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쑥부쟁이
학명: Aster associatus Kitag.
이명: 넓은잎외잎쑥부장이, 민쑥부장이, /원산지: 한국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
분포: 한국(경기, 전남, 함남, 함북)에 나며 만주에 분포. /크기: 높이는 60∼80cm. /생육환경: 원야.
다년생초본
높이는 70센티미터 정도이며, 쑥부쟁이와 비슷한데 잎사귀가 밋밋하고 총포가 좀 크다. 우리나라의 북부,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민쑥부쟁이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41606
잎은 호생하고 도피침형이다. 길이 3~5cm, 나비 3~5mm이다. 밑부분이 좁아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다소 뒤로 말리며 엽병은 없다.
열매는 수과로 편평한 도란형이다. 관모의 길이는 1mm정도이고 갈색이다.
꽃은 9월에 벽자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화서를 이룬다. 두상화의 지름은 3cm이다 .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가 6∼8mm이고, 포편은 4열로 배열하며 장타원형이다. 외편은 다소 짧으며 끝이 둥글다. 포엽은 포편과 비슷하나 다소 짧다.
줄기는 총생하고 짧은 털이 있고 가지를 친다.
-----------------------------------------------
다년초로 줄기는 총생하고 상부에 털이 있으며 가지를 치고 높이 60~80㎝이다.
잎은 호생하고 도피침형으로 길이 3~5㎝, 너비 3~5㎜이며 끝은 둔하게 그치다가 갑자기 가시 같은 돌기로 되고 밑은 좁아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다소 뒤로 말리며 엽병은 없다.
꽃은 9월에 벽자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달리며 두화는 지름이 3㎝ 정도이다.
총포는 반구형이고 포편은 4열로 배열하며 장타원형이고 외편은 다소 짧으며 끝이 둥글고 총포 밑의 포엽은 포편과 비슷하나 다소 짧다.
과실은 수과로 편평한 도란형이고 관모는 길이 1㎜ 정도로 연한 갈색이다.
본종은 쑥부쟁이에 비해 잎은 밋밋하고 수평으로 퍼지며 총포편이 보다 크고 4열로 배열하며 흔히 자색이 돈다.원야에 난다. 경기(소요산), 전남(지리산), 함남(용안), 함북(북수백산)에 나며 만주에 분포한다.
출처 - 한국기준식물도감 - 기본정보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뭉쳐나고 가지가 가라지며 모가 난 줄이 있고 짧은 털이 있으며 높이가 60∼8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거꾸로 세운 바소꼴이고 밑 부분이 좁아지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약간 뒤로 말린다.
꽃은 9월에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두상화(頭狀花:꽃대 끝에 꽃자루가 없는 작은 꽃이 많이 모여 피어 머리 모양을 이룬 꽃)를 이루며 달린다. 두상화의 지름은 3cm이고,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가 6∼8mm이고, 총포 조각은 4줄로 배열하며 긴 타원 모양이다.
열매는 수과이고 편평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길이 1mm의 갈색 관모가 있다. 쑥부쟁이와 비슷하지만 잎이 밋밋하고 수평으로 퍼지며 총포 조각이 크고 윗부분에 자줏빛이 도는 것이 다르다. 한국(북부지방)·중국 북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민쑥부쟁이 | 두산백과
사진출처
floma /http://floma.kr/xe/
石 泉 의 들꽃 길 /http://blog.naver.com/kamong/40123041501
소백산 들꽃따리 /http://blog.daum.net/s-8760/11062334
국화과 (菊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09.10 15:53
참취속(Aster) 2012.12.30 21:29
쑥부장이의 약효.효능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6.18 15:13
민쑥부쟁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6.19 11:58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양쑥부쟁이 (0) | 2013.01.02 |
---|---|
미국쑥부쟁이 (0) | 2013.01.02 |
눈개쑥부쟁이 (0) | 2013.01.02 |
왕갯쑥부쟁이 (0) | 2013.01.01 |
갯쑥부쟁이 (0) | 2013.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