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용둥굴레
학 명: Polygonatum desoulavyi Kom.
종코드(url_no): 23764 /이 명: 금강용둥굴레, 조선용둥굴레, 안민용둥굴레 /영명: /꽃말:
분 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둥굴레속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서식: 산지 /크기: 높이 20-60㎝
생약명:
다년생초본
포가 작아서 꽃을 감싸지 못한다. 꽃자루가 용둥굴레와 같이 짧다. 퉁둥굴레는 꽃자루가 길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호생하고 2줄로 배열되며 좁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10㎝, 폭 2.5-4㎝로서 양끝이 좁으며 짧은 엽병이 있는 것도 있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다.
장과(종자가 육질의 과피속에 매몰되어 있는 열매)는 둥글며 흑감색으로 익는다.
꽃은 5-6월에 피며 엽액(잎의 겨드랑이)에 달리며 백녹색이고 길이 2.5㎝로서 털이 없다. 화경은 길이 1-2㎝로서 털이 없으며 소화경의 중·상부에 포가 달리고 포는 길이 1.5-3㎝, 폭 1-2.5㎝로서 안에 2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2-4㎜이다. 수술대는 편평하고 잔돌기가 있으며 꽃밥보다 약간 길고 꽃밥은 길이 5㎜이다.
굵은 근경이 뻗는다.
전국적으로 자란다.
다년생 초본이다.
높이 20-60㎝이다.
산지에서 자란다.
연한 순은 나물로 이용한다.
유사종
용둥글레, 목포용둥굴레
용둥굴레 : 포가 꽃을 충분히 감싼다.
안면용둥굴레 : 포가 작아서 꽃을 감싸지 못한다. 꽃자루가 용둥굴레와 같이 짧다. 퉁둥굴레는 꽃자루가 길다.
목포용둥굴레 : 잎 뒷면, 줄기, 포, 꽃자루에 유리조각같은 돌기가 있다. 포가 용둥굴레처럼 꽃을 감싼다.
특징
윗부분에 능각이 있으며 밑으로 처진다.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정법권님,
산석(山石) 님의 블로그 / http://blog.daum.net/comchobo/927
=============================================================================================================================
바로가기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둥굴레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안면용둥굴레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둥굴레 (0) | 2015.04.01 |
---|---|
무늬둥굴레 (0) | 2015.04.01 |
용둥굴레 (0) | 2015.03.31 |
목포용둥굴레 (0) | 2015.03.31 |
늦둥굴레 (0) | 201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