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이삭여뀌
학명: Persicaria taquetii (H.Lev.) Koidz.
이명: 좀겨이삭, 겨여뀌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라산 해발 800m 근처 /서식: 습지 /크기: 높이 20-40cm
생약명:
1년생초본
마디풀과에 속한 한해살이풀. 높이 30~40센티미터이며, 줄기는 가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8~9월에 담홍색 꽃이 수상 꽃차례로 핀다. 높은 산의 습지에서 자란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2-5cm, 폭 3-7mm로서 양끝이 좁으며 엽병이 거의 없고 양면에 복모가 있거나 없다. 엽초 모양의 탁엽은 길이 3-8mm로서 연한 녹색이며 이와 비슷한 길이의 연모(緣毛)와 짧은 복모가 있으며 식물체가 마르면 녹색으로 된다.
열매는 수과로서 세모진 난형 또는 렌즈형이고 진한 갈색이며 길이 1.5-1.7mm이고 광택이 난다.
꽃은 9-11월에 피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수상화서는 길이 2-4cm로서 밑부분이 흔히 갈라지며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은 연한 녹색에 연홍색을 띠고 길이 1.5-2mm이다.
높이 20-40cm이며 밑부분의 줄기가 옆으로 기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한라산 해발 800m 근처에서 자란다.
1년생 초본으로 한라산의 습지에서 자란다.
유사종
▶이삭여뀌(P. filiforme): 전체에 거친 털이 퍼져 나고, 마디가 굵다. 잎 양면에 털이 있으며 표면에 검은색 반점이 있다.
▶며느리배꼽(P. perfoliata): 잎은 삼각형, 뒷면이 흰 가루로 덮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줄기와 함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다.
▶미꾸리낚시(P. sieboldii): 털은 없으나 갈고리 모양의 가시가 있고,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에 두상으로 달린다.
▶쪽(P. tinctoria): 거의 털은 없고 줄기는 원통 모양, 붉은 자주색이다
특징
꽃이 작아서 겨이삭여뀌라고 한다.
겨이삭여뀌
두산백과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
학명: Persicaria taquetii
분포지역: 한국(제주)서식장소/자생지: 높은 산의 습지
크기: 높이 30∼40cm
높은 산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밑부분이 옆으로 기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높이는 30∼4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짧으며 줄 모양 또는 바소꼴로 양 끝이 뾰족하다. 잎 길이는 2∼5cm, 나비 3∼7mm로 털이 있거나 없는 것이 있으며 잎집 모양의 턱잎은 연한 녹색으로 길이 3∼6mm이다.
꽃은 8∼9월에 수상꽃차례[穗狀花序]로 핀다. 꽃이삭은 가지 끝에 달리고 밑쪽이 흔히 갈라지며 밑으로 처지고 담홍색 꽃이 달린다. 꽃대는 실 모양이고 꽃받침은 다섯 조각으로 갈라지며 꽃잎은 없다. 수술이 5개, 암술대는 3개이고 씨방은 타원형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갈색의 세모진 달걀 모양이다.
한국의 제주도(한라산)에 분포한다.
출처: 겨이삭여뀌 (두산백과)
사진출처
http://plants.minibird.jp/hydrophytes/plants/shissei/na_gyou/nukaboTade/nukaboTade.html
마디풀과(Polygon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여뀌속 (Persicaria) | 식물도감(植物圖鑑)
겨이삭여뀌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들겨이삭여뀌 (0) | 2014.11.13 |
---|---|
만주겨이삭여뀌 (0) | 2014.11.13 |
새이삭여뀌 (0) | 2014.11.12 |
가는여뀌 (0) | 2014.11.12 |
히말라야여뀌 (0) | 201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