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포풀
Limosella aquatica L.
학명: Limosella aquatica L.
종코드(url_no): /이명: 난나풀, 란나풀, 거미줄풀 /영명: Water Mudwort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꿀풀목 >현삼과 >등포풀속
원산지: 한국 /분포: /서식: 물이 있는 가장자리 /크기: /개화: 6~10월
생약명:
1년생수생식물
현삼과의 한해살이풀. 기는줄기가 땅으로 뻗으며, 잎은 타원형이다. 6~10월에 흰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모래밭에서 자라는데 한강 하류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등포풀 /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plantPilbkNo=28781
-------------------------------------------------------------
분류군:Scrophulariaceae(현삼과)
잎은 넓은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10mm, 폭 1~3mm이며 엽병과 더불어 길이 2~5cm이다.
삭과는 타원형으로서 길이 3mm이며 종자는 타원형이고 길이 0.3mm 정도로서 몇 개의 종선과 많은 횡선이 있다.
꽃은 6~10월에 피고 지름 2.5mm로서 백색이며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고 엽액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4~20mm로서 꽃이 진 다음 지상으로 눕는다. 꽃받침은 종형이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넓고 난형이고 수술은 4개이다.
포복경이 지상으로 뻗고 마디가 없으며 끝에서 뿌리와 잎이 나고 사방으로 계속 퍼지며 곧추서는 원줄기가 없다.
분포
일본, 중국, 몽골, 유럽, 호주 / 한국(경상남도 창녕군)
일년초
희귀, 특산식물 정보
평가내용:멸종위기종 / 국가단위
보호방안
최근 경상남도 창녕군에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특징
영등포에서 처음 발견했기 때문에 등포불이라고 하지만 전체의 모양이 등잔을 나열한 것 같다.
============================================================================================================================
한반도생물자원포럼
등포풀
Limosella aquatica L.
분류체계
- 현화식물문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현삼과 >>등포풀속
- MAGNOLIOPHYTA >>MAGNOLIOPSIDA >>ASTERIDAE >>SCROPHULARIALES >>SCROPHULARIACEAE >>Limosella
보호관리 현황 (이력)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위기(EN) B2ab(iii,iv)
개요
현삼과의 한해살이풀로 주로 물이 있는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줄기는 땅위를 기고, 좁은 수저처럼 생긴 잎은 길이 2~5cm이며, 잎자루는 1~4cm로 길고, 잎몸은 4~10mm로 짧다.
흰색 꽃은 5~10월에 잎겨드랑에서 한 송이씩 피며, 꽃 직경은 2~3.5mm로 작다. 열매는 삭과로 익는다. 하천이나 연못의 수변부 모래땅에서 자란다. 종자는 수위가 낮아져 들어난 축축한 땅에서 발아한다.
서울에 분포했으나, 최근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경남과 부산에서 생육이 확인되었다. 일본과 중국 등 북반구 온대 지역에 퍼져 자란다. 서울에서 보고된 이후 확인되지 않다가 최근 경남과 부산 등지에 분포가 확인되었으나 개체수는 많지 않다. 부산 개체군은 50개체 미만이다. 하천 정비와 매립 등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분류학적 특징
한해살이풀로 주로 물이 있는 가장자리에서 자라며, 줄기는 땅위를 기고, 좁은 수저처럼 생긴 잎은 길이 2-5cm이며, 잎자루는 1-4cm로 길고, 잎몸은 4-10mm로 짧다. 흰색 꽃은 5-10월에 잎겨드랑에서 한 송이씩 피며, 꽃 직경은 2-3.5mm로 작다. 열매는 삭과로 익는다.
분포현황
서울에 분포했으나, 최근까지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경남과 부산에서 생육이 확인되었다. 일본과 중국 등 북반구 온대 지역에 퍼져 자란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하천이나 연못의 수변부에 자란다. 종자는 수위가 낮아져 들어난 축축한 땅에서 발아한다.
위협요인
서울에서 보고된 이후 확인되지 않다가 최근 경남과 부산 등지에 분포가 확인되었으나 개체수는 많지 않다. 부산 개체군은 50개체 미만이다. 하천정비와 매립 등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종 및 자생지에 대한 보호 대책은 없다.
참고문헌
이승은. 2009. 경남지역의 낙동강 잠재범람습지의 식생유형분류와 군락.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창복, T. Yamazaki. 1983. 한국산 현삼과 식물의 학명 정정.
서울대학교 수목원 연구보고 4: 34-70.Son, S.-W, B.-C, Lee, H.-H.
Yang and Y.-J Seol. 2011. Distribution of five rare plants in Korea. Korean. J. Pl. Taxon 41: 280-286.
원문바로가기 / http://www.korearedlist.go.kr/redlist/home/redlist/redlist_view.jsp?rlcls_sno=533
============================================================================================================================
한겨례신문
100년 만에 영등포로 돌아온 ‘등포풀’
등록 :2015-07-01 18:29수정 :2015-07-01 20:52
[조홍섭의 물바람 숲]
세브란스연합의학교의 병리학 교수였던 랠프 가필드 밀스(1884~1944)는 20세기 초 10년 동안 조선에 머문 미국인 의사였다.
그는 흔한 배앓이가 회충에 의한 것임을 밝히는 등 기생충, 풍토병, 식생활, 전통의학 등을 주로 연구했다.
특히 식물에 관심이 많아 “짬만 나면 식물채집통을 어깨에 메고 다니면서 식물을 채집”해, 무려 1만5000여점의 식물 표본을 남겼다. 그는 1914년 6월12일 우리나라에서 처음 ‘등포풀’이라는 식물을 서울에서 채집했다.
고 이영노 박사는 나중에 그 지점을 영등포로 보고 이런 이름을 지어주었다.
그런데 처음 발견된 지 100년 만에 등포풀이 다시 영등포에서 확인됐다. 국내에 드물게 관찰되는 멸종 위기종이 국내 최대 규모로 고향인 서울 한복판에서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작은 습지식물인 등포풀이 살아남은 곳은 영등포구에 속하는 한강의 윗밤섬이다.
지난 3일과 12일 윤석민 한강유역환경청 전문위원의 안내로 밤섬을 찾았다.
윤씨는 지난해 생태계 변화 관찰 조사 중 등포풀과, 마찬가지로 밀스가 이곳에서 1914년 채집한 희귀식물인 대구돌나물의 자생을 확인했다. 여의도 서강대교 남단에서 배를 타고 윗밤섬으로 향했다. 배에서 내리자마자 윤씨가 자갈과 모래가 깔린 물가를 가리킨다.
짐작한 것보다 등포풀은 더 작았다.
물별이끼, 물벼룩이자리, 뚝새풀(둑새풀) 틈에서 새끼손가락만한 개체를 찾았다. 주걱 모양의 잎겨드랑이에서 지름 2~3㎜의 앙증맞은 흰 꽃이 달렸다.
썰물로 물이 빠진 윗밤섬과 아랫밤섬 사이 고랑을 따라 섬 안쪽으로 들어갔다. 한강에서 보기 힘든 자연하천과 습지의 모습이 오롯이 펼쳐졌다. 새끼 물고기가 큰 무리를 지어 이리저리 도망쳤다. 고랑 양쪽에 드러난 기슭에서 여러 개체의 등포풀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랑을 따라가자 키 큰 갈대와 부들에 숨겨진 호수가 나타났다. 팔뚝만한 잉어들이 물방울을 튀기며 몰려다니며 산란행동에 바빴다. 관목과 물쑥, 갈대밭에 파묻혀 있노라면 다른 세계에 온 것 같다가 자동차 소음과 앰뷸런스 경적이 도심임을 일깨워줬다.
밤섬은 한강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주민 62가구 443명이 강 건너 마포구 창전동으로 이주되고 1968년 2월10일 폭파돼 섬의 형체 자체가 사라졌다. 그런데 등포풀은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등포풀과 대구돌나물 모두 물가에 사는 한해살이풀이어서 생존전략이 덧없으면서도 강인하다. 큰물이 나면 자생지가 한순간에 사라지지만 휴면 상태의 씨앗은 땅속에서 기회를 기다리다 일시에 자라 번식한다. 여의도 윤중제를 쌓느라 밤섬의 바위와 토사를 모두 들어냈지만 물에 잠겼다 드러났다 하는 습지가 깡그리 사라진 것은 아니어서 근근이 삶을 이어왔을지도 모른다.
밤섬 폭파 당시의 신문 기사는 밤섬 마을을 “500년 동안 수돗물과 전깃불 모르고 살아온 마을” 등 도심 속 낙후지로 그리고 있다.
요즘 밤섬을 ‘도심 속 무인도’ ‘도심의 생태계 보고’로 묘사하는 것과 비슷하다.
그러나 밤섬은 우리가 아는 것과 달랐다.
권혁희씨는 2012년 서울대 인류학과 박사학위 논문에서 조선시대부터 폭파되기까지 밤섬의 역사를 더듬었다. 특히 밤섬과 여의도의 운명적 관계는 흥미롭다. 평상시에 밤섬과 여의도는 한강 하중도에서 연결된 두 지점이었다. 홍수 때만 밤섬의 용바위와 여의도 양말산(현 국회의사당 자리)이 물 위에 드러났다.
밤섬은 조선시대 동안 주점만 700곳에 이르던 조선 최대 포구 마포와, 조선 각지의 세곡이 하역되던 서강 포구 사이에 자리잡아 드나드는 수많은 배를 고치고 만들던 요충이었다. 반면 여의도는 국가 제사에 쓸 가축을 기르던 곳이었다.
최고의 상권과 오랜 전통 속에서 잘나가던 밤섬은 이름 자체가 ‘너나 가져라’란 뜻의 여의도에 몸을 내주고 사라지는 기구한 운명을 맞았다. 그러나 자연은 밤섬을 버리지 않았다. 퇴적물이 쌓여 밤섬은 반세기 만에 몸집을 6배나 불렸다. 생태계도 살아났다. 밤섬 주민들도 고향을 잊지 않았다. 주민들은 2년마다 한가위에 밤섬을 찾아 제사를 지낸다. 이제 등포풀이 이들을 반길 것이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겸 논설위원 http://ecothink@hani.co.kr
============================================================================================================================
등포풀속
Limosella Linne`
英 : Mudwort 日 : Kitamiso Zoku
전세계 주로 남아프리카에 1종, 우리 나라에는 1종, 초본, 소형. 털이 없고, 밀생, 줄기가 없고, 흔히 가지가 옆으로 긺.
잎은 밀생, 선형, 긴 타원형, 난형.
꽃은 흰색, 붉은색, 미세형, 꽃자루는 근생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포는 없음.
꽃받침은 종 모양. 톱니 5개, 꽃잎은 통 부분이 짧은 쟁반 모양, 방사 상칭, 5갈래,
갈래는 거의 길이가 같고, 난상 둥근 모양, 퍼지고, 꽃눈 속에서 기와 모양으로 배열,
수술은 4개, 화관통에 붙고, 꽃밥실은 붙어서 1실, 자방은 기부가 2실, 끝에 격막이 없으며,
암술대는 짧고, 암술머리는 머리 모양,
삭과는 늦게 열개하거나 또는 열개하지 않고, 열개판은 막질.
씨는 다수, 소형, 난형.
-자료:이영노저"한국식물도감"-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황정아재님, 노루발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곰솔님,
============================================================================================================================
바로가기
현삼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등포풀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7. - 4,903種중 (4204. 쥐손이풀과 - 4901. 흑삼릉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며느리밥풀속 (0) | 2016.02.01 |
---|---|
디기탈리스 (0) | 2016.02.01 |
덩굴해란초 (0) | 2016.01.31 |
냉초속 (0) | 2016.01.31 |
나도송이풀 (0) | 2016.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