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능이버섯

호남인1 2012. 9. 16. 18:29

 

 

 

 

능이버섯

학명: Sarcodon aspratus (Berk.) S. Ito

 

이명: 향버섯  /원산지: 한국,

분류: 균류 담자균강 민주름버섯목 굴뚝버섯과 노루털버섯속

분포: 아시아 /서식: 활엽수림 주변에서 군생 /크기: 약 10cm~20cm

 

식용버셧

갓은 크고 넓죽하며, 겉은 시커멓고 안은 분홍빛이 나며 잘게 갈라졌다. 박달나무 따위에서 자란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능이버섯 / 등록정보없슴,

 

 

 

향버섯 [ imbricated hydnum ]

 

담자균, 굴뚝버섯과, 노루털버섯속의 버섯 Sarcodon aspratus(Berk.) S. lto. 나팔꽃모양으로 연 러-토형으로, 높이 10~20cm, 지름 10~20cm, 우산의 중심은 깊게 패여 구멍은 밑까지 달한다.

 

표면에는 거칠고, 뒤집힌 주름이 밀생하고 젊을 때는 흐린 다갈색, 점차로 짙게 되어 마르면 검게 된다.

살은 두께 3~5cm, 육질로 마르면 흑갈색이 되고, 강하고 독특한 향기를 낸다.

 

하면의 바늘은 처음에 회백색, 뒤에 암갈색, 길이 1cm, 가을에 소나무가 섞인 활엽수림에 열을 지어 군생한다. 좋은 맛의 식용균이다.

 

 

 

향버섯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굴뚝버섯과의 버섯.

• 학명: Sarcodon aspratus

• 계: 식물

• 문: 균류

• 분포지역: 한국·일본

• 서식장소/자생지: 활엽수림의 지상에서 군생

• 크기: 자루 길이 3~6cm, 지름 1~2cm

 

능이(能栮)라고도 한다. 가을에 활엽수림의 지상에서 군생한다. 자실체는 높이 10∼20cm이고 나팔꽃과 같이 퍼진 깔때기 모양이다. 갓은 지름 10∼20cm에 달하고 갓의 중심은 자루 끝까지 우묵하게 구멍이 뚫려 있으며 표면에는 크고 거친 비늘조각이 거꾸로 밀생한다.

 

어렸을 때는 전체가 담홍색에서 홍갈색으로 변하고 흑갈색이 된다. 갓 밑면에는 1cm 내외의 바늘이 밀생한다. 자루는 길이 3~6cm, 지름 1~2cm이고 표면은 밋밋하다. 포자는 둥글고 돌기가 있으며 담갈색이다. 건조하면 강한 향기가 나며, 식용버섯이지만, 날로 먹으면 중독된다. 한국·일본에 분포한다.  [출처] 향버섯 | 두산백과

 

 

옛부터 가정에서 상비약으로 잘게찢어서 잘 말려 보관 해왔던 비상 약용으로 돼지고기를 먹고 탈이 나거나 체기가 있을 때 몇쪼각을 달여 마시면 효과가 탁월하며 지금도 도서 산간지방에는 사용중이다.

 

 

 

능이는 약용버섯으로 고기를 먹고 滯한데 먹으면 急滯가 해결된다고 하며,지방과 단백질을 쉽게 분해할 수 있는 성분이 함유되어 비만을 예방효과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 암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생으로 먹으면 독성 약간 있어 생식은 금하고,더운 물에 데쳐 드시는것이 좋다. 데친후 나오는 검은 물도 버리지 말고 요리에 이용한다.

단, 위나 장에 염증이 있는 사람은 능이버섯을 먹지 말아야 한다.

(지방과 단백질을 쉽게 분해하는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위염,장염이 있는 환자는 더 악화될 수 있다.)

 

능이버섯은 주로 활엽수(참나무등)의 뿌리위 낙엽부토(마사 포함)에서 자라며,습하지 않고 배수가 잘 되는  6~9부능선 직사광선이 아닌 은은한 햇빛이 들어오는 (남쪽을 제외한) 동,서,북향에 주로 자란다. 토질은 마사가 많이 포합된 곳에서 잘 발생한다.

수도권 대표적인 능이버섯의 자생지는 경기도 일원 양평 포천 등지에 많이 나며 강원도에서 제일 많이 나온다. 

능이버섯은 절기로는 백로(올해는 9/8일)이 후 비가 오고난 후 약 5 ~ 7 여일 이내 발견할 수 있으며,10월중순경 까지 채취가능(그해 기온과 雨時에 따라 달라짐)하다.

자란지 오래된 능이살 속에는 벌레가 발생한다. 벌레를 제거하고 먹어도 되지만 데쳐서 그냥 먹어도 무관하다.

 

 

 

능이버섯의 효능

 

인공재배가 되지 않는 능이버섯은 1능이, 2송이, 3표고라 회자된다. 맛과 향이 뛰어나 (향버섯)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송이버섯은 소나무 뿌리에서 균생하고 능이버섯은 참나무 뿌리에서 균생하는데 갓의 크기가 7~40㎝이고 높이는 7~30㎝까지 자라며, 혈증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Enltedenine 암세포를 억제시키는 다량체인 Lentian 등 의약품으로 인가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그외에도 단백질분해 성분이 다량함유되어 육류를 먹고 체했을 때 큰효과를 발휘하고 다량의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가가 풍부한 보건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그 맛과 향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급속히 수요가 확산되어지고 있다.

 

능이의 향은 흙냄새, 강한 풀냄새, 꽃향기, 나무향, 고기향, 상큼한우유향 등이 함유되어 있다.

 

능이버섯의 특징

① 갓 : 크기 7~25㎝, 모양 편평형, 나팔모양, 색깔 담홍색, 성숙 짙은 흑갈색 표면은 솔방울 모양의 큰 인편

② 자실층 : 침모양, 옅은 회자갈색, 흑갈색 크기 3-6x1-3(5)㎝, 모양 짧고 뭉툭, 돌기가 대의 기부까지 있음

③ 조식 : 단담함

④ 향기 : 짙다

⑤ 턱받이 : 백색의 불완전한 턱받이

 

우리나라에서는 오래전부터 고급요리에 이용되어 왔으며, 특히 육류를 먹고 체했을 때 소화제로 사용되었고, 건조하면 매우 강한 향기가 있어 "향이"이라고도 불려지고 있다.  발생시기는 가을이다

 

향기가 진해 옛날부터 채식요리의 진귀한 채소로 쓰는 외에 지방의 민간약으로 쓰이기도 하고 추출물은 화장품으로도 이용되었다. 향버섯은 떫은맛이 강하므로 일반적으로는 먼저 떫은맛을 빼는 것이 무난하다.

 

그대로 냄비에 넣게 되면 국물이 새까맣게 되고 만다.

채취하게 되면 바로 건조시켜 요리를 할 때에는 데쳐 내서 떫은 맛을 없앤다. 떫은맛을 빼면 개성적인 맛은 대부분 없어지나, 취사한 밥이나 전골, 튀김 프라이, 조개국물, 볶음나물, 필라프(밥에 고기,새우 따위를 넣고 버터로 볶은 음식)계란 무침 등 여러 가지 요리에 이용된다.

 

식품성분(가식부 100g당, 생)

비타민 B2/수분 12.14g, 함유량 1.129mg, 비타민 C/수분86.38mg, 함유량 15.34mg 프로비타민D2/함유량 0.157g

 

버섯도감 / http://k.daum.net/qna/view.html?qid=4xMJ7

 

<능이버섯>

 

-  씹히는 맛이 좋아 맛이 있다.

-  생식은 중독되는 수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건조보관이나 가열 요리가 필요하다.

-  아주 비슷한 버섯에 돌기가 없는 게로우지가 있으나 쓰기 때문에 식용은 되지 않는다.

- 초기에는 담홍갈색~담갈흑색이나 차차 홍갈색~흑갈색이 되고, 조직은 담홍백색이다.

- 자실층은 길이 1cm이상 되는 많은 침이 돋아나 있고, 초기에는 회백갈색이나 후에 담흑갈색이 된다.

-  포자는 구형~유구형이고, 표면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고, 포자문은 담갈색이다.

 

<능이의 뒷면>

 

-자연산 능이버섯은 암예방과 기관지 천식 감기에 효능이 있으며 그 맛은 시원하면서도 담백하고 뒷맛이 깨끗하다.

-성분은 유리 아미노산이 23종 들어있으며, 지방산 10종과 미량 금속 원소가 13종이 들었고 그밖에 유리당, 균당이 들어있다.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주는 효능이 있다.

-능이버섯을 생식하면 가벼운 중독증상이 나타나며, 위장에 염증과 궤양이 있을 때는 금기다.

-민간에서는 쇠고기를 먹고 체했을 때 이 버섯을 달인 물을 소화제로 이용해 왔다.

-생약명은 능이(能珥)이며, 일본에서는 '고우다케'라고 부르며 일본 지방에서는 '시시다케','구마다케'라고도 부른다.

 

※식품성분(가식부 100그램당, 생것)

◎ 비타민 B2(수분 12,14그램, 함유량 1.129밀리그램)

◎ 비타민 C(수분 86.38밀리그램, 함유량 15.34밀리그램)

◎ 프로비타민 D(함유량 0.157그램)"

 

씹는 맛을 좋으며 쓴 맛을 즐긴다.

능이버섯을 쇠고기와 함께 요리해서 먹으면 그 맛이 일품이다.

요리할 때 돼지비계와 함께 놓아두면 돼지비계덩어리가 녹아서 물처럼 된다.

 

 

 

능이버섯먹는법 | 獨立軍의 料理法 2007.05.20 23:16

능이버섯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5.21 03:34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독큰갓버섯   (0) 2012.09.17
큰갓버섯  (0) 2012.09.16
아까시재목버섯  (0) 2012.09.16
좀개갓냉이   (0) 2012.09.15
석창포   (0) 2012.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