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씀바귀
학명: Lactuca raddeana Maxim.
이명: 산씀배,산꼬들백이,산고들삐기,산왕고들삐기, /꽃말: 순박함.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초롱꽃목 >국화과 >왕고들빼기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인도지나반도. /크기: 높이 65-150cm . /생육환경: 숲가장자리 냇가 근처.
일년 내지 이년생 초본
높이는 1미터 내외이며, 잎은 달걀 모양이나 긴 타원형이며 밑부분이 깃처럼 갈라지고 뒷면은 회청색이다. 8~10월에 노란 두상화(頭狀花)가 핀다. 이른봄에 뿌리와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우리나라, 중국 북동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산씀바귀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12.leaf?plntIlstrNo=30212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경생엽은 날개가 있는 긴 엽병이 있으며 원줄기를 감싸지 않고 표면은 붉은빛이 도는 녹색으로서 털이 약간 있으며 뒷면은 회청색으로서 맥 위에 털이 있고 무우잎처럼 갈라진다. 정열편은 난상 삼각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측열편은 1-3쌍으로서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중앙부의 잎은 길이 8-11cm로서 엽병이 길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짧아지고 피침형으로 된다.
수과는 납작한 도란형이고 황색이며 부리와 더불어 길이 2.5-3mm로서 4-5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백색 또는 황갈색이며 길이 5.5mm정도이고 9월에 익는다.
꽃은 8-10월에 피며 지름 1.5cm정도로서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고 화경은 길이 5-9mm에서 6-18mm로 자란다. 총포는 길이 10-11mm이며 총포편은 녹색이지만 가장자리는 백색이고 4줄로 배열되며 내편은 길이 5mm, 외편은 길이 1.5-2mm이다. 화관은 황색이며 길이 12mm이고 통부는 길이 4.5mm정도로서 털이 있다.
높이 65-15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분홍빛을 띠고 조각모양의 털이 밀생한다.
방추형의 뿌리가 있다.
------------------------------------------
산고들빼기라고도 한다. 숲가장자리와 냇가 근처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뿌리는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삼각형이며 길이 8∼11cm이다.
날개가 있는 잎자루가 있고 가장자리에는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 밑에서는 깃꼴로 갈라지며 겉면은 붉은빛을 띤 녹색, 뒷면은 잿빛을 띤 녹색이다.
꽃은 8∼10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두화(頭花)는 지름 1.5cm로서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자르면 하얀 즙이 나온다.
총포는 길이 10∼11mm이고 포조각은 3개로 갈라지며 바깥조각은 끝이 뾰족한 달걀 모양이다.
빛깔은 녹색이지만 가장자리가 흰색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서 길이 2.5∼3mm이다.
검고 부리가 있으며 4∼5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흰색이다.
이른봄에 뿌리와 어린 싹을 나물로 먹는다.
한국, 일본, 중국 북동부, 사할린섬, 인도차이나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무지개세상
꽃을 살펴보면 산고들빼기와 별다른 차이를 발견할 수 없다.
하지만 줄기와 잎으로 구별할 수 있다.
산씁바귀는 잎의 시작부분이 줄기를 감싸고 있지 않다. 반면 두메고들빼기는 잎의 시작부분이 줄기를 감싸고 있는 것이 큰 차이다.
산씀바귀 - 잎의 시작부분이 줄기를 감싸고 있지 않다
두메고들빼기 - 잎의 시작부분이 줄기를 감싸고 있다.
산씀바귀 (학명: Lactuca raddeana MAX.)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로 원산지는 한국이다.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에 분포한다. 숲 가장자리나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 65~150cm이고 줄기는 옅은 붉은색을 띠며 조각 모양의 털이 빽빽이 나며 곧게 자란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세모진 달걀 모양으로 밑부분의 잎이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기도 한다. 가운데 갈래조각은 끝이 뾰족한 달걀형 삼각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옆부분의 갈래조각은 1~3쌍으로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며 윗부분으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져 피침 모양이 된다.
꽃은 8~10월에 피며 노란색의 원추화서가 원줄기의 끝부분에 달린다. 총포조각은 녹색으로 가장자리에 흰색의 줄이 4개로 배열된다. 열매는 수과이고 9월에 익는다. 편평하며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다. 출처: 국립중앙과학관
생육환경
▶숲가장자리나 냇가 근처에서 자란다.
결실기: 9월
이용방안
▶이른 봄에 뿌리와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뿌리는 감기, 기침, 폐결핵, 뱀독에 쓴다. 전초를 풍습관절염, 옹종창양, 뱀독에 쓴다.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전남들꽃연구회 /http://cafe.daum.net/ya2004/19Bt/3240
라파엘의 야생화사랑 블로그 /http://hosan815.egloos.com
국화과 (菊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09.10 15:53
왕고들빼기속 (Lactuca)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1.31 10:12
산씀바귀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1.12.22 01:49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시상추 (0) | 2013.02.01 |
---|---|
상추 (0) | 2013.02.01 |
두메고들빼기 (0) | 2013.02.01 |
한라고들빼기 (0) | 2013.02.01 |
용설채 (0) | 201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