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메꽃과

호남인1 2016. 2. 14. 21:27

 

 

 

 

 

 

메꽃과

Convolvulaceae

 

 

 

 

생물학적 분류

: 식물계(Plantae)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목 : 가지목(Solanales)

과 : 메꽃과(Convolvulaceae)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가지목 > 메꽃과

 

열대에서 아열대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55속의 1,600여 종이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는 갯메꽃·나팔꽃·고구마·새삼·아욱메풀 등 3속 6종이 분포하고 있다.

============================================================================================================================

 

 

 

메꽃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um (Choisy) Makino)

 

 

 

 

 

 

============================================================================================================================

메꽃과

Convolvulaceae 英 : Morning glory Family  日 : Hirugao Ka

 

 

주로 열대와 아열대, 특히 아시아, 아메리카에 약 55속 1,600종 이상. 우리 나라에는 3속 6종.

초본 또는 덩굴나무, 흔히 유액이 있음. 잎은 호생, 홑잎, 턱잎이 있음.

 

꽃은 양성화, 방사 상칭. 포는 흔히 총포 모양, 꽃받침은 대개 떨어져 있고, 꽃눈 속에서 기와 모양으로 늘어서고, 영존함.

꽃은 대개 깔때기 모양. 갈래는 꽃눈 속에서 뒤틀림.

수술은 화관의 밑부분에 붙고, 화관 갈래와 호생. 꽃밥은 2실. 세로로 열 개.

자방은 상위, 밑에 화반에 의해 둘러싸이고, 1 - 4실.

배주는 각 실에 1 - 2개. 곧게 서고, 암술대는 정생(頂生)함.

열매는 삭과, 열개하거나, 다육질로 되어 열개하지 않음. 씨는 흔히 털이 있고, 배유는 소량. 떡잎은 접히거나 주름이 짐.

이영노저"한국식물도감"

 

 

 

메꽃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um (Choisy) Makino)

 

 

 

 

 

 

============================================================================================================================

메꽃과

Convolvulaceae

 

메꽃과는 중요한 식용식물 혹은 관상용인 소수의 종류를 포함, 초식성, 목본성인 덩굴식물의 과임.

 

분포

온대와 열대지방의 여러곳에서 자람.

대표적인 종류는 길고 늘어진, 그리고 감고 올라가는 줄기(예:고구마속(Ipomoea), 메꽃속(Calystegia))를 가지고 특히 개방되고 건조한 지역이나 수풀식생에 잘 자람.

건조지방, 즉 지중해기후나 반사막 기후에서 는 목본성 관목이 보편적이며 이들은 어린 포복성 가지를 가짐.

목본성 종류들은 특히 열대, 아열대지역의 특징이고 개방된 임지에서, 큰 관목이나 교목은 10m를 넘음.

소수의 종류들은 염습지, 산 정상부, 그리고 담수 같은 곳에서도 삶.

새삼속(Cuscuta)은 숙주식물에 기생함.

 

특성

잎은 호생이며 단엽으로 희귀하게 탁엽이 없음.

꽃은 양성화로 정제화관이고 포가 있는 총포를 가짐. 분리된 5개의 꽃받침잎(일부는 합착됨)과 합착된 5개의 꽃잎 그리고 화관통의 기저부에 합착된 5개의 수술이 있음.

자방은 상위로 2개(간혹 1개 혹은 4개)의 중축배주가 2개의 실로 구성된 2개(희귀하게는 3개에서 5개)의 합착된 심피를 가짐.

암술대는 단순하거나 분지되었으며, 주두는 단순한것, 결각이 있는 것, 혹은 두상형임.

열매는 삭과이나 가끔 열개과임. 종자는 때로 털이 있고, 배젖은 거의 업으며 구겨진 자엽과 함께 구부러진 배가 있음.

 

분류

자방, 암술대 그리고 주두의 특징은 견해에 따라서 3개에서 약 10개의 족으로 나누는 데에 중요함. 

이들 중, 디콘드라족[Dichondreae ; 아욱메풀속(Dichondra)과 팔키아속(Falkia)의 2개속]

훔베르티아족[Humbertieae : 훔베르티아속(Humbertia)의 1개 속]

새삼족[Cuscuteae ; 새삼속(Cuscuta)의 1개 속]

                등은 각기 다른

디콘드라과(Dichondraceae), 훔베르티아과(Humbertaceae), 새삼과(Cuscutaceae)로 분리되기도 한다.

메꽃과는 가지과, 지치과 그리고 꽃고비과와 밀접한 관계를 갖음.

 

용도

가장 중요한 작물은 주요 생산국으로서 일본과 열대지방에 널리 재배되고, 얌으로 불리며 수백 개의 변종이있는 고구마(Ipomoea batatasa)임. 이 과의 많은 종류들은 지역에 따라 식용과 약용으로 이용함.

 

스카모니(Convolvulus scammonia)와 얄라프(Ipomoea purga)의 뿌리는 설사약으로 이용되는 물질을 추출함.

다수의 종류들, 특히 고구마속과 콘볼불루스속(Convolvulus) 등은 이포모에아 푸르푸레아(Ipomoea Purpurea)와 같이 정원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됨.                                                                        

 

C.A.S.   

아카데미서적"식물대백과"

 

 

 

 

나팔꽃 (Pharbitis nil (L.) Choisy)

 

 

 

 

 

 

============================================================================================================================

국내서식 메꽃과(Convolvulaceae) 9속 바로가기

 

 

나팔꽃 (Pharbitis) 1종

메꽃 (Calystegia) 7종

미국나팔꽃 (Ipomoea) 6종

밤메꽃 (Calonyction) 1종

새삼 (Cuscuta) 4종

서양메꽃 (Convolvulus) 1종

선나팔꽃 (Jacquemontia) 1종

아욱메풀 (Dichondra) 1종

유홍초 (Quamoclit) 2종

 

 

 

 

미국나팔꽃 (Ipomoea hederacea Jacq. var. hederacea)

 

 

 

 

 

 

============================================================================================================================

국내서식 메꽃과(Convolvulaceae) 9속의 종 비로가기

 

 

 

 

-------------------------------------------------------------

나팔꽃속(Pharbitis) 1종

 

나팔꽃 (Pharbitis nil (L.) Choisy)

 

 

나팔꽃 (Pharbitis nil (L.) Choisy)

 

 

 

 

 

 

-------------------------------------------------------------

2. 메꽃속(Calystegia) 7종

 

갯메꽃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Schultb.)

메꽃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um (Choisy) Makino)

선메꽃 (Calystegia dahuricus (Herb.) Choisy)

애기메꽃 (Calystegia hederacea Wall.)

큰메꽃 (Calystegia sepium (L.) R.Br. for. sepium)

흰메꽃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a for. albiflora (Makino) Yamazaki)

흰큰메꽃 (Calystegia sepium for. album Y.N.Lee)

 

 

메꽃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um (Choisy) Makino)

 

 

 

 

 

 

-------------------------------------------------------------

3, 미국나팔꽃속 (Ipomoea) 6종

 

고구마 (Ipomoea batatas (L.) Lam.)

둥근잎나팔꽃 (Ipomoea purpurea Roth)

둥근잎미국나팔꽃 (Ipomoea hederacea var. integriuscula A.Gray)

미국나팔꽃 (Ipomoea hederacea Jacq. var. hederacea)

별나팔꽃 (Ipomoea triloba L.)

애기나팔꽃 (Ipomoea lacunosa L.)

 

 

미국나팔꽃 (Ipomoea hederacea Jacq. var. hederacea)

 

 

 

 

 

 

-------------------------------------------------------------

4. 밤메꽃속 (Calonyction) 1종

 

밤메꽃 (Calonyction aculeatum (L.) House)

 

 

 

 

 

밤메꽃 (Calonyction aculeatum (L.) House)

 

 

 

 

 

 

-------------------------------------------------------------

5. 새삼속 (Cuscuta) 4종

 

갯실새삼 (Cuscuta chinensis Lam.)

미국실새삼 (Cuscuta pentagona Engelm.)

새삼 (Cuscuta japonica Choisy)

실새삼 (Cuscuta australis R.Br.)

 

 

 

 

 

새삼 (Cuscuta japonica Choisy)

 

 

 

 

 

 

-------------------------------------------------------------

6. 서양메꽃속 (Convolvulus) 1종

 

서양메꽃 (Convolvulus arvensis L.)

 

 

 

 

서양메꽃 (Convolvulus arvensis L.)

 

 

 

 

 

 

-------------------------------------------------------------

7. 선나팔꽃속 (Jacquemontia) 1종

 

선나팔꽃 (Jacquemontia taminifolia Gris)

 

 

선나팔꽃 (Jacquemontia taminifolia Gris)

 

 

 

 

 

 

-------------------------------------------------------------

8. 아욱메풀속 (Dichondra) 1종

 

아욱메풀 (Dichondra repens Forster)

 

 

 

 

 

 

아욱메풀 (Dichondra repens Forster)

 

 

 

 

 

 

-------------------------------------------------------------

9. 유홍초속 (Quamoclit) 2종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유홍초 (Quamoclit pennata (Desr.) Bojer)

 

 

 

 

유홍초 (Quamoclit pennata (Desr.) Bojer)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메꽃과

(Convolvulaceae)L.

 

메꽃과가지목에 딸린 이다.

 

분포[편집]

열대에서 아열대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55속의 1,600여 종이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는 갯메꽃·나팔꽃·고구마·새삼·아욱메풀 등 3속 6종이 분포하고 있다.

 

특징[편집]

초본 또는 교목으로서 종종 덩굴을 이루며, 대부분 흰색의 유액을 가지고 있다. 잎은 홑잎으로 어긋나며 턱잎이 없다. 꽃은 양성화이며 5수화로서, 방사대칭을 이루고 있다. 꽃부리는 대부분 완전히 붙어서 깔때기 모양을 하고 있으며, 수술은 꽃부리통의 밑부분에 붙어 있다. 씨방은 상위로, 1개 또는 4개의 방으로 나뉘어 있다. 열매는 대부분 삭과가 되어 익으면 벌어지지만, 종에 따라서는 살이 많아서 벌어지지 않는 것도 있다.

 

[편집]

메꽃속 (Calystegia)

미국나팔꽃속 (Ipomoea)

새삼속 (Cuscuta)

서양메꽃속 (Convolvulus)

선나팔꽃속 (Jacquemontia)

아욱메풀속 (Dichondra)

• Aniseia

• Argyreia

• Astripomoea

• Blinkworthia

• Bonamia

• Breweria

• Calycobolus

• Cardiochlamys

• Cladistigma

• Cordisepalum

• Cressa

• Decalobanthus

• Dicranostyles

• Dinetus

 

 

 

 

 

고구마 (Ipomoea batatas (L.) Lam.)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전북야생화 / http://www.jbwildflower.or.kr/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

바로가기

 

속씨식물의 과 목록 (APG II 분류 체계)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의 과 목록(APG III 분류 체계)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 분류 체계 비교 (APG-APGII-APGIII)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쌍떡잎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가지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꽃  (0) 2016.02.14
메꽃속  (0) 2016.02.14
가지목  (0) 2016.02.14
화태황벽나무  (0) 2016.02.14
털황벽  (0) 2016.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