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근잎아욱
Malva pusilla Smith
학명: Malva pusilla Smith
종코드(url_no): /이명: /영명: /꽃말:
분류: 현화식물문 >목련강 >아욱목 >아욱과 >아욱속
원산지: 유럽 /분포: 서아시아, 북아메리카, 일본에 귀화 /서식: 길가 황무지 /크기: 길이 30-60㎝ /개화: 5-9월
생약명:
1년생초본
유럽 원산 한해살이풀이며, 줄기는 길이 30~60cm로 땅 위에 누워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어긋나고 원모양 또는 콩팥모양이다. 꽃은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이고, 5~9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 3~6개가 뭉쳐난다. 열매는 8~11개의 분과로 갈라진다.
애기아욱은 둥근잎아욱과 비슷하나 열매의 분과 등쪽에 날개가 있으며, 국화잎아욱은 국화잎을 닮았으며 꽃이 붉은색이고, 당아욱은 붉은 계통의 보랏빛 꽃이 핀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둥근잎아욱 /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plantPilbkNo=36319
-------------------------------------------------------------
분류군:Malvaceae(아욱과)
잎은 호생하며 원형 또는 신장형(腎臟形)이며 지름 3-6㎝이고 심장저(心臟底)로 5-9개의 가벼운 열편으로 갈라진다. 잎자루는 큰 것이 길이 20㎝에 이르며 잎새 쪽에 퍼진 털이 있다.
열매는 11개의 분과(分果)가 모여 원반형을 이루고 지름 0.8-1.2㎝이며,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익으면 털이 없어지고 배면에 망목상(網目狀) 무늬가 가볍게 생기며 모서리에 톱날처럼 까끌까끌한 부속물이 없다.
꽃은 5-9월에 피며 엽액(葉腋)에 3-6개가 뭉쳐난다. 꽃자루는 길이 1-3㎝, 소포엽(小苞葉)은 3개로 피침형,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의 3각상 열편이 있고 열편 표면에 긴 털이 난다. 꽃잎은 기부에 까끄라기 모양의 털이 있고 꽃받침과 길이가 같거나 약간 길다.
줄기는 기부에서 많은 가지를 치며 땅위에 누어 사방으로 펴지고 길이 30-60㎝이다.
원산지
유럽 원산
분포
▶서아시아, 북아메리카, 일본에 귀화되었다.
▶경남 울산에서 채집하였다.
형태
1년생 초본
크기
길이 30-60㎝이다.
생육 환경
길가 황무지에서 자란다.
유사종
▶난쟁이아욱(M. neglecta Wallr.): 꽃잎은 길이 1㎝내외로 꽃받침 길이의 2배이며 기부에 털이 없다. 열매는 12-15개의 분과로 구성되며 분과의 모서리가 둥글며 배면은 망목상의 홈이 없다.
특징
▶국내에서는 1996년 5월 19일 경남 울산에서 채집하였다.
============================================================================================================================
병해충도감
둥근잎아욱
농촌빈흥청 자료담당자 : 기술지도팀 지영선
잡초명: 둥근잎아욱
잡초학명: Malva rotundifolia L.
잡초영문명: Low mallow, Round-leaved mallow
형태
○ 초장
▶ 길이 50㎝ 내외.
○ 줄기
▶ 땅위를 포복하면서 솟아오르고 기부에서 분지(分枝)하고 털이 산생(散 生)한다.
○ 잎
▶ 어긋나기 잎차례이며 잎자루는 가늘고 길이 3~8㎝이다.잎새는 원형(圓 形)이고 지름 2~3.5㎝, 가장자리는 얕게 둥근 톱니형의 열편(裂片)이 5~9개 가 있고 기부는 깊게 심장저(心臟底)를 이룬다.탁엽(托葉)은 난상 피침형이 며 건성(乾性),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 꽃
▶ 잎겨드랑이에서 3~6개가 뭉쳐나고, 연한 하늘색이며 지름 1.5㎝이다.꽃 자루는 길이 4~10㎜, 열매일 때는 10~20㎜이다.꽃받침 모양의 소포엽은 3 개, 선형(線形), 꽃받침보다 짧고 털이 있다.꽃받침은 중간까지 갈라지며 열 편(裂片)은 5개, 삼각상 난형, 성상모(星狀毛)로 덮여 있다.꽃잎은 5개, 꽃받 침의 2~3배 길며, 백색 또는 연한 하늘색이다.
○ 종자
▶ 열매는 편평하고 지름 5~6㎜, 12~15개의 분과(分果)로 이루어지고 분 과는 등이 둥글고 털이 있다.
○ 근계
▶ 주근을 형성한다.
생태
월년생 초본으로 제주도의 초지에 자생하는 귀화잡초이다.
서식지
밭
참고문헌
Holm, L. G., J. V. Pancho, J. P. Herberger and D. L. Plucknett. 1979.
AGeographical Atlas of World Weeds. John WkleySons. New York. p.227.
-------------------------------------------------------------
사진출처
아욱속 세밀화 사이트 / http://www.plantillustrations.org/taxa.php?id_taxon=5448&lay_out=0&hd=0&group=1
============================================================================================================================
바로가기
아욱목 | 식물도감(植物圖鑑)
아욱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아욱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둥근잎아욱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궁화 (0) | 2016.02.23 |
---|---|
무궁화속 (0) | 2016.02.23 |
당아욱 (0) | 2016.02.22 |
애기아욱 (0) | 2016.02.22 |
난쟁이아욱 (0) | 2016.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