇠약, 두통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특히 신장과 방광의 결석을 용해하는 데 매우 효력이 크다.이른 봄철에 갓 돋아난 새싹은 여느 쑥처럼 국을 끓여 먹거나 떡을 만들어 먹는다.특히 여성들의 질병에 좋다고 하여 민간에서는 산후하혈, 자궁출혈 등에도 흔히 쓴다. 안태작용이 있어 임신한 여성의 보약으로도 좋다고 하며, 갖가지 기생충증, 기침, 가래, 두통, 열나는 데, 척수 신경근염, 간질, 신경쇠약, 곽란, 설사 등을 치료하는 데도 쓴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 신장이나 방광의 결석에는 비쑥 말린 것 10~20g을 진하게 달여서 하루 2~3번에 나누어 마신다. 쓴맛이 강하지만 독성은 전혀 없으며, 소변을 잘 보게 할 뿐만 아니라 변비를 치료하는 효과도 있다.

▶ 비쑥 달인 물은 특히 싱아산염이나 인산염으로 인한 결석에 효과가 크다. 대개 20~40일 복용하면 웬만한 신장이나 방광의 결석은 대개 녹아서 없어진다.

▶ 단오무렵에 채취한 어린 줄기와 잎은 생당쑥이나 사철쑥과 마찬가지로 황달 치료에 쓴다. 통증을 멎게 하고 ,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 간에 쌓인 독을 풀고, 염증을 제거하며, 쓸개즙이 잘 분비되도록 하는 등의 작용이 있다.단오무렵에 채취하여 그늘에 말려서 하루 15~20g을 달여서 마시거나 가루 내어 알약을 만들어 복용한다. 오래 고아서 조청을 만들어 먹는 방법도 있다.

 

 

 

사진출처

춘난카페 /http://cafe.daum.net/sks2638/MpdD/61?q=%BA%F1%BE%A6&re=1 난이랑

우리땅약초 /http:///http://cafe.daum.net/wooriddangkorea/4GPb/467?q=%BA%F1%BE%A6&re=1 藥山님,

 

 

 

국화과 (菊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쑥속 (Artemisia) | 식물도감(植物圖鑑)

비쑥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비쑥  (0) 2014.08.19
큰비쑥  (0) 2014.08.18
개사철쑥  (0) 2014.08.18
사철쑥  (0) 2014.08.17
참쑥  (0) 2014.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