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만주송이풀

호남인1 2016. 1. 27. 17:40

 

 

 

 

 

 

만주송이풀

학명: Pedicularis mandshurica Maxim.

 

 

 

 

 

 

 

 

 

 

 

종코드(url_no): 30036 /이명: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통화식물목 >현삼과 >송이풀속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 / 한국(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서식: 산비탈의 모래자갈 땅 /크기: 높이가 30cm /개화: 6월

생약명:

 

다년생초본

현삼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 30센티미터 정도이고, 잎은 겹잎으로 밑에서 뭉쳐난다. 5~6월에 긴 꽃줄기 끝에 황색 꽃이 핀다. 우리나라, 중국, 우수리 강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Pedicularis manshurica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만주송이풀 /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0036&mn=KFS_28_01_02_01

 

 

 

 

 

-------------------------------------------------------------

Scrophulariaceae(현삼과) 

 

 

잎은 1회우상복엽으로서 밑에서 총생하며 가장자리에 막질의 인엽이 달리고 긴 엽병과 더불어 길이 15-20cm이며 털이 없고 열편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상하로 갈수록 짧아지고 작아지며 중앙부의 가장 큰 우편은 길이 23mm, 넓이 7mm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톱니가 있다. 경생엽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점차 작아져서 화서에 이르러 포엽으로 되고 엽병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삭과는 긴 난형이며 길이 1.2cm정도로서 2개로 갈라진다. 

 

꽃은 6월에 피며 황색이고 화경(花莖)은 길이 30cm이며 끝에서 총상화서가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17mm로서 윗부분이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길이 7mm로 밑부분의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은 우상으로 갈라져서 작은 포편같이 되고 톱니가 있다. 화관은 길이 2.5cm로서 양순형이며 상순이 활처럼 앞으로 굽는다. 

 

높이가 30cm에 달하고 능선을 따라 줄지어 돋은 잔털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중국 / 한국(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에 분포한다,

다년생 초본. 

산비탈의 모래자갈 땅. 

관상용. 

자생지가 남방한계지역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자생지 환경이 악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위기종] 평가내용:위기종 / 국가단위 

 

 

 

 

 

 

 

============================================================================================================================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만주송이풀

Pedicularis mandshurica Maxim.

 

 

분류체계

- 현화식물문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현삼과 >>송이풀속

- MAGNOLIOPHYTA >>MAGNOLIOPSIDA >>ASTERIDAE >>SCROPHULARIALES >>SCROPHULARIACEAE >>Pedicularis

 

보호관리 현황 (이력)

- 멸종위기 야생생물 해제종

- 국가적색목록 평가결과 : 위기(EN) B2ab(iii)

 

개요

높은 산 능선에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높이 20-40cm로 자란다. 줄기에 능선을 따라 털이 있다. 잎은 1번 갈라지는 깃꼴겹잎, 갈래는 피침형으로 길이는 2.3cm쯤이고, 갈래는 다시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뿌리잎은 여러 장이 모여 난다. 줄기잎은 잎자루가 없다. 꽃은 5-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한 개씩 달려 전체가 총상꽃차례로 되며, 흰빛이 도는 연한 노란색으로 길이 2-3cm다. 꽃싸개잎은 피침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길이 1.0-1.5cm이다. 화관은 입술 모양, 위쪽 갈래는 투구 모양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긴 달걀 모양으로 짧은 부리가 있다. 강원도 설악산 이북의 높은 산에 자생하며 러시아, 중국에 분포한다.  

 

분류학적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곧추서서 40cm까지 자란다.

잎은 잘게 갈라져 깃처럼 보이는 겹잎인데, 뿌리에서 나오는 잎은 모여나나 줄기에 달리는 잎에는 잎자루가 없다.

 

연한 노란색 꽃은 5-7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한 송이씩 달리는데, 전체는 마치 총상화서 처럼 보인다.

통꽃이나 두 갈래로 갈라져 있고, 열매는 삭과로 익는다.

 

설악산 해발 1,700m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높은 산의 능선 부위에서 자라며, 설악산 중청봉에서 대청봉에 이르는 구간에 1,000개체 정도가 생육한다.  

 

분포현황

설악산 이북에 분포하며, 북한 지역을 거쳐 중국, 러시아에까지 분포한다.

서식지 / 생육지 특성

높은 산 능선에 드물게 자란다.  

 

위협요인

설악산 이북에만 분포하나 잎과 꽃이 아름다워 관상 가치가 크며, 자생지가 능선에 위치해 등산객에 의한 피해를 받고 있다. 자생지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나 종 자체는 특별한 보호 대책이 없다.

 

참고문헌

김용식, 강기호, 배준규, 김종근.

1998. 설악산 국립공원 내설악지역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환경생태학회지 11: 407-414.이창복, T. Yamazaki. 2983. 한국산 현삼과 식물의 학명 정정.

서울대학교 수목원 연구보고 4: 34-70.조원범.

2010. 한국산 송이풀속의 분포 및 애기송이풀의 계통학적 위치. 인하대학교 이학석사학위 논문.현진오.

2002. 한반도 보호식물의 선정과 사례연구. 순천향대학교 이학박사학위 논문.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윤재규님, 설악폭포님, 우쨔꼬님, 김근태(청사초롱)님, 모래실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우산님,

인어의향기 / http://www.sollife.com/main.php

 

 

 

 

 

 

 

============================================================================================================================

바로가기

 

현삼 | 식물도감(植物圖鑑) 

송이풀 | 식물도감(植物圖鑑)

만주송이풀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7. - 4,903種중 (4204. 쥐손이풀과 - 4901. 흑삼릉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름송이풀  (0) 2016.01.28
털만주송이풀  (0) 2016.01.27
송이풀  (0) 2016.01.27
송이풀속   (0) 2016.01.27
좁은잎돌꽃  (0) 2016.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