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팽나무
학 명: Celtis choseniana Nakai
종코드(url_no): 37447 /이 명: /영명: Choseniana Hackberry /꽃말:
분 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장미목 >느릅나무과 >팽나무속
원산지: 한국(특산식물) /분포: /서식: 산기슭 /크기: m
생약명:
낙엽활엽교목
느릅나뭇과에 속한 낙엽 교목. 활엽수이며, 잎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길다. 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긴 자루가 나와 꽃이 피며, 열매는 10월에 검게 익는다. 열매는 식용되며, 나무는 땔감이나 숯의 재료로 쓰인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황해, 경기, 충남 등지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과지(果枝)의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며 끝부분이 꼬리처럼 길거나 점첨두이고 밑부분은 좌우가 같지 않은 원저이며 길이 5-12cm, 너비 2.7-7cm로서 밑에 가까운 부분을 제외하고는 내곡거치(內曲遽齒)가 있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회백색이고 측맥은 3쌍이다. 엽병은 긴 가지의 것은 길이 13-23mm, 과지의 것은 길이 7-15mm이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며 길이 12mm, 지름 10mm이고 10월에 흑색으로 성숙하며 식용할 수 있으며 길이 2-2.5cm의 과경에 달린다.
꽃은 암수한그루로 5월에 개화한다.
소지에 피목이 있고 털이 없다.
한국(전라북도 부안군; 전라남도 여수시; 경상남도 거제시)
산기슭에서 자란다.
▶실생으로 번식한다. 종자채취후 과육을 제거한 다음 2-3개월 노천매장을 하였다가 파종한다.
결실기: 10월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정자목, 신탄재 등으로 이용된다.
▶열매는 식용한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유사종
▶섬팽나무(for. magnifica NAK.): 도란상 장타원형의 노목에서 길이 11㎝에 이르고 엽병의 길이가 15-16㎜에 달한다. 외나로도(外羅老島)에 난다.
▶둥근잎팽나무(for. rotundata NAK.): 잎이 둥글며 거의 절저이고 갑자기 끝이 뾰족해진다.제주도와 전남 해남등지에 난다.
▶노랑팽나무(C. edulis NAK.): 잎의 끝이 결각상으로 되고 열매가 노랗게 익는다.
▶자주팽나무(for.purpurascens NAK.): 어린 잎이 자주색에서 자록색으로 된다. 충무시에 자란다.
▶산팽나무(C. aurantiaca Nak.)
▶왕팽나무(C. koraiensis Nak.)
▶장수팽나무(C. cordifolia Nak.): 잎의 하반부에도 거치가 있고 잎이 둥글다.
왕팽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이 좀 길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뾰족한 것이 다르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검팽나무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둥글며 10월에 검게 익는다. 경상북도, 충청남도, 경기도, 황해도에서 자라는 특산종으로, 수직적으로는 높이 700m 이하의 산록에서 자란다.
학명: Celtis choseniana NAKAI
서식지·소재지: 경상북도, 충청남도, 경기도, 황해도
외형(크기|길이|높이): 높이 25m /출산·개화시기: 5월
학명은 Celtis choseniana NAKAI이다. 높이는 25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열매가 달린 가지의 잎은 계란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길이는 5∼12㎝이다. 잎 양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은 회백색이며 톱니는 안으로 굽었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둥글며 10월에 검게 익는다. 경상북도·충청남도·경기도·황해도에서 자라는 특산종으로, 수직적으로는 높이 700m 이하의 산록에서 자란다. 응달에서도 자라나 볕이 많은 곳에서 잘 자라며, 토심이 깊고 물 빠짐이 좋은 사질양토에서 잘 자란다.
가을에 익은 종자를 채종하여 2년간 노지매장하였다가 파종해야 발아하는 이중휴면성이 있다. 잎과 수형이 좋아서 마을 정자나무로 좋으며, 가로수나 공원수로 적당한 나무이다. 또한 염분이나 공해에도 강하므로 도시나 해변에서 잘 견딘다.
열매는 가을에 채취하여 생식한다. 목재는 당황백색으로 단단하다. 건축재·가구재·운동구·도마·절구 등으로 많이 이용된다.
참고문헌
•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이창복, 향문사, 1982)
• 『유용수목도설(有用樹木圖說)』(임미영, 성문당, 1969)
검팽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한솔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꿈마니님,
풀벼개 / http://wildgreen.co.kr/plant/222660 청암님, 곰배령님,
=============================================================================================================================
바로가기
느릅나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팽나무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검팽나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2. (4,903種중 651. 굴거리나무과 - 1317. 때죽나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팽나무 (0) | 2015.02.21 |
---|---|
노랑팽나무 (0) | 2015.02.21 |
팽나무속 (0) | 2015.02.21 |
시무나무 (0) | 2015.02.21 |
느티나무 (0) | 201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