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죽도과
과명: Apocynaceae
분류: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용담목 > 협죽도과
협죽도과[夾竹桃科]
쌍떡잎식물 통꽃류에 속한 과. 대부분 상록 관목 식물이지만 덩굴성 및 초본류(草本類)도 있다. 상처를 내면 하얀 즙액이 나온다. 잎은 마주 달리거나 돌려나고 간혹 어긋나게 달리는 것이 있다. 꽃은 양성이고 방사 대칭이며, 종자는 대개 배젖이 있다. 열대와 아열대에서 많이 자라며 300속 1,300종으로 구성되고, 우리나라에는 협죽도, 마삭줄, 정향풀 따위의 3속 4종이 분포한다.
브리태니커
협죽도 (Nerium oleander L.)
브리태니커
협죽도과 [Apocynaceae]
용담목(龍膽目 Gentianales)에 속하는 꽃피는식물의 한 과.
약 150속(屬) 이상, 1,000여 종(種)의 교목, 관목, 목본성 덩굴, 풀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세계의 열대·아열대 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이 과의 식물들에는 대개 독성이 있는 유액이 있다. 잎가장자리는 매끄럽고, 꽃은 무리지어 피는데 1송이씩 달리기도 한다. 열매는 장과(漿果)나 육질과(肉質果)와 비슷하지만 보통 골돌(蓇葖)로 성숙하는데 봉선을 따라 벌어져 날개나 술이 달린 씨가 산포된다.
관상용 식물로는 빙카속(Vinca)의 빈카, 협죽도류, 테베티아속(Thevetia), 플루메리아속(Plumeria), 카리사속(Carissa), 타베르나이몬타나 코로나리아(Tabernaemontana coronaria) 등이 있다.
마삭덩굴속(Trachelospermum), 특히 당마삭줄(T. jasminoides), 만데빌라속(Mandevilla), 알라만다속(Allamanda)의 여러 종들은 매력적인 목본 덩굴들이다.
개정향풀속(Apocynum)·정향풀속(Amsonia) 등도 흔히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아데니움속(Adenium)·파키포디움속(Pachypodium)은 아프리카의 다육식물로 잎이 어긋나며 기괴한 모양의 줄기를 갖는다. 아데니움 물티플로룸(Adenium multiflorum)은 별 모양의 꽃과 커다란 땅속덩이줄기를 갖는 관상용 관목이다.
협죽도과의 많은 식물에서 화살촉에 바르는 독을 얻을 수 있으며, 스트로판투스속 (Strophanthus)과 라우월피아속 (Rauwolfia) 식물이 갖는 독성 알칼로이드는 의약품으로도 이용된다.
출처: 식물 | 브리태니커
흰협죽도 (Nerium indicum for. leucanthum Makino)
다육식물도감
협죽도과[Apocynaceae]
생물학적 분류
계 : 식물계(Plantae)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목 : 용담목(Gentianales)
특징
쌍자엽식물(雙子葉植物, Dicotyledonae)1), 합판화(合瓣花)2)의 한 무리로 비교적 큰 그룹이며, 식물체는 유관(乳管)이 발달하고 상처가 나면 흰 유액이 흐르는 것이 많다. 많은 재배관상식물이 포함되고,
또 알칼로이드3)를 함유한 종(種)도 많다. 현재까지 수 십 속(屬), 200종(種) 이상에서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있다고 보고되고 있고, 그중에는 스트로판서스(Strophanthus)와 라우보르피아(Rauvolfia) 등 약용으로서 중요한 것과 화살 독으로서 이용되는 것도 있다.
강한 수피(樹皮)의 섬유를 이용하는 것, 수액(유액)에서 껌(치클)을 채집하는 다이에라 속[Dyera Hook. f.] 등 유용식물도 있고, 고목으로 되는 것에는 가벼운 재질의 목재를 생산하는 알스토니아 속[Alstonia R. Br.]도 있다.잎은 보통 대생(對生) 또는 윤생(輪生, whorled)4)하지만 호생(互生)하는 것도 있고, 단엽으로 전부 전연(全緣)인 것도 있다. 탁엽(托葉)은 통상 없으나 드물게 있는 것도 있다.
꽃은 완전화로 방사상칭형(放射狀稱形, actinomorphic)5), 꽃받침은 5개 또는 4개, 통상(筒狀)으로 합생하고, 꽃잎도 5개 또는 4개로 기부(基部)는 합생하고, 통상(筒狀)의 합판화(合瓣花, gamopetalous flower)6)로 된다. 이 통상부의 입구가장자리 부분에는 가늘게 갈라진 잎 모양의 부속체를 가진 것이 많다. 봉오리 때에는 화관편은 포개져서 감겨져 합쳐져 있고, 개화하면 루두상(漏斗狀, funnel form)7)에서 부터 거의 수평까지 화관열편부(花冠裂片部)는 개출(開出) 하는 일이 많다.
수술은 4~5개로, 화관열편에 호생(互生)하고 화사(花絲)는 화통부에 합착한다. 자방(子房, ovary)은 상위로 대부분은 2개의 심피로부터 되고, 2실 또는 1실이고, 배주(胚珠, ovule)8)는 2∼다수로 측벽태좌(側壁胎座, pairetal placentation)9) 또는 중축태좌로 달린다.
열매는 장과상(漿果狀)으로 열개(裂開)하지 않는 것부터 삭과(蒴果)10) 또는 대과(袋果)11)로 2개의 각이진 분과(分果)로 나누어져 벌어지는 것까지 있다. 씨는 편평한 것이 많다. 씨는 배유(胚乳)12)를 가지며, 때때로 바람에 날려 산포하는 것은 긴 털이나 날개가 있다.
[분류 및 분포]
약 200속(屬) 2000여 종(種) 정도 되며, 열대를 중심으로 온대에도 소수의 종이 분포하고 초본이나 관목(灌木)에서부터 교목(喬木)과 덩굴성식물까지 식물형은 다양하다. 또 일부는 다육화하는 것도 있다. 대생하는 전연(全緣, entire)13)의 잎, 유액을 가진 것, 꽃과 열매의 구조 등으로부터 이 과는 박주가리과(Asclepidaceae)에 매우 근연한 것이다. 그러나 박주가리과는 기본적으로 초본인 것에 대하여 협죽도과(Apocynaceae)에는 목본성의 것이 많고, 수술의 화사(花絲)14)는 이생(離生)하고, 화분이 덩어리모양으로 집합하지만 화주(花柱)15)가 1개로 되는 것으로 구별된다. 아름답고 육질성의 화관(花冠)을 가진 종(種)이 많으므로 적도지역의 열대나 온대의 정원의 관상용이나 가로수용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또 온실식물로서도 중요하다.
출처: 협죽도과 [Apocynaceae] (다육식물도감, 2012.12.25, 아카데미서적)
국내서식 협죽도과(Apocynaceae) 5속 바로가기
개정향풀속 (Trachomitum) 1종
마삭줄속 (Trachelospermum) 3종
수궁초속 (Apocynum) 1종
정향풀속 (Amsonia) 1종
협죽도속 (Nerium) 4종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 (Siebold &Zucc.) Nakai var. asiaticum)
국내서식 협죽도과(Apocynaceae) 5속의 종 바로가기
개정향풀속 (Trachomitum) 1종
개정향풀 (Trachomitum lancifolium (Russanov) Pobed.)
개정향풀 (Trachomitum lancifolium (Russanov) Pobed.)
마삭줄속 (Trachelospermum) 3종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 (Siebold &Zucc.) Nakai var. asiaticum)
백화등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majus (Nakai) Ohwi)
털마삭줄 (Trachelospermum jasminoides var. pubescens Makino)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 (Siebold &Zucc.) Nakai var. asiaticum)
수궁초속 (Apocynum) 1종
수궁초 (Apocynum cannabinum L.)
수궁초 (Apocynum cannabinum L.)
정향풀속 (Amsonia) 1종
정향풀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Schult.)
정향풀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Schult.)
협죽도속 (Nerium) 4종
노랑협죽도 (Nerium indicum for. lutescens Makino)
만첩협죽도 (Nerium indicum for. plenum Makino)
협죽도 (Nerium oleander L.)
흰협죽도 (Nerium indicum for. leucanthum Makino)
협죽도 (Nerium oleander L.)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백화등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majus (Nakai) Ohwi)
ㅅ
♬~ 나비야 청산가자 / 김용림♬~
----------------------------------------------------
용담목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7. (4,903種중 4204. 쥐손이풀과 - 4901. 흑삼릉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죽도 (0) | 2014.11.16 |
---|---|
협죽도속 (0) | 2014.11.16 |
용담목 (0) | 2014.11.15 |
大韓民國 植物目錄 7. - 4,903種중 (4204. 쥐손이풀과 - 4901. 흑삼릉과) (0) | 2014.11.15 |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0) | 2014.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