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구름버섯(운지버섯)

호남인1 2012. 1. 30. 10:28

 

 

 

 

구름버섯(운지버섯)

 

학명: Coriolus versicolor

이명: 운지버섯 ,구름버섯, 닭버섯,기와버섯(북)/영명: /원산지: 한국

분류 :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발생은 1년내내 침엽수와 활엽수의 고목에 군생하는 목재부후균으로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이 버섯에서 처음으로 버섯에 항암물질인 폴리사카라이드가 발견되었다. 분포는 한국에서는 가야산, 다도해해상국립공원(금오도, 연도), 두륜산, 방태산, 발왕산, 변산반도국립공원, 소백산, 속리산, 오대산, 월출산, 지리산, 남산, 백두산, 만덕산, 어래산 등 한국의 전역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분포한다.

 

 

균모의 폭은 1-5㎝이고 두께는 1-2㎜이고 얇고 단단한 가죽질이며 반원형, 수십 또는 수백 개가 겹쳐서 군생하며 1년생이다. 표면은 흑색인데 회색, 황갈색, 암갈색, 흑색을 띠는 고리무늬를 나타내고 짧은 털로 덮여 있다. 살은 백색이고 표면의 털 아래에는 암색의 피층이 발달한다. 하면은 백색, 황색, 회갈색 등이며 관은 길이 1㎜ 정도로 구멍은 둥글고 1㎜에 3-5개 있다. 포자는 무색의 원통형 또는 소시지형이며 5-8×1.5-2.5㎛이다.

 

 

구름버섯(운지버섯) (학명: Coriolus versicolor (L. ex Fr.))

갓은 지름 1-5cm, 두께 1- mm로 반원형이며, 표면은 흑색인데 회색, 황갈색, 암갈색, 흑색을 띠는 고리무늬가 있고 짧은 털로 덮여 있다.

살은 백색이고 표면의 털 아래에는 암색의 피층이 발달한다.

하면은 백색, 황색, 회갈색 등이며 관은 길이 1㎜ 정도로 구멍은 둥글고 1㎜에 3-5개 있다.

포자는 5-8×1.5-2.5㎛로 무색의 원통형 또는 소시지형이며, 표면은 평활하고 비아밀로이드이고, 포자문은 백색이다.

이 버섯에서 처음으로 버섯에 항암물질인 폴리사카라이드가 발견되었다.

활엽수의 고목에서 연중 군생한다.

한국에는 가야산, 다도해해상국립공원(금오도, 연도), 두륜산, 방태산, 발왕산, 변산반도국립공원, 소백산, 속리산, 오대산, 월출산, 지리산, 남산, 백두산, 만덕산, 어래산 등에 널리 분포한다. 출처: 무지개세상

 

 

구름버섯(운지버섯)의 효능

 

운지버섯의 효능은 이미 널리 알려진 항암효과를 비롯하여 인체내의 각종 소화기관의 운동을 활발히 하는 데에 큰 효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위궤양, 만성간염, 동맥경화, 고혈압, 만성기관지염, 순환장애, 관절염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항암작용으로는 간암, 소화기암, 유방암, 폐암 등에 특효를 낸다고 하는군요. 특히 폐암의 경우에는 도라지와 함께 약재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 합니다.

 

운지버섯을 먹는법은 대개 액화방식을 선호하는데 그 대표적인 두가지가 바로 운지버섯차와 운지버섯주의 두가지.운지버섯차는 이미 잘 손질하여 말린 운지버섯을 약 30그램 정도의 물과 함께 달여먹는 방식을 말하며 개인의 기호나 건강상태에 따라 감초, 대추, 도라지, 상황버섯 등을 추가로 달여 먹기도 하며.. 운지버섯주의 경우에는 잘 씻은 운지버섯을 건조 시킨 후 밀폐 용기에 담가 놓고 소주 약 1.8리터를 부어서 밀봉한 후 다소 서늘한 곳에서 6개월 가량 숙성시켜 술로 먹는법을 말합니다.

 

운지버섯차의 경우는 주로 소화기계통에 효과를 발휘하며, 운지버섯주는 항암제의 역할로 많이 쓰이니 이점 또한 참고해 두시면 좋을것 같네요

야생 운지버섯은 중국 원시 삼림의 고목에 기생하는 일종의 균류로서, 각종 운지 다당과 기타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다당체(Polysaccharide)

● 크레스틴 (Krestin, PSK)-암 억제 효과를 가진 크레스틴 (Krestin, PSK)은 운지 다당체의 일종으로, 일본과학자들이 인공 배양 한 운지 침출액 중에서 발견한 것으로, 일종의 단백질과 다당체를 함유한 물질이며, 항세균, 항매독균과 바이러스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거식세포의 전화를 자극하고, 혈액 중의 백혈구의 인터루킨 Ⅰ, Ⅱ를 증가시키며, 인터페론과 종양 괴사인자 등의 수량을 증가시켜서, 임상에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항산화물질 (Antioxidant)-운지 다당체는 바로 일종의 항산화물질(Antioxidant)로 암을 유발하는 유리분자를 중화시켜서 유전자 변형을 방지하고 암 발생율을 줄인다. 강소성 간암예방연구소의 고위험군(암에 걸릴 확률이 높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운지 다당체가 신체 내의 알파태아단백을 정상수치로 회복시키소, 간암에 일정한 작용을 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또한 운지 관련 자료에 의하면 기타 혈액생화학 실험(가령 PSA)에서 암 종양 환자가 운지 다당체를 수개월 복용한 뒤에 양성으로 전환되었다. 이것은 운지 다당체가 다양한 암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 리그닌(Lignin)-운지 침출액 중의 리그닌(Lignin)은 세포가 어떤 치명적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을 막아주는 아주 효과적인 물질인 것으로 일본 과학자들의 실험에 의해 증명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운지버섯 ,구름버섯, 닭버섯이라고 부르며, 북한에서는 기와장을 겹쳐서 올린것과 같다고하여 기와버섯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 기와버섯은 R virescens라는 학명으로 무당버섯과에 속한다.

중국에서는 운지(雲芝) 한자명이다, 영어로는 터키테일(turkey - tail,칠면조 꼬리라는 뜻)이다.

세계전지역에 분포하며, 할엽수를 비롯한 침엽수에서도 군생 목재부후균이다.

 

형태적 특징은 기와장을 올려놓은 것 같이 보이거나 구름모양으로 보인다. 얇고 단단하며,짧은 털로 덮여 있는데 벨벳 같은 감촉이 아주 부드럽다. 색깔은 회색, 황갈색, 흑갈색 ,흑색등 반원형으로 고리모양의 무늬를 가지고 있다. 자루가 없고 기주에 버섯의 끝이 붙는다.

 

 

운지버섯의 효능 및 효과

■ 항암효과와 간암세포 억제효과가 있어 만성 간질환 환자에게 효과

■ 생체저하 면역기능 회복

■ 운지버섯 다당성분은 주로 위암, 식도암, 간암, 결장직장암,폐암, 유방암등의 고형암에 효과

■ 만성기관지염, 관상 순환장애, 위궤양, 만성간장염, 관절염, 고혈압등에도 효과

■ 운지버섯의 기능성 성분중 PSK라는 성분은 정상세포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고 항암효과는

    물론 면역 체계에 도움

■ 항종양 억제율 100%정도 항암효과

 

 

운지버섯을 달일 때 다른 약재를 첨가하기도 하나, 운 지가 갖고 있는 효능을 잃지 않게 하려면 가급적 다른 약재의 첨가를 최소량으로 한다. 지나치리만큼 다른 약재의 첨가는 삼가는 것이 좋다.

 

운지를 약재로 달일 때는 0.5~1리터 정도의 물에 운지갓 10~20개 정도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장기간 복용해야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적당량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다.

 

우리가 흔히 먹는 보리차 대신 운지를 재료로 차를 끓여 마시는 습관도 가족건강에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

모든 약용버섯은 한번만 사용하고 버리지 말고 . 한번, 두 번, 세 번이고 우려낸 물이 맛을 내지 않을 때 까지 몇 번이건 달여 복용한다.

 

각종 간질환 소화기계 암의 신효 운지버섯은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이다. 마치 구름처럼 뭉쳐서 난다고 하여 한자로 구름운, 버섯지 즉 운지(雲芝)라고 부른다. 또는 '구름버섯'이라고 부른다. 색깔은 흑색에서 남흑색이고 구름무늬는 회색, 황갈색, 암갈색, 흑갈색, 흑색 등이 있다.

봄부터 가을에 걸쳐 침엽수, 활엽수의 고목 또는 그루터기등에 수십 내지 수백 개가 무리지어 자란다. 한국, 일본, 중국 등 전세계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맛은 약간 달고 차다. 항종양 억제율 100%를 나타낸다. B형간염, 천연성 간염, 만성활동성 간염, 만성 기관지염, 간암의 예방 및 치료, 소화기계 암, 유방암, 폐암에 잘 듣는다.

이미 제약회사에서 항종양제인 ‘Krestin(PSK)’를 만들어 냈다. 운지의 다당체인 PSK가 대식세포활성화 등의 작용을 통해 인체면역력을 증가시킨다. 국내에서도 이미 마시는 음료수를 개발하여 시중에 많이 팔리고 있다.

 

거의 모든 산에 다 있어 발견하기가 쉽고 채취하여 말렸다가 10~20그램을 물로 달여서 보리차처럼 음용할 수 있다. 너무 흔하게 발견되어 대부분 그 중요성을 외면하고 있지만, 항암의 효능과 약효는 결코 뒤지지 않는다. 운지는 항암효과와 간세포 손상을 억제시키는 작용이 있고 만성 간질환 환자에게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