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남성
학명 : 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이명: 가세천남성,청사두초,/영명: Serrate Amur Jackinthepulpit /원산지: 한국
꽃말 : 보호, 비밀, 현혹, 전화위복 /분류: 외떡잎식물강 >택사목 >천남성과 >천남성속
분포: 아시아 | 서식지: 산지의 습지 /크기: 약 15cm~50cm
여러해살이풀.
잎은 길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5~7월에 보라색, 녹색 꽃이 핀다. 열매는 옥수수처럼 달리며 붉게 익고 뿌리는 약재로 쓴다. 산지의 습지에서 자라며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잎은 1개로 5개의 소엽(발육이 불량할 때는 3)으로 난상 피침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장과는 붉게 익어 옥수수처럼 달린다.
꽃은 5∼7월에 피고 육수화서로 달린다. 불염포는 통부의 길이 8cm 정도이고 녹색이며 윗부분이 모자처럼 앞으로 꼬부라지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화서의 부속체는 곤봉모양이다.
줄기는 곧추 서고 겉은 녹색이나 때로 자색 반점이 있다.
구경은 편평한 구형이며 지름 2~4cm이고 주위에 작은 구경이 2~3개 달리며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구경 위의 인편은 얇은 막질이다.
잎은 1개로 5개의 소엽(발육이 불량할 때는 3)으로 난상 피침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장과는 붉게 익어 옥수수처럼 달린다.
꽃은 5∼7월에 피고 육수화서로 달린다. 불염포는 통부의 길이 8cm 정도이고 녹색이며 윗부분이 모자처럼 앞으로 꼬부라지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화서의 부속체는 곤봉모양이다.
줄기는 곧추 서고 겉은 녹색이나 때로 자색 반점이 있다.
구경은 편평한 구형이며 지름 2~4cm이고 주위에 작은 구경이 2~3개 달리며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구경 위의 인편은 얇은 막질이다.
환경에 따라서는 성전환을 하는 신귀한 식물이기도 하다.천남성의 이름말은 남쪽에 떠있는 별의 기운을 받았다고 해서 생겨난 이름이다.
맹독성 식물이나 한의사의 처방에 따라서는 약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천남성의 덩이줄기를 말린 것. 담(痰)과 해수(咳嗽), 중풍, 전간 따위에 약재로 쓴다.)
약은 식은후에 먹어야 된다(뜨겁게 먹으면 죽을수도 있음
한국에는 같은 종(種)으로 포가 자줏빛인 남산천남성(var. violaceum), 잔잎에 톱니가 없고 포가 녹색인 둥근잎천남성(var. amurense)이 있다. 같은 속(屬)에 잎이 2개이고 줄기에 갈색반점이 있는 점박이천남성(A. angustatum var. peninsulae), 잔잎 3장이 모여나는 큰천남성(A. ringens), 손바닥 모양의 잔잎 5장이 모여나는 넓은잎천남성(A. robustum), 그밖에 이들과는 달리 육수꽃차례의 끝이 채찍처럼 길어져 포 밖으로 나오는 섬천남성(A. negishii)·두루미천남성(A. heterophyllum)·무늬천남성(A. thunbergii) 등이 있다.
천남성[天南星]
다른이름 : 鬼蒟蒻(귀구약),南星(남성),半夏精(반하정),蛇芋(사우),虎膏(호고),虎掌(호장)
약 맛 : 고(苦) 신(辛)
귀 경 : 간(肝) 비(脾) 폐(肺)
주 치 : 驚風,瘰癧,蛇咬傷,濕痰咳嗽,癰腫,癲癎,中風,跌扑損傷,破傷風,眩暈,喉痺,胸膈滿悶
약용부위 : 덩이줄기
처 방 : 가미수성원(加味壽星元) : 동의보감 가미청주백원자(加味靑州白元子) : 동의보감
금 기 : 南星을 誤用하면 舌이 마비되는데, 防風을 得하면 마비가 되지 않는다.陰虛燥咳 및 姙娠婦는 사용하지 않는다.
효 능 : 去風定驚,消腫散結,燥濕化痰
주치증상 : <본경(本經)> : 심통(心痛), 한열(寒熱)의 사기(邪氣)가 울결되어 복부에 덩어리가 뭉쳐진 것, 근육의 위축되고 경련이 발생하는 것을 치료하며 소변을 시원하게 한다.
<별록(別錄)> : 성기 부위가 습한 것, 눈앞이 캄캄하고 어지러운 증상을 치료한다.
<견권(甄權) >: 하복부의 극심한 통증, 전염성 질환을 치료하고 성기능을 강화시킨다.
<개보본초(開寶本草)> : 풍사(風邪)의 침범으로 인하여 감각이 둔해지고 저린 증상을 치료하고, 담(痰)을 없애며 하기(下氣)작용을 한다. 답답한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복부에 단단하게 뭉친 것을 없애며 종기로 살이 붓는 것을 삭히고 어혈을 없앤다. 태아를 유산(流産)시킬 수 있다.
<진장기(陳藏器)> : 창칼에 의한 외상 및 골절 등으로 인한 어혈에 찧어서 붙이다.
<지대명(池大明)> : 뱀이나 벌레에 물린 상처를 치료하고 옴병이나 예후가 좋지 않은 부스럼을 치료한다.
<장원소(張元素)> : 인체 상부(上部)에 담(痰)이 쌓여서 발생하는 어지러움증을 치료한다.
<이고(李杲)> : 파상풍(破傷風)으로 인하여 이를 악물고 몸이 뻣뻣하게 굳는 증상을 치료한다.
<왕호고(王好古)> : 간허(肝虛)로 인하여 발생하는 풍증(風症)을 치료하고 담(痰)을 없애는 효과는 반하(半夏)와 동일하다.
<이시진(李時珍)> : 소아가 잘 놀라고 경련을 일으키는 증상, 입과 눈이 한쪽으로 돌아가는 증상, 갑작스럽게 인후가 폐색되는 증상, 입과 혀가 짓무르는 증상, 몸에 멍울이 만져지는 증상, 소아의 성장장애로 머리의 천문(泉門)이 닫히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호장(虎掌), 호고(虎膏), 귀구약(鬼蒟蒻)이 있다.
소공(蘇恭) : 이 약초의 뿌리는 네 방향의 가장자리에 동그란 어금니 같은 것이 돌출해 있어서 호랑이의 손바닥을 보는 듯 하다. 때문에 호장(虎掌)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소송(蘇頌) : 천남성(天南星)은 본초(本草)에서 호장(虎掌)이라고 하는 것으로 작은 것은 유발(由跋)이라고 한다. 고방(古方)에서는 호장(虎掌)이라는 명칭이 많이 사용되었고 천남성(天南星)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지 않았다. 남성(南星)이라는 명칭은 근대에 이르러 당나라 사람들이 어지럽고 눈앞이 캄캄해지는 증상을 유발하는 담(痰)을 치료하는 처방 중에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때부터 사람들이 남성(南星)이라는 말을 사용하여 별도로 천남성(天南星)이라는 명칭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시진(李時珍) : 호장(虎掌)이라는 명칭은 잎의 모양을 보고 붙인 것이지 뿌리의 모양을 보고 결정한 것이 아니다. 남성(南星)은 뿌리가 둥글고 희기 때문에 노인의 희끗희끗한 모양(星星)과 비슷하기 때문에 남성(南星)이라고 하였으니 곧 호장(虎掌)을 뜻한다. 소공(蘇恭)의 언급은 매우 정확한 말이므로 송(宋)의 <개보본초(開寶本草)>에서 남성(南星)의 조문(條文)이 중복해서 나오는 것은 옳지 않다. 따라서 지금 하나로 합친다. 문화원형백과사전
===============================================================================================================================
국가지식포럼등록
천남성속 (Arisaema) 10 종
거문천남성 (Arisaema thunbergii Blume subsp. geomundoense S. C. Ko)
눌맥이천남성 (Arisaema peninsulae for. convolutum (Nakai) Y.S.Kim &S.T.Ko)
두루미천남성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둥근잎천남성 (Arisaema amurense Maxim.)
무늬천남성 (Arisaema thunbergii Blume)
섬남성 (Arisaema takesimense Nakai)
섬천남성 (Arisaema negishii Makino)
점박이천남성 (Arisaema peninsulae Nakai)
천남성 (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 (Nakai) Kitag.)
큰천남성 (Arisaema ringens (Thunb.) Schott)
===============================================================================================================================
사진출처
야생화겔러리 / http://floma.kr/xe/?mid=WildFlower
=============================================================================================================================
바로가기
천남성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천남성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천남성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7. - 4,903種중 (4204. 쥐손이풀과 - 4901. 흑삼릉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
|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끼풀 (clover) (0) | 2012.02.20 |
---|---|
청괴불나무 (0) | 2012.02.19 |
처녀치마 (0) | 2012.02.19 |
채송화 (菜松花) (0) | 2012.02.19 |
붓꽃 (0) | 201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