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은잎계요등
학명: Paederia scandens var. angustifolia (Nakai) T.B.Lee
이명: 좁은잎계뇨등, 가는잎계뇨등, /분류: 용담목 >꼭두서니과 >계요등속 /원산지: 한국
분포: 바다를 따라 대청도 및 울릉도에까지 분포한다. /크기: 길이 5-7m까지 자란다.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
잎이 좁고 긴 피침형이며 길이 3-16cm, 폭 5-10mm로서 절저이고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좁은잎계요등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31592
잎이 좁고 긴 피침형이며 길이 3-16cm, 폭 5-10mm로서 절저이고 표면에는 털이 없으나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열매는 둥글며 지름 5-6mm로서 9-10월에 황갈색으로 익고 털이 없다.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화서 또는 취산화서는 정생하거나 액생하고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첨두이다. 화관은 길이 1-1.5cm, 지름 4-6mm로서 백색이고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5개로 갈라지고 겉에 털이 있으며 수술은 5개로서 2개가 길고 암술대는 2개이다.
덩굴성이고 윗부분이 겨울 동안에 죽으며 어린 가지에 잔털이 다소 있다.
------------------------------------------------------------------
계요등(P. scandens Merr.): 잎은 길이 5-12㎝, 나비 1-7㎝로 밑은 심장형이며 끝은 뾰족하다. 잎 뒷면은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거치가 없으며 엽병은 길이 1-6㎝이다.
생육환경
햇빛이 잘 드는 돌담이나 길가에 서식한다. 담장이나 잡목 줄기를 타고 올라가며 자란다. 토양은 물빠짐이 좋은 것이 바람직하며 특별한 시비관리는 필요하지 않다. 내한성은 약하며 건조한 땅에서 잘 견디고 바닷가의 해풍을 매우 좋아한다.
광선: 양생 /내한성: 약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재배,번식방법
강건한 식물이므로 특별한 관리는 필요하지 않으나 햇빛이 잘 드는 곳을 택하여 재배하며 덩굴이 감아 올라갈 수 있는 유인재료가 필요하다. 너무 비옥하게 관리하면 필요 이상으로 무성하게 자라게 되고 꽃도 많이 피지 않는다.
결실기: 9월, 10월
이용방안
트레리스나 덕 또는 지주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감아 오르게 재배하면 조경적 효과가 매우 크다. 화분에 철사 등으로 지주를 설치하고 유인 재배하면 좋은 분물이 된다.
유사종
▶계요등(P. scandens Merr.): 잎은 길이 5-12㎝, 나비 1-7㎝로 밑은 심장형이며 끝은 뾰족하다. 잎 뒷면은 짧은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거치가 없으며 엽병은 길이 1-6㎝이다. ▶털계요등(var. velutina Nakai): 잎이 넓고 뒷면에 융모가 밀생한 것.
특징
속명은 라틴어의 `paidor(악취)`에서 유래하며 식물체에서 독특한 냄새가 난다는 의미이다.
맹아력이 강하여 마디마다 새싹이 돋아난다.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계요등(P. scandens Merr.):
꼭두선이과(Rubi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2.20 17:28
계요등속(Paederia)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2.20 17:30
계요등(鷄尿藤)의 효능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0.04.04 22:43
좁은잎계요등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0.04.04 19:39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리취속 (Synurus) (0) | 2013.02.21 |
---|---|
광대싸리 (0) | 2013.02.20 |
계요등 (0) | 2013.02.20 |
계요등속(Paederia) (0) | 2013.02.20 |
꼭두선이과(Rubiaceae) (0) | 2013.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