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풍선덩굴

호남인1 2012. 2. 27. 07:06

 

 

 

 

풍선덩굴

 Cardiospermum halicacabum L.

 

 

 

학명: Cardiospermum halicacabum L.

이명: 풍년초, 풍경덩굴,가고과, /영명: ballon vine /원산지: 아열대아메리카,

꽃말: 어린 시절의 추억(재미), 당신과 날아 가고파

분류: 쌍떡잎식물강 무환자나무목 무환자나무과 /분포: 아시아, 남아메리카 /크기: 약 3.0m~4.0m

 

다년생 목본 덩굴식물. 귀화식물로도 자라고 있으며 흰 꽃과 구형의 부푼 열매를 보기 위해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열매는 너비가 약 2.5㎝이며, 검은색의 씨는 심장 모양으로 흰 점이 있다. 다년생 식물처럼 덩굴이 3m까지 뻗으나, 실제로는 씨에서 나온 싹이 1년 동안 자란 것이다. 한국에는 1912~45년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꽃과 열매를 보기 위해 온실에 심고 있다. 풍선덩굴이란 속칭 Balloonvine 에서 온 이름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풍선덩굴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12.leaf?plntIlstrNo=24275

 

 

 

월동이 되지 않으므로 한해살이풀로 취급한다. 남아메리카 원산이다. 덩굴은 길이 3∼4m로 벋어가고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작은잎이 3장씩 2회 나온 잎이다. 가장 나중에 나온 작은잎은 잎자루가 짧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흰색이며 잎보다 긴 꽃자루 끝에 1쌍의 덩굴손과 함께 몇 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4개씩이지만 크기가 각각 다르고 8개의 수술과 1개의 3실 씨방이 있다.

 

열매는 꽈리같이 생기고 각 실에 검은 종자가 1개씩 들어 있으며 9월에 익는다. 종자 한쪽에 심장형 흰 무늬가 있다. 열매가 풍선처럼 생겨 풍선덩굴이라고 한다. 집 화단에 관상용으로 심는다.

 

 

 

▶全草(전초)를 假苦瓜(가고과)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건조하거나 생것으로 사용한다.

②성분 : 風乾(풍건)한 종자에는 수분 11%, 灰分(회분) 30%, 총질소량 2%, 유기인산화물 2%와 지방유 32%가 함유되어 있다. 種子油(종자유)의 glyceride 중에는 11-eicosen酸(산) 42%, palmitin酸(산) 3%, linolen酸(산) 8%, linol酸(산) 8%, olein酸(산) 22%, stearin酸(산) 2%, arachine酸(산) 10%가 함유되어 있다.

종자유의 특징은 含(함) cyan脂(지) 약 55%를 함유하고 있고 그 중 49%는 1-cyano-2-hydroxy methylprop-2-ene-1-ol의 diglyceride, 6%는 1-cyano-2-hydroxy methylprop-1-ene-3-ol이다. 더욱이 종자에는 풍부한 점액질이나 saponin까지 함유되어 있다.

③淸熱(청열), 利水(이수), 凉血(양혈), 해독의 효능이 있다. 황달, 淋病(임병), 정창, 水泡瘡(수포창), 疥癩(개라), 蛇咬傷(사교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하거나 또는 달인 물로 씻는다. 

 

 

 

 

 

 

 

 

 

============================================================================================================================

바로가기

 

무환자나무 | 식물도감(植物圖鑑)

무환자나무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나리   (0) 2012.02.27
풍접초(風蝶草)  (0) 2012.02.27
파리풀   (0) 2012.02.26
튤립나무   (0) 2012.02.26
통보리사초   (0) 2012.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