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장미목

호남인1 2014. 7. 6. 05:42

 

 

 

 

 

장미목

목명rosales, /薔薇目,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장미목

 

생물학적분류

 

: 식물계(Plantae)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 장미목(Rosales)

 

장미강에 속하는 목으로서 Rosacea과, Crassulaceae과, Grossula과, Saxifragaceae과, Hydrangeaceae과, Pittosporaceae과 등이 속함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찔레꽃 (Rosa multiflora Thunb. var. multiflora) - 장미과 [薔薇科] Rosaceae

 

 

장미목

목명: Rosales

 

쌍떡잎식물강(→ 쌍떡잎식물 )에 속하는 꽃피는식물의 목.

 

3과(科) 115속(屬) 3,200종(種)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세계의 온대지방에서 자라고 관상용과 식용 과수로 잘 알려진 것들이 속하는데, 이중에는 장미·조팝나무·산사나무·사과나무·복숭아나무·벚나무·배나무·자두나무·딸기·나무딸기 등이 있다.

이 목은 신구 양 대륙의 온대지방에 특징적으로 분포하는데 특히 아시아 동부, 유럽, 북아메리카에 가장 많이 자라고 있다.

이 목의 식물은 작은 풀에서 관목과 목본성 덩굴식물까지, 또 크고 작은 교목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지만 목본성 또는 부분적으로 목본성인 식물들이 많다.

서식지도 해수면에서부터 고산 초원지대까지 다양하며 많은 종이 인간의 생활과 연관되어 있다.

재배용 과수들은 배수가 잘되는 땅에서 가장 잘 자라며 따라서 상업적인 과수원이 시골의 구릉지역에 많이 있다.

 

 

이 목 중에서는 장미과(Rosaceae)가 가장 큰 과로 3,000여 종의 교목·관목·다년생초로 이루어져 있다.

장미속(Rosa)의 장미는 가장 널리 알려져 누구나 좋아하는 관상용 꽃피는식물로 수백 가지의 변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교배를 통해 많은 잡종들이 만들어졌다.

조팝나무속(Spiraea)과 양지꽃속(Potentilla)도 잘 알려진 원예식물이고 산사나무속(Crataegus)·마가목속(Sorbus)·벚나무속(Prunus) 등도 관상용으로 많이 키운다.

이 목에서 가장 중요한 열매도 장미과에 속해 있다.

사과와 복숭아는 세계 여러 곳에서 경제 작물로 기르고 있다.

그외에도 땃딸기속(Fragaria)의 딸기, 배나무속(Pyrus)의 배, 벚나무속의 버찌·자두·살구·아몬드, 키도니아속(Cydonia)의 마르멜로, 딸기속(Rubus)의 검은딸기·나무딸기 등도 장미과에 속하는 주요작물이다.

 

 

상업적으로 기르는 장미의 꽃잎에서 향수용 기름을 추출하기도 한다.

들장미의 열매들은 비타민 C 함량이 높아 수확하고 있다.

짚신나물속(Agrimonia)은 한때 만병통치약으로 알려졌고 지금도 민간요법에서 중요하게 쓰이고 있다.

산사나무류와 미국벚나무에서는 좋은 목재를 얻을 수 있다.

크리소발라노과(Chrysobalanceae)에 속하는 종들은 그 수가 많지 않으며 열대산으로 주로 남아메리카의 아마존 강 유역에서 자란다.

이 과는 교목과 관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중 몇몇 종에서는 식용열매·의약품·기름 등을 얻는다.

어떤 교목들은 매우 크게 자라고 목재가 아주 단단하다.

장미목에서 아주 작은 과인 뉴라다과(Neuradaceae)는 아프리카와 인도의 사막에서 자라는 1년생초로 이루어져 있다.

이 목은 바닥에 붙어 자라는 작은 풀에서 키 큰 활엽교목에 이르기까지 생활형이 다양하다.

가시가 많고, 잎은 줄기에 어긋나며 턱잎(잎같이 생긴 작은 부속물)이 있다.

꽃은 화려하기도 하며 보통 5장의 꽃잎과 꽃받침잎으로 되어 있는데, 방사대칭으로 배열하며 서로 붙어 꽃통을 이룬다.

꽃은 암수한몸이고 수술이 많다. 열매는 건과(乾果) 또는 육질과(肉質果)이고 단단한 핵을 가지는 경우도 있다.

씨에는 작은 배(胚)가 있으나 저장조직인 배젖은 없다.

 

 

장미과의 많은 식물에는 유독한 시안화물이 들어 있다.

프루누스 비르기니아나(Prunus virginiana), 프루누스 세로티나(P.serotina)의 잎은 이를 먹는 동물에게 치명적일 수도 있다.

이 목 식물은 꽃의 색깔이나 향기로 곤충을 유인하며 이때 곤충이 많은 꽃가루를 채취하여 다른 식물의 암 생식기관으로 퍼뜨린다.

씨를 퍼뜨리는 방법은 열매 종류에 따라 다르다.

다육질의 식용 열매가 열리는 종들은 새나 동물이 열매를 먹고 씨앗을 퍼뜨린다.

열매에 갈고리나 가시가 있는 것은 동물의 털이나 사람의 옷에 묻어서 퍼진다.

러나 이 목의 많은 종들이 항상 씨로만 번식하지 않고 영양번식에 의한 무성생식을 하기도 한다.

딸기는 기는줄기를 뻗어 뿌리를 내고 새로운 개체를 이루며, 나무딸기는 뿌리줄기(땅속에 있는 줄기구조)를 만들어 새싹을 냄으로써 또다른 개체를 이룬다. 이 두 식물은 씨를 만들어 번식할 수도 있지만 어떤 종들은 씨를 번식하는 능력을 완전히 잃은 것도 있다.

이렇게 식물이 수정 없이도 번식할 수 있는 능력은 꽃가루받이가 어려울 때나 환경조건이 씨의 발달과 발아에 좋지 않을 때 유리하다.

 

 

한국에는 장미과 한 과만이 있는데, 34속에 속하는 160여 종이 있다.

이 가운데 금강인가목속은 한국에서만 나타나는 고유속이며, 사과·배·버찌·앵두·모과·살구·딸기·산딸기 등은 흔히 과채류이다. 황매화·장미·벚나무·쉬땅나무·조팝나무·비파나무·명자나무 등은 정원에 흔히 심고 있다.

 

출처: 식물 | 브리태니커

 

 

장미목식물들의 분포도

 

 

장미목

(Rosales)

 

분류: 계:식물계 >(미분류):속씨식물군 >(미분류):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장미군 >목:장미목 (Rosales)

 

장미목(薔薇目)은 속씨식물문에 속하는 10,000여 종을 포함하는 목이다.

 

하위 과

• 삼과 (Cannabaceae)

•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

• 뽕나무과 (Moraceae)

• 갈매나무과 (Rhamnaceae)

• 장미과 (Rosaceae)

 느릅나무 (Ulmaceae)

• 쐐기풀과 (Urticaceae)

• 콩과 (Fabaceae)

바르베야과 (Barbeyaceae)

디라크마과 (Dirachmaceae)

범의귀과(Saxifragaceae)

출처: 위키백과,

 

매화말발도리 (Deutzia uniflora Shirai) - 밤의귀괴

 

사진출처

꽃향기많은집 / http://cafe.daum.net/sunyuricyh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

바로가기

 

속씨식물의 과 목록 (APG II 분류 체계)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의 과 목록(APG III 분류 체계)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의 기관과 기능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의 기원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의 분류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 분류 체계 비교 (APG-APGII-APGIII)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쌍떡잎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진정쌍떡잎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합판화아강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11.27 09:28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G II 분류 체계  (0) 2014.07.06
속씨식물 분류 체계 비교 (APG-APGII-APGIII)  (0) 2014.07.06
범의귀목  (0) 2014.07.06
말발도리속  (0) 2014.07.06
돌부채  (0) 2014.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