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묏미나리속

호남인1 2015. 12. 26. 09:28

 

 

 

 

 

 

묏미나리속

Ostericum

 

 

 

 

분 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  > 산형화목  > 산형과  > 묏미나리속

 

묏미나리속[Ostericum Hoffm.] 日 : Yama-zeri Zoku

산형과에 속하며 세계에 약 10종, 우리 나라에는 4종이 서식하며 다년생초본이다.

=============================================================================================================================

 

묏미나리 (Ostericum sieboldii (Miq.) Nakai)

 

 

 

 

 

=============================================================================================================================

묏미나리속

[Ostericum Hoffm.] 日 : Yama-zeri Zoku

 

세계에 약 10종, 우리 나라에는 4종, 다년초.

잎은 3출겹잎. 작은잎에는 톱니가 있음.

꽃은 흰색. 산형화서. 적은 수의 총포와 작은 총포가 있음. 꽃받침은 5장.

꽃잎은 5장. 가운데가 움푹 들어감.

열매는 타원형, 열매는 분과,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음.

-자료:이영노저"한국식물도감"-

 

* 한국식물도감에는 "큰참나물"을 묏미나리속에 넣었으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는 큰참나물속()으로 따로 분리하였음.

 

강활 (Ostericum praeteritum Kitag.)

 

 

 

 

 

=============================================================================================================================

국내서식 묏미나리속 (Angelica) 4종 바로가기

 

 

가는바디 (Ostericum maximowiczii (F.Schmidt) Kitag. ex Maxim.)

강활 (Ostericum praeteritum Kitag.)

묏미나리 (Ostericum sieboldii (Miq.) Nakai)

신감채 (Ostericum grosseserratum (Maxim.) Kitag.)

 

신감채 (Ostericum grosseserratum (Maxim.) Kitag.)의 화서

 

 

 

 

 

 

=============================================================================================================================

국내서식 묏미나리속 (Angelica) 4종 특징요약

 

 

----------------------------------------------------------------

1. 가는바디

 

Ostericum maximowiczii (F.Schmidt) Kitag. ex Maxim.

 

 

 

높이는 일 미터 정도로 자라며, 잎은 삼회 우상 복엽으로 피침 모양 또는 선 모양이다. 6~8월에 흰 꽃이 총상 꽃차례로 피며, 길고 둥근 열매를 맺는다.

 

 

가는바디 (Ostericum maximowiczii (F.Schmidt) Kitag. ex Maxim.)

 

 

 

 

--------------------------------------

2. 강활

 

Ostericum praeteritum Kitag.

 

 

 

잎은 호생하고 2회3출엽으로서 열편은 난상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맥위에 털이 약간 있고 소엽병은 밑부분의 것은 길지만 위로 가면서 점차 짧아지며 엽병 밑부분이 넓어져서 엽초로 된다. 

 

분과는 타원형으로 변두리에 넓은 날개가 있으며 륵(肋)사이에 1개, 합생면에 2개씩의 유관이 있다. 

 

복산형화서는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서 발달하고 10-30개의 소산경으로 갈라져서 많은 꽃이 달리며 꽃은 8-9월에 피고 백색이며 총포편은 피침형으로 1-2개이고 소총포편은 6개 정도이며 선형이다. 

 

높이가 2m에 달하며 묏미나리와 비슷하지만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자주빛의 줄기는 한 개 또는 여러 개가 생긴다. 

원뿌리는 썩어 없어져도 옆에 싹이 생겨서 다시 자란다. 

 

 

강활 (Ostericum praeteritum Kitag.)

 

 

 

 

 

 

-----------------------------------------------

3. 묏미나리

Ostericum sieboldii (Miq.) Nakai

 

 

 

 

잎은 호생하고 2~3회 3출 우상복엽이며 길이 10~40cm이고 엽병은 위로 갈수록 짧아지며 밑부분이 넓어져 줄기를 감싸고 윗부분의 잎은 퇴화되고 엽병이 엽초로 된다. 소엽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간혹 2~3개로 깊이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 

열매는 분과로 편평한 타원형이다.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복산형화서로 달리며 소산경은 15~20개이고 소화경과 더불어 안쪽에 잔돌기가 있다. 총포는 없거나 1~2개이고 소총포는 5~6개로 피침형이며 가장자리는 막질이다. 

 

 

 

묏미나리 (Ostericum sieboldii (Miq.) Nakai)

 

 

 

 

 

-----------------------------------------------------

4. 신감채

 

Ostericum grosseserratum (Maxim.) Kitag.

 

 

 

잎은 호생하고 3출 우상복엽이며 엽병은 위로 갈수록 짧아지고 밑부분은 넓어져서 줄기를 거의 감싼다. 소엽은 난상 피침형으로 다시 결각상으로 갈라지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끝부분이 길게 뾰족하다. 

 

열매는 분과로 편평한 넓은 타원형이고 날개가 있다. 

 

꽃은 8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부분에 복산형화서로 달리며 소산경은 10개 정도로 능선이 있고 윗부분에 잔돌기가 있으며 소화경은 10~20개이고 총포는 없으나 3~$개이며 소총포는 선형으로 소화경보다 길다. 꽃은 5수성이고 자방하위이다. 

 

 

신감채 (Ostericum grosseserratum (Maxim.) Kitag.)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묏미나리 (Ostericum sieboldii (Miq.) Nakai)의 화서

 

 

 

 

You Will Always on My Mind / Chris De Burgh

 

 
 

 

 

 

=============================================================================================================================

바로가기

 

산형과(미나리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미나리과(산형과)의 속 목록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5. - 4,903種중 (2733. 사초과 - 3470. 쐐기풀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는바디  (0) 2015.12.26
묏미나리  (0) 2015.12.26
돌방풍  (0) 2015.12.26
가는잎독미나리  (0) 2015.12.26
독미나리  (0) 2015.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