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큰두루미꽃

호남인1 2012. 2. 21. 23:06

 

 

 

 

큰두루미꽃

 

학명: Majanthemum dilatatum (WOOD) NELSONS et MACBR.

이명: 무학초(舞鶴草), 이엽무학초, /원산지: 한국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두루미꽃속

 

다년생초본

울릉도 및 북부지방의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원줄기는 높이 8-25cm 정도 되고 털이 없다. 근경이 옆으로 뻗는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큰두루미꽃 /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3030&mn=KFS_28_01_02_01

 

 

 

 

잎은 밑부분의 것은 비늘 같으며 정상엽은 2개로서 어긋나기하고 난상 심장형이며 길이 3-10cm, 폭 2.5-8(10)cm이고 가장자리의 세포는 반원형이고 희미한 톱니같이 된다.

 

꽃은 5-6월에 피며 10여 개 달리고 총상화서는 원줄기와 연속되며 길이 2-3㎝로서 백색꽃이 핀다. 작은 꽃줄기는 길이 3-7mm이고 꽃덮이열편은 타원형이며 길이 2mm로서 수평으로 퍼져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꽃덮이보다 짧고 암술대는 길이 0.8mm 정도로서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진다.

 

둥근 장과는 지름 5-7mm 정도로서 적색으로 익고 종자가 3개씩 들어 있으며 지름 3mm 정도로 둥글다.

 

 

 

 

 

큰두루미꽃 (학명: Majanthemum dilatatum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높은 산의 숲 속에서 자란며 한국·일본·중국 동북부·사할린·캄차카반도·시베리아 동부에 분포한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고 마디에서 뿌리가 나온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8∼25cm이며 밑 부분이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잎집으로 싸인다.

 

잎은 2∼3개이고 어긋나며 달걀 모양의 심장형이고 길이가 3∼10cm, 폭이 2.5∼8c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깊은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반달 같은 세포가 있어 톱니같이 되고 털이 없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작은꽃자루는 길이가 3∼7mm이고, 화피 조각은 4개이며 길이 2mm의 타원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수평으로 퍼져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4개이고 화피보다 짧으며, 암술대는 끝이 얕게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장과이고 둥글며 지름이 5∼7mm이고 붉은 색으로 익는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제외한 식물체 전체를 무학초(舞鶴草)라는 약재로 쓰는데, 소변 출혈·토혈·월경과다에 지혈 효과가 있고 외상 출혈에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두루미꽃(M. bifolium)은 큰두루미꽃과 비슷하지만 잎이 작고 식물체도 작으며 돌기 같은 털이 있다.

 

 

 

잎과 꽃, 열매 등의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이므로 낙엽성 교목의 하부식재에 바람직하다. 특히 열매가 식물체에 붙어있는 기간이 매우 길다. 반그늘진 곳에 다양한 형태로 배식하여 효과적인 조경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초물분재, 실내원예용 소재로 사용이 가능하다.

 

자생지가 울릉도로 제한되어 있으므로 적극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번식이 용이하므로 인공적인 대량증식에 의해 경제적으로 이용하고 자생지외 보존을 한다.

 

유사종

두루미꽃(M. bifoloum (L.) F. W. Schmidt) : 전국의 높은 산에 생육하며 큰두루미꽃에 비해 상대적으로 개체가 작으나 새싹이 나올 때는 더 굵다.

 

 

 

 

우리나라의 특산식물로서 두루미꽃과 비슷하지만 전체가 크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잎가장자리에 희미한 톱니가 있는 것이 다르다.

속명 Majanthemum은 majos(5월)과 anthemon(꽃)의 합성어로 화기(花期)의 특색에서 유래되었다. 울릉도 특산식물이다.

 

우리나라의 자생식물은 같은 종류의 식물이라 할지라도 자생지에 따라 형태에 있어 독특한 차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크게 세종류의 지역형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제주도형: 대체로 왜성화한 식물들이 많다. 토양이 척박하고 바람이 많은 제주도 지역에 적응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울릉도형: 식물이 대형화한 것들이 많다. 울릉도의 온화한 기후와 기름진 토양 및 풍부한 물 등의 좋은 자연환경하에서 생육하였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내륙형: 주로 우리나라의 내륙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제주도형과 울릉도형의 중간 형태적 특성을 지닌다.

 

 

 

 

두루미꽃(이엽무학초)

 

두루미꽃은 키 25㎝정도의 백합과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은 산의 침엽수림 밑에서 자란다. 다른 이름으로 좀두루미꽃, 무학초(舞鶴草), 이엽무학초(二葉舞鶴草) 등이 있다.

 

두루미는 우리나라 새 가운데서 가장 큰 새로, 두루미꽃은 꽃이 두루미 머리와 목을 닮고 잎과 잎맥 모양이 두루미가 날개를 넓게 펼친 것과 닮았다 해서 두루미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좀두루미꽃은 속명이고 무학초(舞鶴草)는 뿌리를 제외한 이 식물의 생약명인데 춤추는(舞) 학(鶴)처럼 생긴 꽃이 달려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잎은 2∼3개가 어긋나며 잎자루가 있고 심장형이고 끝이 날카로우며 길이는 2∼5㎝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며 희고 옆으로 길게 뻗는다.

 

꽃은 흰색으로 5∼6월에 피고 20개 정도 달린다. 꽃덮이는 4조각이고 뒤집은 달걀꼴이다. 열매는 장과(漿果:과육과 액즙이 많고 속에 씨가 들어 있는 열매)로 작은 공 모양이며 빨갛게 익는다.

 

우리나라와 북반구의 온대 및 아한대에 살지만 야생종은 울릉도, 강원도, 소백산 등 특정 지역에만 자라는 희귀식물이다.

 

한방에서는 무학초를 달여서 지혈, 외상출혈, 혈뇨, 월경과다 치료에 사용한다.

어린잎은 살짝 데쳐 나물로 무쳐 먹거나, 뜨거운 물에 데쳐 햇볕에 말려 묵나물로도 사용한다.

출처 / 류시언의 소백산 야생화 / http://www.yji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610#

 

 

 

 

=============================================================================================================================

사진출처

 

꽃향기많은집 / http://cafe.daum.net/sunyuricyh

 

 

 

 

 

=============================================================================================================================

바로가기

 

백합 | 식물도감(植物圖鑑)

두루미꽃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바늘꽃  (0) 2012.02.22
큰땅빈대 - 포토  (0) 2012.02.22
큰도둑놈의갈고리 - 포토  (0) 2012.02.21
큰꼭두서니  (0) 2012.02.21
큰까치수염 - 포토  (0) 201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