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벌개미취

호남인1 2012. 12. 31. 11:24

 

 

 

 

 

벌개미취

학명: Aster koraiensis Nakai 

 

이명: 고려쑥부쟁이,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

원산지: 한국 /분포: 제주도와 경기도 이남. /크기: 높이 50-60cm. /생육환경: 햇볕이 잘 들고 습기가 충분한 계곡.

 

다년생초본

옆으로 벋는 뿌리줄기에서 원줄기가 곧게 50~60센티미터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길고 뾰족하다. 6~10월에 꽃대 끝에 연한 자줏빛 꽃이 뭉쳐서 피며, 4밀리미터 정도의 수과(瘦果)가 열린다. 어린순은 식용하고 습지에서 자란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벌개미취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41578

 

 

근생엽은 꽃이 필때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19cm, 나비 1.5-3c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질이 딱딱하고 양면에 털이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선형으로 되며 길이 4-5mm이다.

수과는 길이 4mm, 너비 1.3mm정도로서 도피침상 긴 타원형이고 털이 없으며 과모도 없다. 11월에 결실한다.

꽃은 6-10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연한 자주색이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총포는 반구형이며 길이 13mm, 지름 8mm이다. 포편은 4줄로 배열되고 외편은 길이 4-5mm, 나비 1.5mm로서 긴 타원형이며 둔두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설상화의 화관은 길이 26mm, 나비 3.5-4mm이다.

높이는 50-60cm으로 곧게 자라고 줄기에 파진 홈과 줄이 있다.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적갈색으로 굵고 단단하며 10cm정도로 짧다. 잔뿌리가 많이 나고 일종의 냄새가 난다.

-------------------------------------------------------------------------------------------------

 

 

국화과의 쌍떡잎식물로 여러해살이풀이다.

흔히 우리가 '들국화'라고 부르는 가을 들꽃의 일종이며 일명 '포드등'이라고도 하고 북한에서는 '별개미취'라고도 한다.

 

개화기를 기준으로 볼 때 키는 50-60cm정도이며 숙근초로서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곧추 자라고 줄기에 파진 홈과 줄이 있다.

 

잎은 어긋나며, 뿌리에서 나는 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줄기에서 나는 잎은 길이 12-19cm의 피침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은 밑이 좁아져서 잎자루가 되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광택이 있는 녹색이다.

 

꽃은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피는데 연한 자주색이며 지름 4-5cm로서 줄기와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달린다. 열매는 10-11월에 익으며, 피침형이고 관모는 없다.

 

벌개미취의 학명중 속명인 Aster는 희랍어 '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별처럼 생긴 꽃 모양에서 비롯되었다. 종명의 koraiensis는 '한국산'이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는 없고 우리나라에만 있는 한국 특산식물이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보통 볕이 잘 드는 습지에서 잘 자라지만 산비탈 바위 틈의 척박한 환경에서도 자라는 강인한 야생화이다.

 

어린 순은 나물로 먹고 민간에서는 전초를 보익, 해수, 이뇨 등에 약으로 쓴다. 다른 이름으로는 조선자원, 별개미취가 있다. 출처: 무지개세상

 

 

학명이 Aster koraiensisNakai인 벌개미취는 학명에서 보듯 우리 한국의 특산식물로서 영어 이름 역시 korean Daisy라 불리우며 고장에 따라서는 고려 쑥부쟁이라 부르기도한다

 

벌개미취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꽃으로 자생하며 우리나라 남한 어느지역에서나 흔하게 볼수가 있고 특히 강원도지방에서 많은 개체가 자라고있다

 

이른봄 4월초에 새싹을 내미는 벌개미취는 마치 꽃방석을 역듯이 주위를 빙둘러 잎으로 뿌리 둘레를 감싸고 돋아난다 이렇게 잎을 키워나간 벌개미취는 7월말경부터 꽃대를 자라게하는데 이꽃대는 8월중순까지 자라서 60~90센치미터 혹은 1 미터까지도 자라게 되며 이때쯤 방석처럼 깔렸던 뿌리근처의 잎들은 사라지고 꽃줄기에만 어긋나게 새로운 잎들이 피어나게된다

 

이렇게 새로 피어난 꽃줄기 잎은 처음 피었던 잎과는 조금 다른 형태로 피어나는데 잎 가장 자리에는 톱니같은것이 생겨나며 길쭉한 타원형으로 피어나며 줄기끝쪽으로 올라갈수록 잎의 크기가 작아지는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꽃대를 다 키운 벌개미취는 10부터 꽃을 피우기 시작하는데 꽃대는 가지가 갈라지고 갈라진 가지끝마다 탐스러운 벌개미취꽃이 피어난다 꽃은 연한 보라색으로 피어나며 꽃송이도 상당히 큰편으로 지름이 작은것은 2~3Cm 에서 큰것은 4~5Cm 가 되는것도 있다

 

자칫 쑥부쟁이와 비슷하여 혼동을 하기도 하지만 벌개미취는 다른 비슷한 야생화보다 꽃이 훨씬크고 뿌리부근의 잎들이 방석처럼 둥글게 피어나는 잎들로 쉽게 구분할수있다

 

개미취보다는 키가 좀 작고 꽃이 가지가 많이 안 벌어진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생육환경

▶햇볕이 잘 들고 습기가 충분한 계곡에서 자란다.

▶생육의 최적지는 배수가 잘 되고 부식질이 많은 사질양토이다. 토양과 기상 등 외부환경에 적응성이 뛰어나다.

▶전남, 경남 지리산 지역에서 경기.강원 지역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산림이 안정된 지역에 자생한다. 강원도 지역에서 왕성한 생육상을 보이는 것을 보아 중부지방 이하로는 어느 곳에서나 잘 자랄 것으로 보아진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재배.번식방법

강건한 식물이므로 특별한 관리는 필요없으나 양지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습지는 물론 건조한 환경조건에서도 잘 자란다.

적당한 시비관리는 식물체의 생육을 왕성하게 한다.

높은 비옥도를 요구하지 않은 야생화이다. 그러나 토양이 비옥하면 꽃대도 충실하고 꽃의 색도 좋기 때문에 가급적 금비를 주는 것보다 기비로 완숙된 퇴비를 충분히 주는 것이 좋다.

시비량은 10a당 1,000kg정도가 적당하다.

본상에서는 2월 말에서 3월 초에 새싹이 올라오기 전에 완숙된 퇴비를 포지 위에 골고루 뿌려주면 된다.

이식상을 만들 때에는 완숙된 퇴비를 밭전체에 골고루 뿌려주고 로타리를 이용하여 잘 섞은 후 이랑을 만들어 심으면 좋다.

 

▶절화용으로 생산하고자 할 때는 80㎝ 이상으로 길러야 하기 때문에 개화시에 쓰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화훼용 그물을 2단 정도는 쳐주어야 한다.

분에 올려서 소품을 만들고자 할 때는 반드시 순자르기를 게을리해서는 안되며, 가급적 물주기와 거름, 비료주는 양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웃자람을 적게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파종기: 3월, 4월  /이식기: 9월, 10월, 11월  /결실기: 11월  /삽목기; 5월, 6월 

 

이용방안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지하부 뿌리가 대단히 왕성하므로 노출된 절개사면, 척박지 등에 식재하면 토양고정 능력이 뛰어나 토사유출 방지 효과가 뛰어나다. 사방공사용소재, 도로 주변의 화단 식재용 소재로도 좋다. 

 

보호방안

인공 증식이 용이한 식물이므로 대량으로 증식하여 경제작물로 널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징

한국의 특산식물이다.

▶번식력이 왕성하며 무리지어 생육하는 특성이 있어 앞으로 지피조경용으로 개발가치가 대단히 높고 수출용으로도 전망이 밝다. 

 

병충해정보

재배시 크게 문제가 되는 병충해는 거의 없다. 간혹 진딧물이 발생할 수 있다. 

 

방제방법

진딧물이 발생하면 메타유제, 포리스유제 1,000배액을 산포하면 구제가 된다. 

 

희귀, 특산식물 정보

[특산식물] 

 

 

 

사진출처

floma /http://floma.kr/xe/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국화과 (菊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09.10 15:53

참취속(Aster) 2012.12.30 21:29

벌개미취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1.06.17 21:07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쑥부쟁이  (0) 2012.12.31
참취  (0) 2012.12.31
갯개미취  (0) 2012.12.31
좀개미취  (0) 2012.12.31
개미취  (0) 2012.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