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근잎섬쥐똥나무
학명: Ligustrum foliosum f. ovale Nakai
이명: 둥근잎쥐똥나무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쥐똥나무속
원산지: 한국 /분포: 울릉도 /서식: 산야 /크기: 높이 1-3m
생약명:
낙엽활엽관목
잎은 마주나며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밋밋하며 뒷면의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피며 겹총상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길이 약 6mm의 달걀 모양이며 10월에 검게 익는다. 가지치기가 잘 되어 조경수나 울타리용으로 많이 심는다. 실생이나 꺾꽂이로 번식한다. 한국 특산종으로 울릉도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끝이 매우 뽀족하며 길이 1-6cm, 폭 7-30mm로서 톱니가 없고 표면은 털이 없으나 뒷면 맥위에는 잔털이 있다.
열매는 난상 원형이고 길이 6-7mm로서 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꽃은 6월에 피며 어린 가지 끝의 복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이 거의 없으며 화서는 길이 8cm정도로서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고 잎 같은 포가 있다. 꽃받침잎은 술잔모양이며 길이 1-1.5mm로서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고 화관은 길이 6mm이며 통부는 길이 3-4mm이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꽃밥과 열편과 길이가 거의 같다.
높이 1-3m이고 어린 가지에 털이 없거나 잔털이 약간 있다.
울릉도에서 자란다.
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결실기: 10월
유사종
섬쥐똥나무
잎이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인 섬쥐똥나무
=============================================================================================================================
두산백과
둥근잎섬쥐똥나무
쌍떡잎식물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관목.
학명: Ligustrum foliosum for. ovale
분포지역: 울릉도
서식장소/자생지: 산이나 들의 양지바른 곳
크기: 높이 1∼3m, 열매길이 약 6mm
산이나 들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높이는 1∼3m이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고 밋밋하며 뒷면의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피며 겹총상꽃차례로 달린다. 화관(花冠)은 길이 6mm 정도이며 꽃밥의 길이는 꽃잎의 길이와 같다.열매는 길이 약 6mm의 달걀 모양이며 10월에 검게 익는다.
가지치기가 잘 되어 조경수나 울타리용으로 많이 심는다. 실생이나 꺾꽂이로 번식한다. 한국 특산종으로 울릉도에 분포한다.
둥근잎섬쥐똥나무 (두산백과)
=============================================================================================================================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둥근잎섬쥐똥나무
영어음역 Dunggeunipseomjwittongnamu
영어의미역 Syringa Venosa
이칭/별칭 검정알나무
지역 경상북도 울릉군
시대 시대구분 없음
집필자 신현탁
성격 낙엽관목|특산식물
학명 Ligustrum foliosum Nakai for. ovale Nakai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종자식물문〉쌍자엽식물강〉용담목〉물푸레나무과〉쥐똥나무속
원산지 한국
자생지역/재배지역 울릉도
높이 2~3m
개화기 4~6월
결실기 9~11월
[정의]
경상북도 울릉군에 서식하고 있는 쌍떡잎식물 용담목물푸레나무과의 낙엽관목.
[개설]
전세계적으로 약 50종의 쥐똥나무가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현재 10종 정도의 쥐똥나무가 생육하고 있다. 쥐똥나무는 북한에서 검정알나무라고 불렀으며, 이름은 겨울철 열매를 멀리서 보면 쥐똥처럼 생긴데서 유래하고 있다.
[형태]
둥근잎섬쥐똥나무는 수형이 타원형의 형태를 띄고 있으며, 수고는 2~3m 정도이며 낙엽활엽관목으로 울릉도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다. 섬쥐똥나무의 품종으로 잎이 달걀형을 띠고 있으며, 열매가 검정색으로 익는다.
[생태]
쥐똥나무는 우리나라의 산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낙엽성관목으로 뿌리에서 여러개의 줄기가 나고 다시 여러개의 잔가지를 형성하고 있다. 이렇게 생긴 잔가지에 달걀형의 잎이 두장씩 마주보고 있는 모양을 하며 잎의 길이는 2㎝ 정도지만 가지 끝에는 커다란 잎이 5㎝ 까지 자란다.
꽃은 봄이 가고 여름이 시작되는 문턱에 유백색의 꽃송이가 피며 좋은 꽃과 향기를 가지고 있다. 흰색의 꽃에서는 아주 진한 향기가 나며, 끝이 십자모양으로 갈라진 초롱같이 생겼다. 길이가 2~3㎜로 아주 작으며 여러 송이의 꽃이 원뿔모양의 꽃차례를 이루면서 피어난다. 가을이 되면서 꽃이 떨어진 자리에 둥근 열매가 검은 색으로 익는데 일부 열매는 떨어지고 일부는 잎이 모두 떨어진 다음에 마른가지 위에서 겨울을 나기도 한다.
[역사적 관련사항]
둥근잎섬쥐똥나무는 일본인 나카이(Nakai)가 처음 발견하여, 일본의 학회에 보고하였으며, 그 후 계속된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울릉도에만 살고 있는 특산식물로 밝혀졌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쥐똥나무는 북한에서 열매를 차 대용으로 먹었으며, 생약명으로 수랍과라고 한다. 채취하여 햇볕에 말렸다가 물에 넣고 달여 복용하며 주로 강장, 지혈, 지한에 효능이 있고 신체허약증, 식은땀, 유정, 토혈, 혈변 등에 처방한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
바로가기
물푸레나무과(Ole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쥐똥나무속 | 珍島의 植物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광나무 (0) | 2014.12.05 |
---|---|
산동쥐똥나무 (0) | 2014.12.04 |
섬쥐똥나무 (0) | 2014.12.04 |
좀털쥐똥나무 (0) | 2014.12.04 |
긴잎이팝나무 (0) | 201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