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범의귀목

호남인1 2014. 7. 6. 04:31

 

 

 

 

 

범의귀목

saxifragales, /鹿耳草目,

 

장미아강에 속하는 쌍자엽식물 중 한 목으로 돌나물과. 범의귀과. 수국과 등 20여개의 과를 포함하나 학자들에 따라서는 장미목의 각과로 넣기도 함. (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청)

 

말발도리 (Deutzia parviflora Bunge) - 범의귀과(Deutzia)

 

 

범의귀목

목명: saxifragales,

 

쌍떡잎식물강(→ 쌍떡잎식물 )에 속하는 꽃피는식물로 이루어진 목.

 

28과(科) 165속(屬) 3,000종(種) 이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들은 전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모양도 아주 다양하다. 수국과(Hydrangeaceae)에 속하는 수국·말발도리·고광나무 등의 관목들은 정원에 심고, 범의귀과(Saxifragaceae)에 속하는 범의귀류는 암석정원에 심는다. 커랜트와 구즈베리가 열리는 관목인 까치밥나무 종류와 곤충을 잡아먹는 벌레잡이식물의 일부도 범의귀목에 속한다.

 

이 목에 속하는 식물들은 거의 모든 환경 조건에서 잘 견뎌 전대륙에서 자라고 있다. 바닷가에서 자라는 종도 있고 산악지대의 수목한계선(樹木限界線) 위의 고지대, 사막이나 열대우림, 습지 등에 적응해 사는 종도 있다. 또 교목·관목·덩굴식물 등의 목본성 무리와 1년생초나 다년생초의 초본성 무리가 모두 나타나고 있다. 초본성 식물로 이루어진 과 중에서 범의귀과가 원예학에서 가장 중요하다. 이 과의 식물은 대부분 북반구 한대지역에서 자라는 다년생초이며, 이중 바위떡풀속(Saxifraga) 식물들은 암석정원에 심는다. 돌나물과(Crassulaceae)의 다년생초도 관상용으로 많이 기르는데, 돌나물속(Sedum) 식물은 암석정원에 심고, 다른 종들은 화분에 심는다.

 

이 목에 속하는 몇몇 나무에서는 목재와 가죽을 만드는 데 필요한 타닌을 얻는다. 일부 식물의 어린 순과 잎은 먹거나 차로 끓여서 마신다. 북아메리카의 애팔래치아 산맥에 사는 사람들은 삭시프라가 에로사(Saxifraga erosa)로 샐러드를 만든다. 까치밥나무과(Grossulariaceae)의 까치밥나무속(Ribes) 열매는 먹을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중요한데, 이들 중 구즈베리(R. grossularia)·까치밥나무(R. vulgare)·검은까치밥나무(R. nigrum)·붉은까치밥나무(R. rubrum) 등이 특히 중요하다. 까치밥나무속의 다른 종들은 화려한 색깔의 열매와 향기나는 꽃이 피는 근사한 관목으로, 정원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까치밥나무속의 몇몇 종들은 기생생활을 하는 균류의 숙주식물이 되기도 한다. 스트로브잣나무에서는 털녹병을 일으키는데,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이 병으로 삼림이 엄청나게 파괴되었다. 까치밥나무에서 발아한 균류의 포자가 바람에 날려 소나무에 닿게 되면 소나무가 죽는다. 북아메리카에서는 스트로브잣나무가 자라는 지역에 까치밥나무와 뽕나무들이 자라지 못하도록 철저히 관리하고 발견되는 대로 뽑아낸다.

 

식물에서 나타나는 모든 생장형태를 범의귀목에서 볼 수 있다. 이 목은 광범위한 구조적 변이를 지니고 있지만 공통적인 특징이 있어 하나로 묶이는데, 그러한 공통적인 특성에는 ① 거의 방사대칭이며, 꽃잎이 붙어 있지 않고 서로 떨어져 있으며 암술과 수술이 한 꽃에 모두 나타나는 양성화이고, ② 씨가 영양조직인 배젖을 풍부히 저장하고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몇몇 과는 아주 독특한 특징을 지니는데, 예를 들어 필로노마과(Phyllonomaceae)의 꽃과 열매는 잎사귀 윗면에 곧바로 붙어서 자란다.

 

돌나물과의 식물들은 주로 건조한 지역에서 자라는데, 잎이 아주 두껍고 다육질이며 잎과 줄기에 물을 저장하는 조직이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어떤 식물은 특수하게 발달된 털과 공기뿌리 및 표피세포가 공기중의 물을 직접 흡수한다. 브리오필룸속(Bryophyllum)에 속하는 종들은 원식물체의 잎무리, 즉 로제트를 이루는 밑부분에서 작은 식물체가 만들어지며 로제트를 이루는 잎 안에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 어린 식물이 이 물을 이용해 자랄 수 있다.

 

범의귀과는 수분에 대한 적응 범위가 넓어서 물속이나 습지에서 자라는 식물이 있는가 하면, 잎과 줄기에 물을 저장해서 건조한 지역에서도 자랄 수 있는 종이 있다. 이 과의 식물들은 대부분 습한 숲에서 자란다. 범의귀속 식물은 강인한 뿌리계와 바위 틈을 뚫고 들어가는 원뿌리가 발달되어 있어서 몹시 추운 기후에도 바위 틈에서 자랄 수 있다. 범의귀속의 또다른 종들은 잎의 면적을 줄이고 아주 작게 방석 모양을 이루어 기후에 적응하고 있다.

 

곤충을 잡아먹고 사는 식물들은 작은 2과를 이룬다. 케팔로투스과(Cephalotaceae)의 케팔로투스 폴리쿨라리스(Cephalotus follicularis)는 오스트레일리아 남서부가 원산지이며 2가지 모양의 잎이 난다. 하나는 보통잎으로 꿀샘이 점점이 흩어져 있으며, 다른 하나는 항아리처럼 생긴 벌레잡이잎이다. 곤충들, 특히 개미가 이 잎에 떨어지면 도망가지 못하고 샘에서 분비되는 용액에 소화된다. 또다른 오스트레일리아 원산으로 비블리다과(Byblidaceae)에 속하는 비블리스속(Byblis) 식물은 잎에 샘이 있어서 반짝이는 점액질을 분비하며, 여기에 곤충들이 달라붙게 된다. 곤충들이 소화되는 과정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아프리카 남서부산인 로리둘라과(Roridulaceae) 식물들도 곤충을 잡지만, 곤충을 소화시키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식물들과 한 종류의 거미가 서로 공생하는데, 거미는 잎 사이에 숨어 있다가 곤충이 끈적끈적한 식물의 분비물에 붙으면 곤충을 잡는다.

 

이 목은 곤충에 의해 꽃가루받이가 이루어진다. 주로 벌과 파리가 꽃에서 꿀을 모을 때 꽃가루가 이들에게 달라붙는다. 브리오필룸속 식물의 꽃은 아주 밝은 색이고 통 모양으로 피는데 새가 꽃가루를 운반한다. 어떤 과에서는 같은 꽃에 있는 암술과 수술이 성숙하는 시기를 다르게 해서 제꽃가루받이가 일어나는 것을 막는다. 범의귀과의 몇몇 종은 2~3가지 다른 모양의 꽃을 만들어 딴꽃가루받이를 한다. 모든 꽃에 암술과 수술이 다 있어도 유전적인 요소가 제꽃가루받이를 막기 때문에 기능적으로 보면, 각 꽃은 수꽃 또는 암꽃 1가지 성의 역할만을 한다.

 

한국에 자라는 범의귀목 식물로는 돌나물과·범의귀과·수국과·까치밥나무과 등 4과에 속하는 20여 속, 90여 종이 있다. 이들 중 돌나물과에 속하는 돌나물·꿩의비름·기린초, 범의귀과의 노루오줌·돌단풍·괭이눈, 수국과의 수국·말발도리, 까치밥나무과의 까치밥나무 등을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돌단풍(Aceriphyllum rossii)은 바위에 붙어서 자라 암석정원에 심고 있다. 수국도 정원에 널리 심고 있으며, 까치밥나무의 열매는 먹기도 한다.

원문출처: 식물 | 브리태니커

 

범의귀 (Saxifraga furumii Nakai) - 범의귀과(Saxifragaceae)

 

 

범의귀목

목명: Saxifragales

 

분류: 식물계(미분류)  > 속씨식물군(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범의귀목 (Saxifragales) Dumortier

 

범의귀목진정쌍떡잎식물군의 목이다.

 

분류

APG II 분류 체계에서는 범의귀목의 하위 과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 알팅기아과 (Altingiaceae)

   • 아파노페탈룸과 (Aphanopetalaceae)

   • 계수나무과 (Cercidiphyllaceae)

   • 돌나물과 (Crassulaceae)

   • 굴거리나무과 (Daphniphyllaceae)

   • 까치밥나무과 (Grossulariaceae)

   • 개미탑과 (Haloragaceae)

   • 낙지다리과 (Penthoraceae)

   • 테트라카르파에아과 (Tetracarpaeaceae)

   • 조록나무과 (Hamamelidaceae)

   • 이테아과 (Iteaceae)

   • 프테로스테몬과 (Pterostemonaceae)

   • 작약과 (Paeoniaceae)

   • 범의귀과 (Saxifragaceae)

크론키스트 체계에서는, 이 과들은 장미목, 조록나무목, 개미탑목으로 분류한다.

출처: 위키백과,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씨식물 분류 체계 비교 (APG-APGII-APGIII)  (0) 2014.07.06
장미목  (0) 2014.07.06
말발도리속  (0) 2014.07.06
돌부채  (0) 2014.07.05
큰돌단풍  (0) 2014.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