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계요등

호남인1 2013. 2. 20. 17:30

 

 

 

 

 

계요등

학명: Paederia scandens (Lour.) Merr. var. scandens 

 

이명: 계뇨등, 구렁내덩굴, /분류: 용담목  >꼭두서니과 >계요등속/원산지: 한국

분포: 제주, 전남북, 경남북(울릉도), 충남, 경기(대청도)에 나며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에 분포한다. /크기: 길이 5~7m이다. /생육환경: 산기슭 양지나 물가 

 

넌출성인 다년생식물 

닭의 오줌 냄새가 난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구렁내덩굴 또는 계각등이라고도 불리운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흰색 바탕에 자줏빛 점이 있으며 안쪽은 자줏빛이고 지름 4∼6mm, 길이 1∼1.5cm이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한방과 민간에서 거담제·거풍제·신장염·이질 등에 약으로 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계요등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32503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길이 5~12cm, 나비 1~7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심형이거나 수평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엽병은 길이 1~6cm이다.

열매는 핵과로, 구형이다. 지름은 5∼6mm이고, 황갈색으로 익는다.

꽃은 7~8월에 백색으로 피고 자주색의 반점이 있으며 내편은 자색이고 줄기 끝이나 잎짬에 원추화서 또는 취산화서로 달린다. 꽃은 5수성이다.

윗부분은 겨울에 죽으며, 어린 가지에 잔털이 나고 독특한 냄새가 난다.

---------------------------------------------------------------

 

계요등(鷄尿藤)은 아시아 온대와 열대 전역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충청도 이남 산록의 양지 및 골짜기에 산다. 길이 5-7m이며 냄새가 난다. 줄기가 울타리나 다른 식물을 감고 올라가며 자라며, 윗부분이 겨울에 말라 죽어버린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난상 피침형, 끝이 뾰족하고, 밑이 둥글거나 심장형이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잎자루는 길다. 꽃은 흰색으로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원추꽃차례나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갈래, 화관도 5갈래,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핵과로 둥근 모양이며 황갈색으로 익고 약용으로 쓰인다.

 

변종

• 좁은잎계요등(Paederia scandens var. angustifolia (Nakai) T.B.Lee) : 잎이 좁고 긴 바소꼴이며 밑부분이 편평하다.[3]

• 털계요등(Paederia scandens var. velutina (Nakai) Nakai)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구렁내덩굴·계각등이라고도 한다.

산기슭 양지바른 곳이나 바닷가 풀밭에서 자란다. 길이 5∼7m이다.

어린 가지에 잔털이 나고 독특한 냄새가 난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처럼 생긴 바소꼴이며 길이 5∼12cm, 나비 1∼7cm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거나 수평이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잎자루는 길이 1∼6cm이다.

 

꽃은 7∼9월에 피는데, 흰색 바탕에 자줏빛 점이 있으며 안쪽은 자줏빛이고 지름 4∼6mm, 길이 1∼1.5cm이다.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원추꽃차례 또는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과 화관은 5갈래로 갈라지고 수술은 5개이다.

열매는 공 모양의 핵과로서 지름 5∼6mm이며 9∼10월에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한방과 민간에서 거담제·거풍제·신장염·이질 등에 약으로 쓴다.

한국(제주도·전라남도·전라북도·충청남도·경상북도·경기도)·일본·타이완·중국·필리핀에 분포한다.

잎이 넓고 뒷면에 부드러운 털이 빽빽이 나는 것은 털계요등(var. velutina)이라고 한다.

[출처] 계요등 | 두산백과

 

 

번식방법

가을에 익는 종자를 직파하거나 줄기를 잘라서 꺾꽂이하여 번식한다. 

 

특징

내한성은 약하며 건조한 땅에서 잘 견디고 맹아력이 강하여 마디마다 새싹이 돋으며 바닷가의 해풍을 매우 좋아한다.

 

 

사진출처

floma /http://floma.kr/xe/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곰취와숲나들이 /http://cafe.daum.net/chuistory1217

 

 

꼭두선이과(Rubi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2.20 17:28

계요등(Paederia)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2.20 17:30

개요등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1.07.22 13:08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대싸리  (0) 2013.02.20
좁은잎계요등  (0) 2013.02.20
계요등속(Paederia)  (0) 2013.02.20
꼭두선이과(Rubiaceae)  (0) 2013.02.20
태백이질풀  (0) 2013.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