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까치수염
Lysimachia mauritiana Lam.
학명: Lysimachia mauritiana Lam.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진달래목 >앵초과 >까치수염속
이명: 갯좁쌀풀, 갯까치수영, 갯꽃꼬리풀, /영명: Maurit Loosestrife.
원산지: 한국 /분포: 제주도, 울릉도를 비롯한 남해안 지역. /크기: 높이 10~40cm /서식: 바닷가
다육질의 2년생 초본류
이년생 초본류로 제주도, 울릉도를 비롯한 남해안 지역에 분포하며 주로 바닷가에서 서식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갯까치수염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25995
잎은 호생하고 두터운 육질로 윤기가 돌며 주걱같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2~5cm, 나비 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둔하거나 둥글고 밑으로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리며 흑색 내선점이 있다.
삭과는 둥글고 지름 4-6mm로서 끝에서 작은 구명이 뚫려 종자가 나온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아름답게 피며 총상화서는 정생하고 길이 4-12cm이며 소화경은 비스듬히 퍼지고 길이 1-2cm로서 포보다 짧거나 같다. 꽃잎은 지름 1-1.2cm로서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뒷면에 흑색 점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화관은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열편은 쐐기같은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다.
높이 10-20cm이고 흔히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밑부분에 붉은 빛이 돈다.
------------------------------------------------------------------
높이 10~20cm이고 줄기는 밑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붉은 빛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육질이며 주걱모양의 거꾸로 된 바소모양이다. 길이 2~5cm, 너비 1~2cm이고 끝이 둥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밑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흑색 내선점이 있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며 총상화서로 달리고 길이 4~12cm이며 소화경는 비스듬히 퍼지고 포보다 짧거나 같다. 꽃잎은 지름 1~1.2cm로서 넓은 바소모양이며 끝이 둔하고 뒷면에 흑색 점이 약간 있으며 끝이 5개로 갈라진 화관은 수평으로 퍼진다. 열매는 삭과로서 지름 4~6mm로서 둥글며 끝에 작은 구멍이 뚫려 종자가 나온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제주도, 울릉도, 남부,중부 지방에 분포하며, 개화기는 6-8월, 결실기는 7-8월이다. 식용, 관상용이며, 잎은 약용으로 쓰인다. 2년생 초본으로 높이 10~40㎝로 해안지에서 자란다. 흔히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밑부분에 붉은 빛이 돈다.
잎은 호생하고 육질이며 주걱상 거꿀 피침형이고 길이 2~5㎝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둔하거나 둥글고 밑으로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리고 흑색 내선점이 있다.
꽃은 백색으로 총상 화서를 이루고 소화경은 비스듬히 퍼지고 포보다 짧거나 같으며 꽃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끝이 둔하고 뒷면에 흑색점이 다소 있거나 없다. 화관은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며 열편은 쐐기 모양의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삭과는 둥글고 끝에 작은 구멍이 뚫려 종자가 나온다. 민간에서 구충제 등에 쓰인다. 출처 무지개세상
작은 분재화분에 심어 초물분재로 가꾸어도 좋으며 실내정원 등에 이용하여도 좋다. 암석원이나 노지정원에 식재하여도 잘 어울린다.
너무 기름진 토양은 식물체를 도장시키게 되므로 물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재배한다.
까치수염속[Lisimachia Linne] /英 : Loosestrife /日 : Oka-toranoo Zoku
세계에 약 160종,
까치수염속 (Lysimachia) 13종
갯까치수염 (Lysimachia mauritiana Lam.)
까치수염 (Lysimachia barystachys Bunge)
물까치수염 (Lysimachia leucantha Miq.)
버들까치수염 (Lysimachia thyrsiflora L.)
분홍좁쌀풀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for. koreana W.T.Lee ex W.T.Lee &W.K.Paik)
섬까치수염 (Lysimachia acroadenia Maxim.)
좀가지풀 (Lysimachia japonica Thunb.)
좁쌀풀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Ledeb.) R.Kunth)
진퍼리까치수염 (Lysimachia fortunei Maxim.)
참좁쌀풀 (Lysimachia coreana Nakai)
큰까치수염 (Lysimachia clethroides Duby)
탐라까치수염 (Lysimachia qualpaertensis K.H Tae &J.S. Lee)
홍도까치수염 (Lysimachia pentapetala Bunge)
=====================================================================
까치수염류 비교하기; http://blog.naver.com/kssoms0807/20078947293
사진출처
꽃향기많은집 / http://cafe.daum.net/sunyuricyh?t__nil_loginbox=cafe_list&nil_id=2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wfc_01
============================================================================================================================
바로가기
진달래목 | 식물도감(植物圖鑑)
앵초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까치수염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갯까치수염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낭화(錦囊花) (0) | 2012.07.27 |
---|---|
금강봄맞이 (0) | 2012.07.27 |
갈퀴현호색 (0) | 2012.07.26 |
각시붓꽃 (0) | 2012.07.25 |
토종민들레 - 종별특성,외래종과비교,약성,전설 (0) | 2012.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