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모
학명: Fritillaria ussuriensis Maxim
종코드(url_no): 23212 /이명: 검정나리, 검나리, 조선패모 /영명: Ussuri Fritillary /꽃말: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패모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우수리, 만주 /서식: 산지 /크기: 높이 약 25cm.
생약명: 鱗莖(인경)을 貝母(패모)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
백합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비늘줄기는 희고, 육질이며, 5~6개의 비늘 조각으로 되어 있다. 잎은 두세 개씩 달리고, 5월에 자줏빛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밑을 향하여 달린다.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관상용 또는 약용으로 쓰이며, 함경도 및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Fritillaria ussuriensis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대생 또는 3개씩 윤생하고 선형이며 길이 10cm로서 엽병이 없고 끝이 뾰족하며 윗부분의 잎은 덩굴손처럼 말린다.
삭과는 6개의 날개가 있으며 짧고 삼각형이다.
꽃은 5월에 피고 길이 2-3㎝로서 자주색이며 윗부분의 엽액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린다. 화피열편(花被裂片)은 6개로서 주걱형 둔두이고 수술은 6개로서 꽃잎보다 짧으며 주두는 3갈래로 갈라진다.
원줄기는 곧추 25cm정도 자라며 털이 없다.
인경은 백색이고 둥글며 다소 납작하고 높이 0.5-1cm, 지름 0.8-2cm로 짙은 유백색이고 5-6개의 육질 인편으로 되었으며 밑에 수염뿌리가 있다.
▶우수리, 만주 등에 분포한다.
▶산지에서 자란다.
▶비교적 따뜻하고 건조한 기후에 적당한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추운지방을 제외한 전국 각지에서 재배할 수 있다. 토질은 물빠짐이 좋은 질찰흙 또는 모래참흙이 적당하며, 습기가 많은 땅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므로 적당하지 못하다.
내한성: 중간 /토양: 비옥 /수분: 건조
번식법
비교적 따뜻하고 건조한 기후에 적당한데,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추운지방을 제외한 적국 각지에서 재배할 수 있다. 토질은 물빠짐이 좋은 질참흙 또는 모래참흙이 적당하며, 습기가 많은 땅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므로 적당하지 못하다. 땅속에 생기는 비늘줄기로 번식하는 것이 보통이나 때로는 바늘잎 또는 씨앗으로서도 번식할 수 있다.
▶비늘줄기 번식법 : 비늘줄기를 캐는 시기는 재배 환경에 따라 다소 다르나, 보통은 6월 상순경이다. 캔 것은 비늘줄기에 붙어 있는 새끼비늘줄기를 대소로 구별하여 1개의 무게 7-10kg이상의 것을 본밭에 바로 심고, 이보다 작은 것은 모판에서 길러서 본밭에 심는다. 심은 후에 곧 짚이나 풀을 전면에 깔아 주는데, 이것은 생육상 매우 효과가 있다. 이랑을 만들어 심는 것보다 밭에 그대로 골을 타고 심은 것에는 더 많은 양을 필요로 한다.
▶비늘잎 꺾꽂이법 : 패모 모종이 부족할 때나 비늘잎 줄기가 비늘잎으로 되었을때 이 방법을 이용한다. 꺽꽂이상은 깨끗한 모래와 산기슭의 황토를 반반씩 체로 쳐서 만든다. 상토의 깊이는 12-15cm정도로 하여 꽂은 후 물을 충분히 주고, 짚을 깔아 준 후에도 건조하면 계속 물을 준다. 관리를 잘 해주어 시일이 경과하면 새끼비늘줄기가 생기므로 이것을 모판에서 육묘한 후 아주 심는다.
생약명
▶鱗莖(인경)을 貝母(패모)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 가을에 인경을 캐어 흙을 씻어내고 대,소 2종류로 선별, 큰 것은 心芽(심아)를 제거하고 2편으로 쪼갠다. 대,소를 각각 擦籠(찰롱)으로 외피를 벗기고 석회를 가하여 고루 잘 혼합하여 하룻밤을 재워서 석회가 흡수되게 하여 햇볕이나 약한 불에 쬐어 말린다.
②성분/약리 : 함유되어 있는 alkaloid는 氣管支平滑筋(기관지평골근)을 확장시켜 분비를 감소시키므로 鎭咳祛痰(진해거담)의 작용이 좋고 아트로핀樣(양)의 작용이 있으므로 氣管支平滑筋(기관지평골근)을 弛緩(이완)시켜 분비를 감소시키는 외에 또 瞳孔(동공)을 확대하여 혈압강하의 작용을 가진다.
③약효 : 淸熱(청열), 化痰(화담), 鎭咳(진해), 散結(산결), 해독의 효능이 있다. 風熱(풍열)에 의한 咳嗽(해수), 肺癰(폐옹)으로 인한 喉痺(후비), 나력, 瘡瘍腫毒(창양종독)을 치료하고 川貝母(천패모)는 潤肺散結(윤폐산결), 止嗽化痰(지수화담)의 효능이 있다. 虛勞咳嗽(허로해수), 吐痰喀血(토담객혈), 心胸鬱結(심흉울결), 폐위, 영류, 나력, 喉痺(후비), 乳癰(유옹)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4.5-9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쓴다.
<외용> : 가루 내어 살포한다.
유사종
▶중국산 절패모(F. verticillata Willd. var. thunbergii Baker)
▶감숙패모(F. przewalski Max.)
▶구주산(F. meleagris L.)
특징
한약으로 사용되는 패모는 중국패모로서 인경(鱗莖)은 2개의 인편(鱗片)으로 되고 꽃은 연한 황색이며 뚜렷하지 않은 그물같은 무늬가 있다.
병충해
▶병해 엽고병: 꽃봉오리가 생겨서 개화기까지에 발생하는데 원인은 배수가 나쁘거나 토질이 맞지 않는 곳에서 재배하면 발병이 심하다.
▶엽고병: 6-6식 보르도액을 계속 2-3회 살포한다.
=============================================================================================================================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패모
다른 표기 언어 ussuri-fritillary
별칭: 검정나리, 검나리, 조선패모
학명: Fritillaria ussuriensis Maxim.
본초명: 대패모(大貝母, Da-Bei-Mu), 이패모(伊貝母, Yi-Bei-Mu), 절패모(浙貝母, Zhe-Bei-Mu), 천패모(川貝母, Chuan-Bei-Mu), 토패모(土貝母, Tu-Bei-Mu), 평패모(平貝母, Ping-Bei-Mu)
다년생 초본으로 인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북부지방의 산지에서 자란다. 둥근 인경은 백색이고 5~6개의 육질 인편으로 되어 있으며 밑부분에서 수염뿌리가 나온다. 줄기는 높이 20~40cm 정도로 자란다. 마주나거나 3개씩 돌려나는 잎은 길이 6~12cm, 너비 5~8mm 정도의 선형이고 잎자루가 없으며 윗부분의 잎은 덩굴손처럼 말린다. 5~6월에 개화한다. 1개씩 밑을 향해 달리는 꽃은 길이 2~3cm 정도로서 자주색이다. 삭과는 6개의 날개가 있다. 상부 잎의 끝이 말려 덩굴손처럼 되고 ‘튤립속’과 달리 꽃이 하향하며 화피편에 선체가 있다. ‘중국패모’와 다르게 비늘줄기의 인편은 5~6개이다. 관상이나 약용식물로 심기도 하며 독이 있다.
특성
단자엽식물(monocotyledon), 다년생초본(perennial herb), 직립형식물(erect type), 재배되는(cultivated), 야생(wild), 약용(medicinal), 독성(poisonous), 관상용(ornamental plant)
적용증상 및 효능
거담, 결기, 고혈압, 기관지염, 나력, 산결, 소아경풍, 악창, 유방염, 유선염, 유즙결핍, 유창통, 인후통증, 임파선염, 지혈, 진정, 진통, 진해, 창양종독, 청열, 토혈각혈, 통유, 편도선염, 폐결핵, 폐기종, 폐기천식, 폐혈, 해수, 해열, 혈압강하
생육과정
상세정보 /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49XX11800894
우리주변식물생태도감 저자강병화 | 출판사한국학술정보(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패모
[ 貝母 ]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함경도의 산지에서 자라고 있으며 잎은 2-3개씩 돌려나 안쪽으로 말려서 덩굴손같이 된다. 한방에서는 진해제로 많이 응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지패산이 있는데 유방염에 쓰이고 있다.
학명: Fritillaria verticillata var. thunbergii BAK.
출산·개화시기: 4∼5월
패모라는 명칭은 그 모양이 패자(貝子)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졌으며, 함경도의 산지에서 자라고 있다. 약용되는 패모는 중국 원산의 중국패모인데, 학명은 Fritillaria verticillata var. thunbergii BAK.이다. 재배되고 있으며, 인경(鱗莖)은 지름 1.5∼3㎝로서 2개의 육질인편이 모여 둥글게 된다.
잎은 2∼3개씩 돌려나고 선상피침형이며 엽병이 없고 길이 7∼15㎝, 너비 5∼10㎜로서 뒷면에 흰빛이 돈다. 윗부분의 잎과 포엽(苞葉: 꽃의 아래에서 봉오리를 싸 보호하는 일) 끝은 더욱 길어지고 안쪽으로 말려서 덩굴손같이 된다.
꽃은 4∼5월에 피며 1∼4개가 밑을 향해 달리고 화경은 높이 30∼80㎝로서 곧추서며 잎이 많이 달리고 소화경(小花梗)은 길이 1∼2㎝이다. 열매는 삭과(蒴果: 씨방이 여러 개인 열매)로 짧은 육각형이고 6개의 날개가 있으며 길이와 너비가 각각 2.5∼3㎝이다.
한방에서 약재로 이용되고 있는데 중국에서는 쓰촨성(四川省)에서 주로 성장하는 천패모를 쓴다. 성분은 페이민(peimine)·프로페이민(propeimine)이 확인되었고 소량의 알칼로이드성분으로 페이미딘(peimidine) 등이 밝혀졌다.
동물실험에서는 기관지 평활근의 확장작용이 현저하였으며 대량 투여시에는 수축효과가 나타났다. 알칼로이드성분은 토끼의 소장에 대하여 수축력을 증강시켰다. 그리고 이 성분은 혈압의 하강효과도 인정되었다.
약성은 차고 독이 없으며 쓴맛을 가지고 있다. 약효는 감기로 인한 급성기관지염, 폐렴으로 인한 해소에 효과가 뛰어나다. 뿐만 아니라 어린이에게 많이 감염되는 백일해에도 현저한 공효가 나타난다.
또, 결핵성경부임파선염과 만성임파선염에도 다른 약과 배합되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으며, 위·십이지장궤양 치료에 보조약물로 많이 쓰인다. 부인의 유방염 초기에 염증이 심하여 통증·발적(發赤)·발열이 있을 때에 복용하면 소염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방에서는 진해제로 많이 응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지패산(芷貝散)이 있는데 유방염에 쓰이고 있다.
참고문헌
• 『본초강목(本草綱目)』
• 『한약임상응용(韓藥臨床應用)』(이상인·안덕균·신민교, 성보사, 1982)
패모 [貝母]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동의보감 : 내경편
패모
[ 貝母 ]
消痰, 又治胸膈痰氣, 最妙[本草].
○ 貝母丸, 取貝母, 童便浸三日, 洗晒爲末, 糖霜調和, 不時服[入門]1).
패모는 담을 삭이고 또 가슴의 담기를 치료하는 데 제일 좋다(『본초』).
○ 패모환은 패모를 아이 오줌에 3일 동안 담갔다가 씻어서 햇볕에 말린 다음 가루내어 설탕물에 반죽하여서 만드는데, 아무 때나 먹는다(『의학입문』).
潤肺. 作末和砂糖作丸含化, 或煮服之並佳[本草].폐를 눅여준다[潤].
가루내어서 설탕과 섞어 알약을 만들어 녹여 먹거나 달여 먹어도 좋다(『본초』).
패모 [貝母] (동의보감 제1권 : 내경편, 2002. 8. 19., 휴머니스트)
약용으로 심는 중국패모(F. verticillata Willd. var. thunbergii (Miq.) Baker)는 비늘줄기가 2개의 비늘조각으로 되어 있고, 꽃이 연한 노란색이므로 구분된다
백합과에 속하는 패모는 우리나라 남부지방과 중국의 각지에서 산출되는데 중국에서 나는 산지에 따라서 절, 천, 토, 평, 신패모 등등으로 나누어진다. 대체로 흰색을 띠고 있으나 절패모와 같이 분홍빛깔을 띄는 것도 있으며 크기는 천, 신패모가 일반적인 1~1.5cms 다른 류의 패모보다는 작은 0.5cm의 직경을 가지고 있다. 형태는 대체적으로 강냉이와 같이 원형을 이루고 있으나 중간 부분에 조그만한 홈이 있다.
-------------------------------------------------------------
사진출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raphael님,
=============================================================================================================================
바로가기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패모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패모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히아신스 (0) | 2015.08.06 |
---|---|
중국패모 (0) | 2015.08.06 |
패모속 (0) | 2015.08.05 |
칠보치마 (0) | 2015.08.05 |
좁은잎밀나물 (0) | 201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