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복사나무

호남인1 2015. 1. 18. 10:43

 

 

 

 

 

복사나무

학명: Prunus persica (L.) Batsch for. persica

 

 

 

 

 

 

 

이명: 복숭아나무, 복성아나무, 복사 /영명: Peach /꽃말: 사랑의 노예, 좋은 상품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 벚나무속

원산지: 중국 /분포: /서식: 전국의 촌락 부근 /크기: 높이 6m 정도

생약명: 종자, 根皮, 수피, 嫩枝(눈지-햇가지), 葉(엽), 花(화), 과실, 未熟果(미숙과), 樹脂(수지)를 약용한다.

 

낙엽활엽소교목

장미과에 속한 낙엽 소교목. 높이 3미터 정도로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백색이나 담홍색으로 피고, 열매는 7~8월에 붉게 익는데 부드럽고 맛이 좋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복사나무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7244&mn=KFS_28_01_02_01

 

 

 

 

-------------------------------------------------------------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도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점첨두, 넓은 예저이고 길이 7-15cm, 폭 2-3.5cm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잔톱니가 있다. 엽병은 길이 1-2cm로서 밀선이 있으며 처음에는 털이 있다. 

 

열매는 핵과로 난상 원형이며 털이 많고 지름 5cm 이상이며 8-9월에 등황색으로 성숙한다. 핵은 과육으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는다.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지름 2.5-3.3cm로서 연한 홍색이며 1-2개씩 달리고 화병이 짧다. 꽃받침잎은 난형으로 털이 많고, 꽃잎은 긴타원상 원형으로 수평으로 퍼지고 5개이며 수술은 많고 자방은 털이 밀생한다. 눈에 잘 띄는 상징적인 고향의 꽃이다. 

 

수피는 암홍갈색이고 소지에 털이 없으며 동아에 털이 있다. 

 

전국의 촌락 부근에 식재되어 왔다. 

양수로서 음지에서는 생장이 불량하고 내건성이 약하다. 내조성과 내한성이 강하여 중부 내륙지방에 심고 있으나 가끔 동해(凍害)를 받는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번식은 종자를 보호저장한 후 노천매장하였다가 파종한다.

▶복사나무를 종자로 증식시킨 실생묘를 대목으로 만첩백도, 홍도를 절접 또는 아접한다. 

결실기: 8월, 9월 

 

이용

▶열매는 식용한다.

▶조경가치 및 용도 : 정원에 식재하여 꽃과 열매를 감상한다.

 

 

 

 

 

생약명

종자, 根皮, 수피, 嫩枝(눈지-햇가지), 葉(엽), 花(화), 과실, 未熟果(미숙과), 樹脂(수지)를 약용한다.

 

⑴桃仁(도인) -

①성분 : 도인에는 amygdalin, 精油(정유), 脂肪油(지방유)를 함유하고 油(유) 중에는 주로 olein산 glycerin, 소량의 linol산 glycerin, 그 외에 emulsin 등도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破血(파혈), 行瘀(행어)하고 潤燥(윤조), 滑腸(골장)하는 효능이 있다. 무월경, 熱病蓄血(열병축혈), 遊走性(유주성) 관절류머티즘, 말라리아, 타박상, 瘀血腫痛(어혈종통), 血燥便秘(혈조변비)를 치료한다.

 

⑵桃根(도근) -

①성분 : 근피에는 d-catechol, galloylepicatechin, hesperetin-5-glucos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황달, 토혈, 鼻出血(비출혈), 월경폐지, 癰腫(옹종), 痔瘡(치창)을 치료한다.

 

⑶桃莖白皮(도경백피) -

①성분 : 수피에는 naringenin, aromadendrin, persicogenin, persicoside, melissin酸 methylester 및 β-sitosterol이 함유되어 있고 또 pyrocatechol도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水腫(수종), 사기(cholera樣의 심한 吐瀉症狀(토사증상))腹痛(복통), 肺熱(폐열)에 의한 喘悶(천민), 癰疽(옹저), 나력, 濕瘡(습창)을 치료한다.

 

⑷桃枝(도지) -

①성분 : 桃樹枝(도수지)에는 naringenin, aromadendrin, persicogenin, persicoside, hesperetin, salipurposide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心腹痛(심복통) 및 瘡(익창-벌레에 물림)을 치료한다.

 

⑸桃葉(도엽) -

①성분 : 도엽에는 glycoside, naringenin, quinic acid, licopen, tannin과 소량의 nitrile gly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祛風濕(거풍습), 淸熱(청열), 살충의 효능이 있다. 신경성두퉁, 두통, 遊走性(유주성)관절류머티즘, 말라리아, 濕疹(습진), 腫脹(종창), 癬瘡(선창)을 치료한다.

 

⑹桃花(도화) -

利水(이수), 活血(활혈), 通便(통변)의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脚氣(각기), 痰飮(담음), 積滯(적체), 大小便不利(대소변불리), 월경폐지를 치료한다.

 

⑺桃子(도자) -

生津(생진),潤腸(윤장),活血(활혈),消積(소적)의 효능이 있다.

 

⑻碧桃乾(벽도건) -

寢汗(침한), 遺精(유정), 膀胱疝氣(방광산기), 토혈, 말라리아, 胸腹部痛(흉복부통), 임신하혈을 치료한다. ⑼桃膠(도교) - 石淋(석림), 血淋(혈림), 이질을 치료한다. 

 

유사종

▶백도(for.alba schneider): 백색꽃이 핀다.

▶만첩백도(for.albo-plena schneider): 백도의 만첩이다.

▶만첩홍도(for. rubroplena) : 적색꽃이 만첩인 것.

▶바래복사(for.albescens): 붉은 빛이 도는 백색 비슷한 꽃이 핀다.

▶감복사(for.compressa): 감처럼 편평하다.

▶숭도(var.nectarina): 열매에 털이 없다.

▶용인복사(for.aganopersica): 핵이 잘 떨어지며 밑부분이 들어 가고 끝이 뾰족하며 둥글다.

▶홍도(for. rubro-plena schneider): 붉은 꽃이 겹으로 핀다.

▶풀또기(P. triloba var.truncata Kom.): 잎 끝이 셋 또는 결각상으로 갈라진다. 

 

약 2,000년전 경에 도입되었으며 맹아력이 좋다. 

 

 

 

 

 

 

=============================================================================================================================

 

위키백과

복숭아

 

 

학명: Prunus persica (L.) Batsch, 1801

 

복숭아(Prunus persica)는 장미과 벚나무속에 속하는 복사나무의 열매이다. 원산지는 중국이다. 복사나무는 복숭아나무라고도 부르며, 갈잎 작은키나무다. 대한민국에서 사과나무, 감나무, 귤나무, 포도나무에 이어 많이 기르는 과일 나무다.[1] 동양 미술에서 복숭아는 이상의 세계에서 자라는 나무의 과일로 묘사된다.

 

다른 종으로 흰 꽃이 피는 백도(Prunus persica for. alba Schneider)와 홍도(Prunus persica for. rubro-plena Schneider)가 있다.

 

개요[편집]

높이는 약 4.5-7.5m에 이르고 잎은 긴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초봄에 잎보다 먼저 피는 꽃은 연분홍빛이고 묵은 가지에서 핀다.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연평균 기온이 12-15℃의 범위의 건조한 지역에서 좋은 과일을 생산할 수 있다. 묘목은 늦가을 땅이 얼기 전에 심거나 봄에 땅이 풀리면 바로 심는다.

 

복숭아나무는 1년생 가지의 곁눈에 꽃눈과 잎눈이 겹으로 생긴다. 가지의 끝눈은 언제나 잎눈이며, 꽃눈은 열매만 맺는다. 다른 과수와 마찬가지로 열매솎기를 하는데, 제1회는 꽃이 핀 뒤 20-25일쯤에 하고, 제2회는 6월 중순쯤에 한다. 봉지씌우기는 늦은 품종에 한해서 열매솎기가 끝나면 바로 실시한다. 복숭아나무의 열매인 복숭아는 모양이 둥글고 빛깔이 다양한 식용 과일이다. 과육은 연하거나 매우 딱딱하며, 흰색, 불그스름한 색, 노란색 등을 띤다. 과일 한가운데에 들어 있는 씨는 단단하고 골이 패었다.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낙엽성 과수의 열매 중에서 사과와 배 다음으로 널리 소비된다

 

문화[편집]

• 한국에서 복숭아는 귀신을 쫓는 과일로 여겨지며, 제사상에도 올리지 않는다.[2]

조치원 복숭아 축제는 2003년부터 시작된 세종특별자치시의 지역축제로 매년 8월에 개최된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복숭아나무

 

 

장미과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과수. 높이는 6m 정도이고 작은 가지에 털이 없으며 동아(겨울눈)에 털이 있다.

 

학명: Prunus persica (L.) BATSCH

원산지: 중국 화북 산시성(陜西省), 간쑤성(甘肅省)

수명: 20∼30년

 

정의

장미과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과수.

 

내용

학명은 Prunus persica (L.) BATSCH이다. 높이는 6m 정도이고 작은 가지에 털이 없으며 동아(冬芽:겨울눈)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도피침형·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8∼15㎝, 너비 1.5∼3.5㎝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둔한 잔 톱니가 있다.

 

꽃은 연한 홍색으로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단단한 껍질이 씨앗을 감싸고 있는 열매)로서 난상 원형인데 8∼9월에 익는다.

 

원산지는 중국 화북의 산시성(陜西省)과 간쑤성(甘肅省)의 해발 600∼2,000m의 고원지대이며 기원전 2∼1세기경에 페르시아 지방에 전해졌고 거기에서 다시 유럽으로 전래되었다.

 

우리 나라의 남부에도 야생종이 있으나 대과종(大果種:큰 열매를 맺는 종자)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현재 재배되는 품종의 모계인 중국종과는 그 계통이 다른 종류가 자생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식용·약용·화목용으로 일찍부터 재배되어 왔다.

기원전 400∼250년의 ≪산해경 山海經≫에는 그 재배기술이 실려 있고, 10∼11세기에는 대과(大果)의 우수품종에 관한 기록이 있으며, 11∼12세기에는 유도(油桃)·황육도(黃肉桃)가 기록되어 있다.

17세기 이후의 문헌인 ≪군방보 群芳譜≫에는 편도(扁桃)·병자도(餠子桃) 등이 기록되어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약용·식용·화목용으로 재배해왔으나, 한말까지는 과실의 크기나 품질이 현재보다 뒤떨어졌고, 경제적인 품종과 기술은 한말 이후, 즉 서구문화의 도입과 함께 전래되었다.

 

1986년 현재 우리 나라의 총재배면적은 1만 4456㏊이고, 총생산량은 13만 8654t이다. 주생산지로는 경상북도의 대구·안동, 충청남도의 조치원·논산, 경기도의 부천·여주·이천, 경상남도의 사천, 전라북도의 전주 지역 등이다.

얼마 전까지는 소비지와 거리가 먼 원격지 생산은 꺼렸으나 도로사정이 좋아져서 수송이 용이해지면서부터는 지역에 관계 없이 전국적으로 재배가 확산되고 있다.

 

복숭아나무의 품종을 분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과피에 있는 털의 유무에 따라 유모종·무모종으로 나누며, 과육의 색에 따라 황육종과 백육종으로 나눈다. 또한, 품종육성의 경로, 재배연혁, 품종적응성 등에 따라서 유럽계 품종, 화북계 품종으로 나누기도 한다.

우리 나라의 주요 재배품종으로는 조생종으로 포목조생(布目早生)·사자조생(砂子早生)·창방조생(倉方早生)·대화조생(大和早生) 등이 있으며, 중생종으로 고창(高倉)·백봉(白鳳)·유명백도·대구보(大久保)·백도 등이 있다. 가공용으로는 카디날·황도1호·엠버젬 등이 있고 유도로는 흥진유도(興津油桃)가 있다.

 

복숭아나무는 고온다습한 조건에서는 결실불량·병충해발생 등의 문제가 많이 생기므로, 연평균기온이 11∼15℃ 되는 지방에서 널리 재배된다. 최적의 생육조건은 20∼30℃의 온난기후이므로 경제적 재배의 북쪽 한계선은 여름철 저온에 의해 결정되며, 보통 감 재배의 북방 한계선인 42°와 일치한다.

동양계 복숭아는 여름철의 고온다습 조건도 어느 정도 견디나 유럽계통은 생육기간 중에 비가 많으면 수체(樹體)가 약해져서 결실이 불량해진다.

 

토양은 배수성을 고려하여 남향·남동향·남서향의 완경사지(緩傾斜地)가 좋다. 내건성은 상당히 강하며 번식은 3월 초∼4월 초에 절접, 8월 초에 아접을 실시한다. 대목으로는 실생표목·돌복숭아나무·자두나무·매화나무·살구나무 등을 쓴다.

재식거리는 품종이나 토양비옥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보통 7×8m로 하며 정방형식·5점형식 등을 이용한다. 복숭아나무 품종 중 자가불화합성의 품종을 재식할 때는 20∼30%의 수분수를 혼식해야 한다.

 

복숭아나무는 재식한 뒤 2, 3년째부터 결실을 시작하여 6∼7년째 성과기가 되며, 20∼30년이 되면 수명이 다한다. 그러므로 유목일 때에는 약전정을 하고 성과기 이후에는 강전정을 해서 수세 조절에 힘써야 한다.

복숭아나무와 복숭아는 귀신을 쫓는다고 믿어왔다. 따라서 집안에 복숭아나무를 심는 것을 금기하였으며, 제상에도 복숭아를 올리지 않았다. 이것은 조상신이 찾아와도 복숭아가 지닌 축귀의 힘 때문에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제사 올린 것도 응감(應感)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복숭아가지 중 동쪽으로 뻗은 가지(東桃枝)는 더욱 힘이 강한 것으로 믿었으며, 귀신 뿐 아니라 부정한 것의 접근 또는 음식의 맛이 나빠지는 것도 막아 준다고 믿었다. ≪규합총서 閨閤叢書≫의 소국주방문에도 술을 담근 뒤 동도지로 저어 술맛이 나빠지는 것을 막고 있다.

 

한편, 복숭아는 <서왕모와 천도복숭아>라는 설화에 기인하여 장수를 의미하는 기복적 민화의 소재가 되기도 했으며 남자아이를 상징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 『규합총서』

• 『신고과수원예각론』(이광연 외, 향문사, 1978)

•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1982)

• 『낙엽과수재배각론』(김성복 외, 선진문화사, 1982)

 

복숭아나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우리 산야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상)

복숭아나무

[ 桃仁 ]

 

 

학명: Prunus persica Batsch

용도: 식용, 약용(씨, 열매)

분포지: 한국

꽃말: 사랑의 노예, 좋은 상품

 

1) 특징

ㆍ 복숭아는 복숭아 나무의 열매이다.ㆍ 낙엽활엽소교목으로 잎은 길이 8~15cm로서 어긋나기를 하고 끝은 뾰족하며 뭉뚝한 톱니가 있다.ㆍ 꽃은 담홍색으로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단립 또는 쌍생한다. 화경은 짧고 꽃잎은 5개이며 씨방에는 털이 나 있다.ㆍ

 

계란형인 열매는 핵과(1)로 크고 털이 빽빽이 나 있으며 7~8월에 익는다. 종자 속의 종인을 도인이라 하며 꽃을 백도화라고 한다

 

* 핵과(1) : 장과(漿果)의 하나. 씨가 굳어서 된 단단한 핵으로 싸여 있는 열매로, 외과피는 얇고 중과피는 살과 물기가 많다. 복숭아, 살구, 앵두 따위가 있다. 보통 하나의 방에 한 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2) 약용법

1. 생약명 : 도인(桃仁)2. 사용부위 : 씨와 열매를 약재로 이용한다.3. 채취와 조제 :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사용한다.4. 성분 : 꽃에는 캠페롤(Kaempferol)의 배당체, 종자에는 에뮬신(emulsin), 아미그달린(amygdaline), 아미노산, 지방유, 수피에는 나린젠닌(naringenin)이 함유되어 있다.5. 약효ㆍ 월경이 나오지 않는 증세, 자궁혈종, 맹장염ㆍ 백도화는 이뇨, 준하제, 수종, 변비증에, 도인은 소염성 정혈약, 월경불순, 하복부만통에 치료제로 쓴다. 잎은 습진, 종기 같은 질환에 쓴다.6. 용법 : 복숭아 잎을 3~4장을 따서 물에 씻은 후 물기를 뺀 다음 잘게 잘라 용기에 넣고 갈아 으깬 다음 같은 양의 멘소레담을 넣고 잘 섞어 준다. 이 약을 가려운 부분에 바르면 효과가 좋다.

 

3) 꽃 이야기

옛날 중국의 한무제(漢武帝)는 복숭아를 좋아해서 뒤뜰에 많은 복숭아나무를 심어 놓고 봄에는 꽃을 즐기고 여름에는 그 열매를 즐겼는데, 어느 해 때가 되어도 복숭아가 열리지 않아 동방삭에게 그 이유를 물은 즉, “그것은 장차 서왕모가 천도를 가지고 올 징조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그 후 과연 서왕모는 잘 익은 복숭아 30개를 가져왔는데 동방삭이 몰래 3개를 훔쳐 먹어 천 년을 더 살 수 있었다고 한다.

 

복숭아나무 [桃仁] (우리 산야에 자생하는 약용식물(상), 2008.4.22, 푸른행복)

 

 

 

 

 

=============================================================================================================================

 

몸에 좋은 산야초

복숭아나무

 

 

학명: Prunus persica BATSCH

생약명: 도인(桃仁), 도핵인(桃核仁)

개화기: 4월중

 

1. 특징

곳곳에서 과일나무로 심고 있는 낙엽활엽수이며 높이는 6m에 이른다.잔가지에는 털이 없지만 겨울눈(冬芽)에는 털이 생겨나 있다.잎은 마디마다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고 있으며 피침 꼴 또는 타원 꼴에 가까운 피침 꼴의 모습으로 양끝이 뾰족하다. 잎의 길이는 8~15cm 정도이고 가장자리에는 작고 무딘 톱니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꽃은 잎보다 앞서서 잔가지의 잎이 붙어 있던 자리에서 1~2송이씩 피어난다. 꽃잎은 5장이고 연한 분홍빛으로 피어나며 지름이 3cm쯤 된다. 지름이 6cm 안팎인 열매는 계란 꼴에 가까운 둥근꼴로 많은 잔털로 덮여 있다. 씨와 살(果肉)이 잘 떨어지지 않는 성질이 있다. 개량된 많은 품종들이 있다.

 

2. 분포

중국의 황하 상류지역을 원산지로 하는 나무로 예로부터 과일나무로 널리 심어왔다.

 

3. 약용법

생약명: 도인(桃仁). 도핵인(桃核仁)이라고도 한다.

 

사용부위: 씨를 약재로 쓴다.

채취와 조제: 잘 익은 열매에서 씨를 분리하여 햇볕에 말린 다음 물에 넣어 씨의 껍데기를 불려서 제거하고 다시 말려서 쓴다.

성분: 벤잘데하이드(Benzaldehyde), 코우마린(Coumarin), 말릭산(Malic acid), 아미그달린(Amygdalin), 트리폴린(Trifoli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통경 효능이 있고 어혈을 풀어주며 장의 활동을 순조롭게 해준다. 적용질환은 월경불순, 월경이 나오지 않는 증세, 자궁혈종, 어혈로 인한 복통, 맹장염, 변비 등이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2~4g씩 200cc의 물로 뭉근하게 달이거나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복숭아나무 (몸에 좋은 산야초, 2009.11.15, (주)넥서스)

 

 

 

 

=============================================================================================================================

사진출처

 

http://koreaarttv.com/print_paper.php?number=3523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딤아님, 신동호님,

오똑이 (kalsanja) 님,의 블로그 / http://blog.naver.com/kalsanja/50183017990

 

 

=============================================================================================================================

바로가기

 

장미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벚나무 | 식물도감(植物圖鑑)

복사나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복숭아 (복사나무) - 복사골과 효능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복사  (0) 2015.01.18
산복사나무  (0) 2015.01.18
털벚나무  (0) 2015.01.18
제주벚나무  (0) 2015.01.18
잔털벚나무  (0) 201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