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산토끼꽃과

호남인1 2016. 2. 26. 05:06

 

 

 

 

 

 

산토끼꽃과

Dipsacaceae

 

 

 

생물분류

문: 속씨식물

강: 쌍떡잎식물

목: 산토끼꽃목 (Dipspcales)

과: 산토끼꽃과 (Dipsacaceae)

 

분류: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산토끼꽃목 >산토끼꽃과

 

전 세계에 분포하는 초본으로 1속 12종이며, 우리나라에 2속 2종이 자생한다.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며 탁엽이 없다. 양성화두상화서에 밀생하고 열매수과이다.

=============================================================================================================================

 

산토끼꽃 (Dipsacus japonicus Miq.)

 

 

 

 

 

=============================================================================================================================

산토끼꽃과

Dipsacaceae  美 : Teasel Family  日 : Matsumushi-so Ka

 

 

구대륙, 특히 지중해 지역에 약 9속 160종, 우리 나라에는 2속 2종. 초본, 잎은 대생, 또는 윤생. 턱잎은 없음.

 

꽃은 양성화, 좌우 상칭. 대개 밀생한 두상화서. 꽃받침 모양의 총포에 의해 둘러싸임.

꽃받침은 잔 모양. 흔히 갈라지거나 털 모양으로 됨.

꽃잎은 합판화, 4~5갈래.

수술은 대개 4개, 드물게 2~3개. 화관통의 기부 근처에 붙고, 꽃잎 갈래와 호생.

화사는 떨어져 있으며, 꽃밥은 2실. 세로로 쪼개짐.

자방은 하위, 1실, 배주는 1개.

암술대는 가늚. 씨는 배가 곧음.

이영노저"한국식물도감"-

 

 

 

   

산토끼꽃 (Dipsacus japonicus Miq.)의 열매단면과 성숙한 꼬투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산토끼꽃아과

 

인동과

아과:(Dipsacoideae)Juss.

 

산토끼꽃아과

산토끼꽃아과(Dipsacoideae)는 산토끼꽃목 인동과에 속하는 속씨식물 아과 분류군이다. 산토끼꽃과 (Dipsacaceae)로 분류하기도 한다.

 

분포[편집]

구대륙의 온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지중해 연안에서 많은 종을 볼 수 있으나 폴리네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없다. 세계적으로, 10속의 270여 종 정도가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는 산토끼꽃속과 솔체꽃속의 각 1종씩이 자라고 있다.

 

특징[편집]

이 과의 식물은 마타리과와 비슷하지만, 씨방이 2개의 심피로 이루어져 있으며, 1개의 방을 가지는 점, 국화꽃과 비슷하게 두상화가 되는 점 등의 형질로 구별할 수 있다. 국화과는 꽃밥이 붙어 있으나, 이 과는 꽃밥이 떨어진다.

 

하위 속[편집]

• Acanthocalyx

• Dipsacus

• Knautia

• Scabiosa

• Succisa

• Succisella

• Morina - 모리나과로 분류되기도 한다.

• Cephalaria

• Pterocephalus

• Callistemma

• Pycnocomon

• Triplostegia

 

 

산토끼꽃 (Dipsacus japonicus Miq.)과 벌

 

 

도깨비산토끼꽃 (Dipsacus fullonum)

 

 

 

 

=============================================================================================================================

국내서식 산토끼꽃과(Dipsacaceae) 2속 바로가기

 

 

산토끼꽃 (Dipsacus) 2종

솔체꽃속 (Scabiosa) 4종

 

 

 

솔체꽃 (Scabiosa tschiliensis Gruning)

 

 

 

 

 

=============================================================================================================================

국내서식 산토끼꽃과(Dipsacaceae) 2속 6종 바로가기

 

 

 

-------------------------------------------------------------

산토끼꽃속 1종

Dipsacus

 

1. 산토끼꽃 (Dipsacus japonicus Miq.)

2. 도깨비산토끼꽃 (Dipsacus fullonum)

 

 

 

산토끼꽃 (Dipsacus japonicus Miq.)

 

 

 

 

 

 

-------------------------------------------------------------

솔체꽃속 4종

Scabiosa

 

 

1. 구름체꽃 (Scabiosa tschiliensis f. alpina (Nakai) W.T.Lee)

2. 민둥체꽃 (Scabiosa tschiliensis for. zuikoensis (Nakai) W.T.Lee)

3. 솔체꽃 (Scabiosa tschiliensis Gruning)

4. 체꽃 (Scabiosa tschiliensis for. pinnata (Nakai) W.T.Lee)

 

 

 

솔체꽃 (Scabiosa tschiliensis Gruning)

 

 

 

 

 

=============================================================================================================================

아카데미서적"식물대백과"-

 

 

산토끼꽃과

Dipsacaceae 美 : Teasel Family  日 : Matsumushi-so Ka

 

산토끼꽃과는 식물계의 희귀한 산물일 뿐만 아니라 작고 좋은 관상용인 초본이나 아관목으로 구성되는 작은 과임.

 

분포

이 과의 다양성 중심은 지중해지방과 근동 그리고 북유럽, 동남아시아와 남아프리카에 집중되어 있음. 

 

특성

산토끼꽃과 일년초에서 다년생 초본 그리고 드물게는 관목도 있음.

잎은 대생이거나 윤생이며 탁엽은 없음.

꽃은 총포에 의해 확장된 취산상 두상으로 가장자리에 다소 긴 꽃이 달리나 드물게는 윤생하는 수상화서를 이룸.

꽃은 양성화 혹은 암꽃이며 부정제화인데, 이들 각각은 인편상 화탁에 의해서 늘어난 화관으로 확장됨으로써 합착된

소포로 구성된 기저부 총포를 가지고 있음.

꽃받침은 작고 컵형이거나 거치가 4개, 5개, 다수 혹은 털로 분리되어 있음.

화관은 4개 혹은 5개의 열편을 갖거나 양순형임.

2개 혹은 4개의 수술은 꽃잎에 부착되어 있거나 화관의 열편과 호생함.

자방은 2개의 합착된 심피로 구성된 하위자방이며 심피에는 1개의 현하배주가 있는 1개의 실이 있음.

암술대는 가늘고 주두는 1개이거나 2개의 열편이 있음.

열매는 외악에 싸인 건과로 폐과이며 숙존성인 꽃받침에 싸여 있음. 1개의 종자에는 배젖이 있음. 배는 곧음.

다년생의 종류는 모두 속이 있으며, 케팔라리아속(Cephalaria), 크나우티아속(Knautia), 프테로케팔루스속(Pterocephalus)

그리고 솔체속(Sabiosa) 등과 건조한 생육지에서 자라는 일년생 종류들은 평행진화의 과정을 여러 번 거쳐서 된 것임.

두상화서는 독특하며 충매화로 빈번한 자가불임성으로 인하여 타가수분을 함.

프테로케팔로스속과 솔체속과 같은 일부 일년초군은 퇴화된 꽃을 가져 확실한 두상화서를 이루지 못하므로 자가수분에 의존함.

 

분류

이 과는 일반적으로 2개의 족으로 나뉨.

모리나족[MORINEAE]과 산토끼풀족[DIPSACEAE]임.

 

모리나족은 상부의 엽축, 잎같은 꽃받침, 2개의 수술 혹은 4개의 수술일 때는 2개가 나머지보다 긴 것을 가지는 윤생체의 꽃이 달림.

산토끼풀족의 꽃은 털이나 가는 강모가 있는 꽃받침과 4개의 비슷한 수술이 두상화서를 이룸.

첫번째 족에 포함되는 모리나속(Morina)은 독립된과, 즉 모리나과(Morinaceae)로 독립시키기도 함.

산토끼꽃과에서의 분화는 열매의 식별형질에서 가장 분명함.

케팔라리아속과 수키사속(Succisa)과 같이 덜 진화된 종류들에 있어서 총포와 꽃받침은 현저하지 않으며 덜 분화되어 있음.

꽃은 잎형의 포에 의해서 확장되어 있고, 열매는 작고 단단한 닏알임.

산토끼꽃속(Dipsacus)에서는 확장된 포가 길고 단단한데 이는 동물의 털에 바늘같은 열매의 머리부분이 붙을 수 있도록 산포하기 위한 것임,

다른 속들에서는 바람에 의해 열매를 퍼뜨리게 적응되어 포가 퇴화되었는데, 솔체꽃속에서는 총포의 가장자리가 확장되어 얇고 투명한 우산형을 만들었고, 프테로케팔루스속에서는 깃털 같은 털을 가진 많고 긴 꽃받침이 있음.

동물에 의한 열매의 산포에 대한 적응은 여러 속에서 볼 수 있음.

크나우티아속은 열매를 나르는 개미를 유인하기 위하여 열매 기저부에 지방질의 돌출물이 있고,

케팔라리아속과 솔체속의 일년초 종류들은 거칠고 가지가 있는 가시가 총포와 꽃받침에 발달되어 있음.

이 과는 피상적으로는 국화과를 닮았지만 화서는 일반적으로 꽃받침같은 총포에 의해서 싸여 두상을 이룸.

화관에 돌출되고 분리된 약을 가진 수술과 합착된 소포들의 총포에 싸인 열매 그리고 4개, 5개 혹은 그 이상의 털이나 거치로 구성된 꽃받침에 의해서 보다 쉽게 구분됨.

 

용도

케팔라리아속, 모리나속, 프테로케팔루스속 그리고 솔체꽃속의 다수 종류들은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산토끼꽃(Dipsacus sativus)은 옷의 털을 세우는데 제한적으로 이용됨.                                                               D.M.M.  

-자료 : 아카데미서적"식물대백과"-

 

 

민둥체꽃 (Scabiosa tschiliensis for. zuikoensis (Nakai) W.T.Lee)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전북야생화 / http://www.jbwildflower.or.kr/

 

 

 

 

 

 

 




Beethoven - Sonata for Violin and Piano No. 9
in A major, Op. 47 'Kreutzer'
: I~III
 
1803년 작곡된 이래 지금까지 변함없는 극찬을 받고 있는 바이올린 소나타 중 최고의 걸작.

이 곡은 처음에 당시 영국의 바이리니스트 브리지타워(G. A. Bridgetower, 1780-1860)를 위해 작곡했으나 그와 불화가 생겨 정작 헌정받은 사람은 프랑스의 바이올리니스트 크로이처(R. Kreutzer 1766-1831)가 되었다.

그러나 비평가 클룩에 의하면 크로이처 자신은 이 곡이 자기에게 헌정되었는지도 모르고 있었으며, 연주한 적도 없었다고  한다.

 

이 곡은 당시 베토벤이 과거의 양식에서 벗어나 혁명적이고 역동적인 형식을 수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곡은 바이올리니스트의 개인적인 역량없이는 예술성을 느낄 수  없을 정도여서 명연주자들이 자존심을 걸고 연주하는 작품.

 

I. Adagio sostenuto - Presto(14:52) 


II. Andante con variazioni(16:07)


III. Finale. Presto(09:46) 
 
Yehudi Menuhin    violin
Wilhelm Kempff    piano



- 이동활의 음악정원 -

 

 

 

 

=============================================================================================================================

바로가기

 

속씨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쌍떡잎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진정쌍떡잎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합판화아강 | 식물도감(植物圖鑑)

산토끼꽃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5. - 4,903種중 (2733. 사초과 - 3470. 쐐기풀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솔체꽃속  (0) 2016.02.26
산토끼꽃  (0) 2016.02.26
산토끼꽃목  (0) 2016.02.26
암매  (0) 2016.02.25
브라질아브틸론  (0) 201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