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호남인1 2013. 2. 24. 22:58

 

 

 

 

 

학명: Allium fistulosum L. 

 

이명: 굵은파, /영명: Welsh onion, Ciboule, Spanish onion, Japanese Bun.

분류: 피자식물문 >단자엽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부추속

원산지: 시베리아가 원산지이다. /분포: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크기: 높이 60cm에 달한다. 

생약명: 鱗莖(인경)은 총백, 根(근)은 총수, 葉(엽)은 총엽, 花(화)는 총화, 종자는 총실, 汁(즙)은 총즙이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

땅속줄기에는 많은 수염뿌리가 있으며, 잎은 둥근기둥 모양으로, 속이 비어 있다. 여름에 높이 70센티미터 정도의 꽃줄기 끝에 백록색의 꽃이 핀다. 원산지는 중국 서부로 추정되며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중요한 채소의 하나로 재배하고 있다. 칼슘, 염분, 비타민 등이 많고 특이한 냄새와 맛이 있어 식용이나 약용 및 요리에 널리 쓰인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파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23067

 

 

잎은 관상(管狀)이고 끝이 뾰족하고 속이 비었다. 밑부분은 엽초로 되어 서로 겹쳐서 하나가 되며 녹색 바탕에 약간 흰빛이 돌며 점정이 있다.

삭과는 3개의 능선이 있다. 종자는 모가 나고 삼각형에 오목한 파상의 주름이 있으며 검은색으로 익는다.

꽃은 6-7월에 피고 원주형의 화경(花莖) 끝에 백록색의 둥근 산형화서가 달리며 총포는 1개로서 어린 화서를 완전히 둘러싸고 화피열편은 6개이며 피침형으로서 바깥쪽의 것이 약간 짧다. 수술은 6개이고 길게 밖으로 나오며 수술대 사이에 부속체가 없고 암술은 1개이다.

높이가 60cm에 달한다.

인경(鱗梗)은 그리 굵어지지 않고 많은 수염뿌리가 밑에서 사방으로 퍼지며 지상 15cm정도 되는 곳에서 5-6개의 잎이 2줄로 자란다.

-----------------------------------------------------------------------------------------------------------------------

 

키는 60㎝까지 자란다. 비늘줄기는 약간 길고 볼록하며, 많은 수염뿌리가 달린다. 잎은 5~6장이 2줄로 달리는데, 기부는 다른 잎의 기부를 감싸며 속은 텅 비어 있다. 꽃은 6~7월경 잎 사이에서 산형(傘形)꽃차례를 이루며 하얗게 핀다. 꽃덮이조각[花被片]은 6장이며, 수술은 6개이다. 잎을 날로 먹거나 김치나 나물 또는 양념으로 먹는다. 잎의 아래쪽과 비늘줄기 말린 것을 총백(蔥百)이라고 하여 한방에서 강장제·흥분제·이뇨제·발한제 및 구충약으로 쓴다.

 

중국 서부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는데, 아직 야생종은 발견되지 않고 있으며, 한국에는 신라시대 때 파를 재배한 기록이 있지만 훨씬 이전부터 심어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는 잎들이 서로 감싸고 있어 마치 줄기처럼 보이는 엽초부(葉鞘部:주로 땅속에 들어 있어 흰색을 띰)와 잎이 펼쳐져 있는 엽신부(葉身部:땅 위에 나와 있어 초록색을 띰)로 나누는데, 엽초부와 엽신부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엽초부가 긴 것을 줄기파, 엽초부가 짧고 엽신부가 긴 것을 잎파로 나눈다. 국 같은 음식에 넣어먹는 대파는 줄기파에 속하고, 양념장에 넣는 쪽파는 잎파에 속한다.

申鉉哲 글

 

 

수선화과부추아과다년생식물이다. 원산지가 중국 서부로 추정되며, 동양에서는 옛날부터 중요한 채소로 재배하고 있으나 서양에서는 거의 재배하지 않는다.

 

생태

비늘줄기는 그리 굵어지지 않고 수염뿌리가 밑에서 사방으로 퍼진다. 잎과 꽃줄기는 속이 비어 있고 평활하며 약간의 백색을 띤다. 초여름에 높이 70cm 정도의 꽃줄기 끝에 백색 꽃이 많이 달린다. 꽃이삭은 처음에 난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총포에 싸여 있으나 개화기에는 총포가 터져서 구형을 이룬다.

 

품종

파의 품종은 대체로 3개의 생태형 즉 한지형의 줄기파(여름파), 난지형의 잎파(겨울파) 및 중간형의 겸용파로 나눌 수 있다. 한지형은 내한성이 강하며 식물체가 크고 잎집부가 길어서 연백재배에 적당하다. 난지형은 내서성이 강하고 식물체가 가늘고 길며 잎집부가 짧아 잎파로 재배된다. 중간형은 양자의 중간형으로서 겸용파로 재배된다. 내한성·내서성이 강하며, 추운 지방에서는 봄에 종자를 뿌려서 여름에 생육시켜 가을부터 초겨울에 수확하고, 더운 지방에서는 가을에 종자를 뿌려서 겨울에 생육시켜 이듬해 봄에 수확하는데, 일반적으로 늦가을 또는 초봄에 파종하여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수확한다.

잎의 수가 많은 계통을 연화재배한 것을 대파 또는 움파라고 하며, 노지에 재배하여 잎의 수가 적고 굵기가 가는 것을 실파라고 한다.

한국의 재배지 및 재배 역사

고려 시대 이전에 중국을 통해 한국에 전파되었다고 짐작된다. 추위와 더위에 잘 견디는 특성이 있어 한국 전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특히 부산광역시 북구 명지 일대가 파 재배지로 유명하고, 전라남도 해안 지방 및 충청남도 아산에서도 많이 재배되고 있다.

 

쓰임새

파에는 칼슘·염분·비타민 등이 많고 특이한 향취가 있어서 생식·약용 및 요리에 널리 쓰인다. 마늘과 함께 한국 요리의 주요 양념 재료이다.

 

파를 이용한 한국 음식

• 파강회 : 끓는 물에 데친 실파를 여러 재료에 감아서 만든 음식이다.

• 파전 : 파와 해물을 위에 묽은 밀가루나 쌀가루 반죽을 부어 노릇하게 지진 음식이다. 부산광역시 동래 지역의 파전이 특히 유명하다.

• 실파장국 : 쇠고기 육수에 실파를 썰어 넣고 달걀을 푼 맑은 장국이다.

• 집산적 : 실파를 이용한 경상도 향토 음식이다. 실파를 소금에 절여서 물기를 빼고 파강회처럼 상투 모양으로 틀어서 양념한 쇠고기와 꼬치에 번갈아 꿰어 간을 한 밀가루즙에 담갔다가 지진 음식이다.

• 파나물: 연한 실파나 움파를 데쳐서 볶은 쇠고기와 함께 무친 음식이다. 식초를 약간 넣어 신맛을 내는 경우가 많다.

• 파장아찌

• 파김치

출처: 한국어워키백과

 

 

번식방법

종자로 번식한다. 

 

이용방안

▶잎을 식용한다.

鱗莖(인경)은 총백, 根(근)은 총수, 葉(엽)은 총엽, 花(화)는 총화, 종자는 총실, 汁(즙)은 총즙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총백

①성분 : 인경에는 精油(정유)를 함유하고 油中(유중)의 주요 성분은 allicin이다.

②약효 : 發汗解表(발한해표), 通陽(통양), 散寒(산한), 해독,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傷寒寒熱頭痛(상한한열두통), 陰寒腹痛(음한복통), 蟲積內阻(충적내조), 二便不通(이변불통), 이질, 癰腫(옹종)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15g을 달이거나 술과 함께 삶아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볶아서 환부에 대거나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⑵총수

①약효 : 風寒(풍한)에 의한 두통, 喉瘡(후창), 동상, 飽食房勞(포식방노), 혈변장벽에서 痔(치)가 된 것을 치료하고 일절의 魚肉毒(어육독)을 제거한다.

②용법/용량 : 6-9g을 달여 복용하거나 분말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내어 噴霧藥(분무약)으로 사용한다.

 

⑶총엽

①성분 : glucose, fructose, 蔗糖(자당), maltose 및 다종의 fructose-oligo당 외에 소량의 전분, hemicellulose, α-cellulose, lignin을 함유한다.

②약효 : 祛風(거풍), 發汗(발한), 해독,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風寒感冒(풍한감모), 두통, 鼻塞(비새), 신체발열로 땀이 나지 않는 것, 중풍, 面目浮腫(면목부종), 瘡癰腫痛(창옹종통), 타박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 또는 溫濕布(온습포)를 허거나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⑷총화

①약효 : 脾心痛(비심통)이 있는 腹部刺痛(복부자통)의 치료에 吳洙萸(오수유), 蔥花(총화) 각 1升(승)을 물 1大升(대승) 8合(합)에 달여 7合(합)이 되면 찌거기를 제거하고 2회 分服(분복)한다.

 

⑸총실

①채취 : 여름, 가을에 성숙한 종자를 채취해서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溫腎(온신), 明目(명목)의 효능이 있다. 양위-음위, 目眩(목현)을 치료한다.

 

⑹총즙

①채취 : 파의 잎 또는 全株(전주)를 짓찧어서 짠 즙이다.

②약효 : 散瘀(산어), 해독, 구충의 효능이 있다. 두통, 鼻出血(비출혈), 혈뇨, 蟲積(충적-주로 위, 장에 기생하는 기생충병), 癰腫(옹종), 타박상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單劑(단제) 또는 술과 함께 마신다.

<외용> 환부에 바른다. 

 

유사종

▶마늘(A. sativum for. pekinense)

▶산마늘(A.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사진출처

다음자연박물관/http://nature.kids.daum.net/plant/detail.do?itemId=7268

 

월동중인 진도대파

-----------------

 

백합과 (Lili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2.11 14:35

부추 (Allium)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2.22 10:14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6.02 22:24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파   (0) 2013.02.25
양파   (0) 2013.02.25
참산부추  (0) 2013.02.24
산부추  (0) 2013.02.24
한라부추  (0) 2013.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