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흰한라돌쩌귀

호남인1 2016. 3. 18. 20:30

 

 

 

 

 

 

흰한라돌쩌귀

Aconitum napiforme var. albiflorum Y.N.Lee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 미나리아재비목 > 미나리아재비과 > 초오속

학명: Aconitum napiforme var. albiflorum Y.N.Lee

종코드(url_no): /이명: /영명: /꽃말:

원산지: 한국 /분포: 한라산,지리산 /서식: /크기: 높이 45-100cm /개화: 9월

생약명: 괴근을 초오두라 하는데 뿌리는 거풍습, 산한, 지통, 개담활, 소종의 효능이 있다.

 

다년생초본

꽃은 9월에 피고 길이 27-36mm로서 청자색이고 겉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산방상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3cm로서 겉에 꼬부라진 털이 있다. 뒷쪽 꽃받침잎은 길이 11-22mm, 폭 14-20mm로서 부리가 있고 측열편은 길이 12-19mm, 폭 9-17mm이며 앞쪽 열편은 길이 10-16mm, 폭 2-6.5mm이다. 자방은 털이 없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흰한라돌쩌귀 /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plantPilbkNo=31924

 

 

 

 

 

 

 

 

 

 

 

 

-------------------------------------------------------------

분류군:Ranunculaceae(미나리아재비과)

 

 

잎은 호생하며 길이 6.5-15cm, 폭 7.5-18cm로서 3개로 완전히 갈라지고 열편에 소엽병이 있으며 측열편은 다시 2개씩 깊게 갈라진 다음 다시 2-3개로 갈라진다. 중앙열편은 난형 또는 도란형이고 결각이 있으며 길이 5.5cm-11cm, 폭 3.5-7cm로서 양면과 가장자리에 꼬부라진 털이 있거나 없다.

 

골돌은 3개이다.

 

꽃은 9월에 피고 길이 27-36mm로서 청자색이고 겉에 꼬부라진 털이 있고 산방상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3cm로서 겉에 꼬부라진 털이 있다. 뒷쪽 꽃받침잎은 길이 11-22mm, 폭 14-20mm로서 부리가 있고 측열편은 길이 12-19mm, 폭 9-17mm이며 앞쪽 열편은 길이 10-16mm, 폭 2-6.5mm이다. 자방은 털이 없다.

 

높이 45-100cm이고 밑부분을 제외하고 굽은 털이 있다.

 

지하부에 원추형의 작은 괴경이 달려있는데 매년 자기 몸의 포기만큼 새로운 괴경을 형성하여 옆으로 이동하면서 자라난다.

 

원산지

한국

 

분포

제주도 한라산(표고 1,200m), 경북 지리산에서 자란다.

 

형태

다년초

 

크기

높이가 45-100cm가량 된다

 

 

생육환경

한라산의 부엽이 두껍게 쌓여 비옥하고 습기가 풍부한 토양조건의 양지에서 자란다.

 

꽃/번식방법

11월말경에 종자를 채취하여 곧바로 파종하면 이듬해 봄에 발아한다. 모주 주변에 흩어뿌리기를 하여도 자연발아가 아주 용이한 식물이다. 열매가 성숙하면 종자가 쉽게 비산되므로 채종시기와 방법에 주의한다. 지하부에는 작은 괴경이 발달되어 있다. 지하부의 괴경 상부에는 묵은 뿌리가 얹혀있는 상태이며 괴경은 옆으로 계속하여 증식되며 퍼져 나간다. 분주는 잘 되지 않는다.

 

재배특성

투구꽃 종류들 가운데 비교적 재배가 쉽고 다화성이며 성질도 강건하므로 재배작물로 이용하기도 용이하다. 낙엽교목의 하부나 반그늘진 곳의 부엽이나 유기질이 풍부하고 보습성이 좋은 토양에서 재배한다. 적당한 시비관리는 식물체의 생육을 촉진한다. 여름철에는 서늘한 조건이 생육에 좋다.

파종기: 4월,10월,11월 /이식기: 3월,4월,9월,10월,11월 /결실기: 9월,10월

 

이용방안

꽃이 아름답기 때문에 절화용 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낙엽교목 하부의 지피식재용 식물로도 좋다.

괴근을 초오두라 하는데 뿌리는 거풍습, 산한, 지통, 개담활, 소종의 효능이 있다.

 

보호방안

대량증식에 의해 재배작물로 적극 이용하고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한다.

 

유사종

우리나라에는 투구꽃을 비롯하여 이와 유사한 Aconitum속 식물이 약 25종 이상 자생하고 있는데 잎의 형태나 꽃의 모양, 지하부 뿌리모양(진범, 흰진범, 노랑투구꽃 등은 제외)이 모두 유사하고 자생지 또한 산속의 계곡주변이나 낙엽수림 밑 등과 같이 습윤한 곳에서 자란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꽃의 모양이 투구와 비슷하므로 투구꽃류라고 부르기도 한다.

 

특징

한라산 일원에 자생하는 "한라돌쩌귀"와 비슷하지만 흰색꽃이 피는 것이 다르다.

 

 

 

 

 

 

 

 

 

 

 

-------------------------------------------------------------

사진출처

 

夕塘/김승기님, / http://blog.munjang.or.kr/blog/personal_blog_main.asp?art_no=121360&mbr_id=seokdang

 

 

 

 

=============================================================================================================================

바로가기

 

미나리아재비 | 식물도감(植物圖鑑)

미나리아재비 | 식물도감(植物圖鑑)

초오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개진범  (0) 2016.03.21
진범  (0) 2016.03.21
한라돌쩌귀  (0) 2016.03.18
한라돌쩌귀 - 포토  (0) 2016.03.18
세잎돌쩌귀  (0) 2016.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