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참취속(Aster)

호남인1 2012. 12. 30. 21:29

 

 

 

 

 

참취속

Aster

 

분류 :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합판화아강(Sympetalae)

초롱꽃목(Campanulales)

국화과(Compositae)

참취속(Aster)

 

참취속(Aster) 또는 개미취속은 참취족의 한 속이다.

 

개미취 (Aster tataricus L.f.)

 

 

 

한국서식 참취속 (Gymnaster) 27종

 

가는쑥부쟁이 (Aster pekinensis (Hance) Chen)

가새쑥부쟁이 (Aster incisus Fisch.)

개미취 (Aster tataricus L.f.)

개쑥부쟁이 (Aster meyendorfii (Regel &Maack) Voss)

갯개미취 (Aster tripolium L.)

갯쑥부쟁이 (Aster hispidus Thunb.)

까실쑥부쟁이 (Aster ageratoides Turcz. var. ageratoides)

눈개쑥부쟁이 (Aster hayatae H.Lev. &Vaniot)

단양쑥부쟁이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Kitam.)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민쑥부쟁이 (Aster associatus Kitag.)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Nakai)

비짜루국화 (Aster subulatus Michx.)

산쑥부쟁이 (Aster lautureanus (Debeaux) Franch.)

섬갯쑥부쟁이 (Aster arenarius (Kitam.) Nemoto)

섬쑥부쟁이(부지갱이나물) (Aster glehni F.Schmidt)

쑥부쟁이 (Aster yomena (Kitam.) Honda)

옹굿나물 (Aster fastigiatus Fisch.)

왕갯쑥부쟁이 (Aster magnus Y.N.Lee &C.S.Kim)

우선국 (Aster novibelgii L.)

제주국화 (Aster chezuensis (Kitam.) Nakai)

좀개미취 (Aster maackii Regel)

참취 (Aster scaber Thunb.)

큰비짜루국화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A.G.Jones)

한라참취 (Aster scaber var. minor Yabe ex Nakai)

해국 (Aster sphathulifolius Maxim.)

흰왕갯쑥부쟁이 (Aster magnus for. albiflorus Y.N.Lee &C.S.Kim)

 

좀개미취 (Aster maackii Regel)

--------------------------------

======================================================================================================================================

 

 

 

한국서식 참취속 27종의 비교이미지

 

1. 가는쑥부쟁이

Aster pekinensis (Hance) Chen /가는쑥부쟁이

 

 

2. 가새쑥부쟁이

Aster incisus Fisch. /가새쑥부쟁이

 

 

3. 개미취

Aster tataricus L.f. /개미취

 

 

4. 개쑥부쟁이

Aster meyendorfii (Regel &Maack) Voss /개쑥부쟁이

 

 

5. 갯개미취

Aster tripolium L. /갯개미취

 

 

6. 갯쑥부쟁이

Aster hispidus Thunb. /갯쑥부쟁이

 

 

7. 까실쑥부쟁이

Aster ageratoides Turcz. var. ageratoides /까실쑥부쟁이

 

 

8. 눈개쑥부쟁이

Aster hayatae H.Lev. &Vaniot /눈개쑥부쟁이

 

 

9. 단양쑥부쟁이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Kitam. /단양쑥부쟁이

 

 

10.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미국쑥부쟁이

 

 

11. 민쑥부쟁이

Aster associatus Kitag. /민쑥부쟁이

 

 

12.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Nakai /벌개미취

 

 

13. 비짜루국화

Aster subulatus Michx. /비짜루국화

 

 

14. 산쑥부쟁이

Aster lautureanus (Debeaux) Franch.

 

 

15. 섬갯쑥부쟁이

Aster arenarius (Kitam.) Nemoto /섬갯쑥부쟁이

 

 

16. 섬쑥부쟁이

Aster glehni F.Schmidt /섬쑥부쟁이(부지갱이나물)

 

 

17. 쑥부쟁이

Aster yomena (Kitam.) Honda /쑥부쟁이

 

 

18. 옹굿나물

Aster fastigiatus Fisch. /옹굿나물

 

 

19. 왕갯쑥부쟁이

Aster magnus Y.N.Lee &C.S.Kim /왕갯쑥부쟁이

 

 

20. 우선국

Aster novibelgii L. /우선국

 

 

21. 제주국화

Aster chezuensis (Kitam.) Nakai

 

 

22. 좀개미취

Aster maackii Regel /좀개미취

 

 

23. 참취

Aster scaber Thunb. /참취

 

 

24. 큰비짜루국화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A.G.Jones /큰비짜루국화

 

 

25. 한라참취

Aster scaber var. minor Yabe ex Nakai

 

 

26. 해국

Aster sphathulifolius Maxim. /해국

 

 

27. 흰왕갯쑥부쟁이

Aster magnus for. albiflorus Y.N.Lee &C.S.Kim /흰왕갯쑥부쟁이

 

 

------------------

들국화에 대하여

-----------------------------------------------------

가을을 대표하는 꽃을 꼽아 보라면 코스모스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전국 어디에서나 길가에 흔하고 꽃도 아름답기 때문에 그렇게 여기는 모양이다. 하지만 코스모스는 멕시코 원산의 한해살이 원예식물로 외국에서 들여와 심는 식물이므로 한반도의 가을꽃을 대표하기에는 아쉬운 점이 있다.

 

들국화를 대표적인 가을꽃으로 꼽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식물도감을 아무리 뒤져보아도 들국화라는 이름을 가진 식물은 찾을 수 없다.‘

들판에 피는 국화’라는 뜻으로 보통 그렇게들 부르는 것인데, 국화와 닮은 토종꽃들을 모두 일컬어 들국화라고 부른다.

따라서 들국화는 어떤 한 식물을 일컫는 것이 아니고, 여러 종류의 국화 종류들, 이를테면 산국, 감국, 산구절초, 개쑥부쟁이 같은 것들을 모두 이르는 보통명사인 셈이다.

 

들국화라고 부르는 식물은 모두 국화과(科)에 속하는데, 국화과의 여러 속(屬) 가운데서도 대개는 구절초속이나 쑥부쟁이속에 속하는 것들이다. 구절초속 들국화로는 산국, 감국, 산구절초, 울릉국화, 한라구절초, 마키노국화, 키큰산국 등이 있다. 쑥부쟁이속에는 쑥부쟁이를 비롯하여 개쑥부쟁이, 갯쑥부쟁이, 눈개쑥부쟁이, 개미취, 좀개미취, 왕갯쑥부쟁이, 해국 등이 포함된다.

 

국화는 화분이나 꽃밭에 심어 기르는 원예식물이다. 꽃이 아름답고, 향기가 좋으므로 아주 오래전부터 중국에서 들여다 심어 왔다. 하지만 국화는 들국화와는 달리 자연에서 저절로 자라지는 않는다. 오랜 세월에 걸쳐 개량되어 현재의 수많은 국화 종류가 탄생한 것인데, 원종은 구절초속 식물이다. 따라서, 엄밀하게 말하자면 들국화의 범주에는 쑥부쟁이속 식물들은 제외하고 구절초속 식물들만 넣어야 한다.

 

구절초속 식물의 꽃과 잎에서는 국화와 같은 향기가 나지만 쑥부쟁이속에서는 국화향이 나지 않는다.

 

국화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것 가운데 하나는 줄기 끝에 달린 꽃들의 모임을 꽃 한 송이로 생각하는 것이다.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소쩍새는 봄부터 그렇게 울었나 보다.’고 노래하지만 한 송이처럼 보이는 국화꽃은 한 송이가 아니라 꽃잎으로 착각하기 쉬운 100여개의 작은 꽃들이 모여서 이루어진 꽃들의 무리인 것이다.

 

이름에 ‘국화’가 들어 있는 식물도 많지만 이들은 들국화 종류가 아니다.

쑥을 닮은 잎을 가진 쑥국화, 백두산에 자라는 구름국화, 깊은 산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국화방망이 등은 들국화 종류가 아니다. 이밖에도 수레국화, 국화마, 국화바람꽃, 국화수리취, 국화으아리, 국화쥐손이 등에도 ‘국화’라는 이름이 붙었지만 들국화와는 관계가 없다.

 

들국화를 한국의 대표적인 가을꽃으로 꼽는 이유는 어디서나 흔하게 볼 수 있다는 점도 한몫한다.

들판뿐만 아니라 높은 산꼭대기에도 살며, 강변과 바닷가에도 산다. 백두산 꼭대기의 바위구절초, 한라산 고지대의 눈개쑥부쟁이와 한라구절초, 독도 바닷가의 해국, 동강 들판의 마키노국화, 울릉도 산지의 울릉국화 등 전국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꽃이 들국화다.

 

들국화는 무리를 지어 자라면서 크고 아름다운 꽃을 피워 사람들 눈에 잘 띄므로 우리들 마음속에 대표적인 가을꽃으로 자리 잡아 왔다.

들국화는 흔한 가을꽃이지만 그 가운데는 멸종위기에 처한 것들도 있다. 울릉국화, 한라구절초, 단양쑥부쟁이, 좀개미취, 마키노국화, 키큰산국 등은 자생지가 몇 곳 안 되고, 자생지의 훼손압력도 높아 사라질 위험이 큰 종류들이다.

 

남한강 모래흙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특산식물인 단양쑥부쟁이는 환경부가 야생동식물보호법에 의해 멸종위기 야생식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긒 - 현진오 /동북아식물연구소장

 

참취 (Aster scaber Thunb.)

--------------------------

 

 

사진출처

floma /http://floma.kr/xe/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마파람의 꽃이야기 /취산 http://cafe.daum.net/maparamstory

 

-----------------------------------------------------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Nakai)

 

국화과 (菊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09.10 15:53

쑥부장이의 약효.효능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6.18 15:13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좀개미취  (0) 2012.12.31
개미취  (0) 2012.12.30
산골취  (0) 2012.12.30
자병취  (0) 2012.12.30
두메취  (0) 2012.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