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애기나리
학명: Streptopus ovalis (Ohwi) F.T.Wang &Y.C.Tang var. ovalis
종코드(url_no): 33155 /이명: 진부애기나리 /영명: /꽃말: 청순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죽대아재비속
원산지: 한국,만주 /분포: 한국/중국 /서식: 높은 산골짜기나 산의 침엽수림 가 /크기: 높이 10~30cm
생약명:
다년생초본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cm 정도이다. 7~8월에 흰색 꽃이 가지 끝에 산형(繖形) 화서로 피고 열매는 검은 장과(漿果)를 맺는다. 약용하고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한국,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호생하고 엽병이 없고, 긴 난형으로 끝이 매우 뾰족하며, 밑은 심형으로 줄기를 감싸며 길이 2~5cm이다.
열매는 장과로 붉은색으로 익는다.
꽃은 4~6월에 연한 황백색으로 피고 자주색의 반점이 있으며 줄기 끝에 1~2개가 산형으로 달리고 소화경은 2cm 내외이다. 화피편은 6개이고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6개이고 화피 아래쪽에 붙고 화피보다 짧다. 꽃밥은 노란색이다.
줄기는 하나가 곧게 서고, 아래쪽은 막질의 엽초 모양으로 된 잎에 싸인다.
근경이 옆으로 길게 뻗고, 포복경을 낸다.
중국 / 한국(경기도 가평군, 포천시; 강원도 양구군, 양양군, 인제군, 정선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전라북도 무주군; 경상남도 산청군)
다년초이다.
높이는 10~30cm이다.
높은 산골짜기나 산의 침엽수림 가에 난다.
현재는 개체수 및 자생지가 풍부하다. 동반식생과의 경쟁 및 상층임분의 울폐로 서식지 환경악화가 우려된다.
특징
애기나리에 비하여 화피 끝이 뾰족하며, 뒤로 젖혀지고, 꽃잎에 자주색 반점이 있다.
잎과 줄기에 가시 돌기가 나타나고, 잎의 밑동은 줄기를 약간 감싼다.
열매는 약간 세모지고, 붉은색으로 익는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진부애기나리
동의어 금강애기나리 다른 표기 언어 陳富─
[내용]
학명은 Disporum ovale OHWI이다.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라지만 남부지방에서는 높은 산 침엽수림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다.
키는 30㎝ 정도 자라며 윗부분이 밑으로 처지고 가지가 갈라진다. 밑부분은 막질의 엽초(葉綃)로 싸였고 중앙 근처에서 5∼6매의 잎이 달리지만 가지가 갈라진 것은 보다 많은 잎이 달린다.
잎은 달걀모양 긴 타원형 또는 간혹 타원형이며 길이 5∼6㎝, 너비 2∼3.5㎝로서 옆으로 퍼지며 털이 없다. 뒷면 밑부분과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고 끝이 뾰족하여 밑에서는 원줄기를 감싼다. 엽맥은 뒷면에서 5∼7개가 튀어나오고 맥 사이에서 3∼5개의 작은 맥이 그물 모양을 만들었다.
꽃은 7∼8월에 피고 원줄기가 가지 끝에 1∼3개씩 산형(傘形)으로 달린다. 작은 꽃자루는 길이 2㎝ 또는 보다 길고 털이 없다. 화피열편은 피침형(披針形)이며 끝이 날카롭고 뒤로 젖혀졌다. 수술은 길이 4㎜, 꽃밥은 길이 1㎜이며 씨방은 둥글고 털이 없으며 황색점이 다소 있다. 지름 1.5㎜ 정도로서 3실에 각 2개씩의 배주(胚珠)가 들어 있다. 암술대는 씨방보다 길고 끝이 3개로 갈라져서 젖혀지고 장과(漿果)는 둥글고 검게 익는다.
죽대아재비와 비슷하지만 꽃이 가지 끝에 달리는 것이 다르고, 진부에서 처음 발견하였기에 진부애기나리라고 하였으나 금강애기나리라고도 한다.
=============================================================================================================================
야생화도감(봄)
금강애기나리
학명: Streptopus ovalis (Ohwi) F.T.Wang &Y.C.Tang var. ovalis
크기: 10~30cm /용도: 관상용 /개화시기: 4월~6월 /분포지: 한국
생육특성
금강애기나리는 지리산, 태백산, 오대산, 덕유산, 소백산, 한라산 등과 같은 고산지역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고산지역의 산등성이나 침엽수림 주변에 자생하며 부엽질과 습기가 많은 곳을 좋아한다. 키는 10~30㎝정도이며, 잎은 길이 2~5㎝이고 긴 난형으로 마주난다.
꽃은 연한 황백색으로 지름은 약 0.8~1.2㎝이고, 원줄기 윗부분의 가지 끝에서 통상 2~4개 정도가 달린다. 열매는 7~8월경에 둥글고 붉게 달린다. 잎의 모양으로 봐서는 둥굴레나 애기나리와 유사하기 때문에 주의 깊게 봐야 하며, 꽃이 피고 난 후 모습은 정확히 구분이 가능하다. 관상용으로 쓰인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7~8월경에 열리는 종자를 받아 바로 뿌리거나 가을에 뿌리를 포기나누기 한다.
관리법 :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 심고 양지 혹은 반그늘에 심는다.
금강애기나리 (야생화도감(봄), 2010. 4. 10., 푸른행복)
=============================================================================================================================
두산백과
진부애기나리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꽃은 7∼8월에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우산 모양으로 이루며 1∼3개씩 달린다.
학명: Disporum ovale
분포지역: 한국 ·중국 동북부 /서식장소/자생지: 깊은 산 /크기: 높이 25∼50cm
금강애기나리라고도 한다. 깊은 산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고, 줄기는 높이가 25∼50cm이며 가지가 갈라지고 윗부분이 옆으로 처진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6cm의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잎맥은 5∼7개이다.
잎 가장자리는 잎 뒷면 밑 부분과 함께 작은 돌기가 있고, 잎 밑 부분은 심장 모양이며 줄기를 감싼다. 줄기 아래쪽에 있는 잎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잎집이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7∼8월에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우산 모양으로 이루며 1∼3개씩 달린다. 화피 조각은 6개이고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뒤로 젖혀지며 노란빛이 도는 연한 녹색이고 붉은빛이 강한 자주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6개이고 길이가 4mm이며, 씨방은 둥글고 3실이며 털이 없고 모가 난 줄에 닭볏 같은 돌기가 있으며 황색 점이 있다. 암술대는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장과이고 둥글며 검은 색으로 익는다.
죽대아재비와 비슷하지만 꽃이 가지 끝에 달리는 것이 다르다. 진부에서 처음 채집하였기 때문에 진부애기나리라고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보주초(寶珠草)라는 약재로 쓰는데, 건위·소화 작용이 있고, 몸이 허약해서 일어나는 해수·천식에 사용한다. 한국·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진부애기나리 (두산백과)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학지님, 산과들님, 小花님, 심슨님, 태산님. 하늘금님, 쿠이/이윤도님,
=============================================================================================================================
바로가기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죽대아재비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금강애기나리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의무릇속 (0) | 2015.07.26 |
---|---|
흰금강애기나리 (0) | 2015.07.25 |
죽대아재비 (0) | 2015.07.22 |
죽대아재비속 (0) | 2015.07.22 |
접란 (0) | 2015.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