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는여뀌
학명: Persicaria hydropiper var. fastigiatum Nakai
이명: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
원산지: 한국 /분포: 분반구의 온대 및 난대지방 /서식: 습지 또는 시냇가 /크기: 높이 40-80cm
생약명: 위장염, 혈뇨증(血尿症)에 쓰이며, 전초(全草)는 민간에서 해열, 이뇨에 쓰인다.
다년생초본
잎은 가늘며 엽병이 없고 호생하며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잔선점이 밀생하고 녹색이며 씹으면 맵다. 초상의 탁엽은 막질이고 가장자리에 길이 1-5mm의 털이 있으며 속에서 짧은 화서가 나오기도 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가늘며 엽병이 없고 호생하며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3-12cm, 폭 1-3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잔선점이 밀생하고 녹색이며 씹으면 맵다. 초상의 탁엽은 막질이고 가장자리에 길이 1-5mm의 털이 있으며 속에서 짧은 화서가 나오기도 한다.
수과는 흑색이며 편난형이고 잔점이 있으며 길이 1.5mm로서 꽃받침에 싸여 있다.
꽃은 6-9월에 피고 백색의 수상화서는 길이 5-10cm로서 밑으로 처지며 가늘고 길며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정생한다. 소포는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잘고 성기게 나며 화피는 연한 녹색이고 끝이 약간 적색이며 선점(腺點)이 있고 길이 2.5-4mm로서 4-5개로 깊게 갈라진다.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6개, 암술대는 2개이고 자방은 타원형이다.
높이 40-80cm이고 전체에 거의 털이 없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분반구의 온대 및 난대지방에서 분포한다.
다년생 초본으로 습지 또는 시냇가 에서 자란다.
위장염, 혈뇨증(血尿症)에 쓰이며, 전초(全草)는 민간에서 해열, 이뇨에 쓰인다. 잎과 줄기에서 즙을 내어 고기잡이에 사용하고, 어린순은 식용한다.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주흘(바라아제)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조pd님,
야고보님의 블로그 / http://blog.daum.net/jacobusj/495
구람 (skyhighdim)님의 블로그 / http://blog.naver.com/skyhighdim/30176449487
청나래님 / http://cafe.daum.net/ManforWF/3w2M/4383?q=%B0%A1%B4%C2%BF%A9%B2%EE&re=1
마디풀과(Polygon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여뀌속 (Persicaria) | 식물도감(植物圖鑑)
가는여뀌 - 포토 | 한국미인( 韓國美人)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이삭여뀌 (0) | 2014.11.13 |
---|---|
새이삭여뀌 (0) | 2014.11.12 |
히말라야여뀌 (0) | 2014.11.12 |
털미꾸리낚시 (0) | 2014.11.12 |
좁은잎미꾸리낚시 (0) | 201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