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물옥잠

호남인1 2012. 3. 6. 07:34

 

 

 

 

물옥잠

 

학명: Monochoria korsakowii Regel &Maack)

영명: Korsakow Mo-nochoria /원산지: 한국 /꽃말 : 변하기 쉬운 사랑의 슬픔

분류: 외떡잎식물강 닭의장풀목 물옥잠과 물옥잠속 /분포: 아시아, 유럽

서식: 논, 늪 /크기: 약 20cm~40cm /생약명: 우구,

 

물옥잠과(科)의 한해살이풀. 높이 30센티미터 정도로 자라며, 잎의 밑부분은 원줄기를 감싸고 위로 가면서 잎자루가 짧아진다. 여름에 자줏빛 또는 흰빛의 꽃이 원추 꽃차례로 핀다. 물속에서 자라며 우리나라, 중국, 일본, 동부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물옥잠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12.leaf?plntIlstrNo=28181

 

 

못이나 물에서 자라며, 키는 30㎝ 가량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밑이 움푹 패였으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나란히맥을 지니고 있다. 잎자루는 줄기 위로 갈수록 짧아지며 줄기를 감싼다.

 

푸른빛이 도는 보라색의 꽃이 9월에 줄기 끝에 원추(圓錐)꽃차례로 핀다. 꽃은 6장의 꽃덮이조각, 6개의 수술, 1개의 암술로 이루어졌으며 수술에는 갈고리 같은 돌기가 있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익는데 동그스름한 원추 모양을 하고 있다. 잎의 생김새가 뜰에 심는 옥잠화 와 비슷하나 물에서 자라기 때문에 '물옥잠'이라고 한다.

 

물옥잠과 비슷한 식물인 물닭개비(M. vaginalis var. plantaginea)는 잎이 뿌리에서 마주나며, 9월에 푸른빛이 도는 보라색 꽃이 잎이 달린 가지의 한쪽에 총상(總狀)꽃차례로 핀다.  申鉉哲 글

 

 

 

물옥잠 (학명: Monochoria korsakowi Regel et Maack)

 

분질배유목 물옥잠과의 외떡잎식물로 한해살이풀이다.

논과 늪의 물 속에서 자란다.

 

줄기는 스폰지같이 구멍이 많아 연약하고 높이는 약 30cm이다.

줄기 밑 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길지만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진다.

잎자루는 즙액이 많고 밑 부분이 넓어져서 칼집을 이루고 줄기를 감싼다.

잎몸은 하트 모양이고 길이와 폭이 각각 4∼15cm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다.

잎의 색은 짙은 녹색으로 두툼하며 윤기가 난다.

 

꽃은 7-8월에 보라색 또는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길이 5∼15cm의 원뿔 모양의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의 지름은 2.5∼3cm이며, 꽃 밑 부분에 칼집 모양의 포가 있다.

꽃덮이는 6조각이고 수평으로 퍼지며, 갈라진 조각은 타원 모양이고 끝이 둔하다.

수술은 6개인데 꽃덮이조각에 붙어 있으며, 그 중 5개는 짧고 노란 색이고 나머지 한 개는 길며 자주색이다.

암술대는 가늘고 수술보다 길며 비스듬히 올라간다.

씨방은 1개인데 윗부분에 있고 자라면서 밑을 향하여 처진다.

열매는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이며 지름이 1cm이고 성숙하면 늘어지는데 끝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우구라는 약재로 쓰는데, 고열과 함께 오는 해수와 천식에 효과가 있다.

논이나 연못에서 자라며 한국·일본·중국·시베리아 동부·우수리강 유역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무지개세상

 

 

 

물옥잠의 유효이용

저자: 石井猛 외 2인

 

세계 3대 공해 초로서 알려진 물옥잠은 4월부터 11월 기간에 유난히 번식된다. 그 때문에, 수중의 산소가 줄어들어 물고기가 죽거나, 뿌리가 배의 "스크류"에 휘감겨 붙어서 고장을 일으키는 등의 피해를 주고 있다.

현재는 물옥잠을 회수한 후 건조시켜 소각하는 방법이 채택되어지고 있지만, 그 방법으로는 이산화탄소가 발생해서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된다. 이 방법으로는 반영구적으로 물옥잠을 제거하는 것도 불가능하고 고액의 비용이 든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물옥잠의 유효이용]이다.

 

물옥잠은 어느 정도의 환경을 가하면 황성한 번식력을 발휘해서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질소, "인", "칼륨"을 다른 식물보다도 많이 흡수하고, 생활배수로 오염된 도시의 농업용수 정화에 이용되어지고 있다. 게다가, 물옥잠을 이용해서 다방면으로 유효한 이용이 행해지고 있다.

물옥잠은 대두와 "피넛"보다도 "아미노산,""단백질","미네랄", 당분, 질, β-"카로틴" 및 "폡틴" 등의 영양분을 많이 가지고 있고, 줄기와 입을 천일 건조시킨 것에도 당질, 단백질, 지방질, 섬유질, 회분 및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그들 성분 안의 당분, 단백질, 지방질 및 "미네랄"은 효모의 활동을 보다 활발하게 하고, "박테리아"의 번식을 막아 발효를 촉진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침, 물옥잡은 "알코올' 전화에 필요한 성분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서, 호적한 알코올 음료의 원료가 된다. 더욱이 단위 "엑기스"양당 가격이 맥아보다 싸기 때문에 경제성의 면에서 유리하고, 물옥접을 당질부원료로서 사용함으로서 맥아의 질소화합물의 희석제가 되어 맥아발효용액의 맛을 깨끗하게 하고, 광택, 혼탁내구성을 향상시킨다.

 

게다가 "미네랄"이 풍부한 성우의 물과 회분과 "쇼당"의 비율이 많은 상등의 백설탕을 첨가해, 배수성이 높고 저온발효성인 하면효모의 "드리이 이스트"를 사용해서 조정을 했다. 또, 이 조정과정에서 발생한 기치ㅔ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와 액채 중에 함유되어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의 변화에 대해서 비교, 검토했다.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나무   (0) 2012.03.07
부레옥잠  (0) 2012.03.06
흰제비꽃  (0) 2012.03.05
흰젖제비꽃  (0) 2012.03.05
흰여로 - 포토  (0) 2012.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