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애기수영

호남인1 2014. 11. 4. 22:16

 

 

 

 

 

애기수영

학명: Rumex acetosella L.

 

이명: 애기괴싱아 /영명: Sheep Sorrel, Red Sorrel, Common Sorrel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소리쟁이속

원산지: 유럽 /분포: 한국(중부 이남의 지역), 유럽지방/서식: 길가나 풀밭 /크기: 높이 20-50cm

생약명: 根(근)은 酸模(산모), 잎은 酸模葉(산모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

마디풀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줄기가 나오며 높이는 20~50센티미터이다. 잎은 줄기에서 어긋나고 뿌리잎처럼 생겼다. 5~6월에 붉은빛을 띤 녹색 꽃이 줄기 끝에서 피며 열매는 타원형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애기수영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5946&mn=KFS_28_01_02_01

 

 

-------------------------------------------------------------

근생엽은 총생하며 엽병이 길고 창모양이고 톱니는 없으며 길이3-6cm, 폭1-2cm로서 예두 또는 둔두이고 귀같은 돌기가 좌우로 퍼진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기부가 창검같으며 질이 연약하고 줄기를 둘러싼 탁엽이 있다. 

 

열매는 타원형의 수과로 3개의 능선이 있고, 갈색을 띠며, 광택은 없다. 

 

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달리는 원추화서의 가지에서 윤생하며 짧은 녹갈색의 화경이 있다. 꽃받침잎은 6장이고 꽃잎은 없으며 수꽃에 수술이 6개, 지름이 3mm이고, 암꽃에 암술대가 3개이며 잘게 갈라진 암술머리가 있으며, 꽃받침이 자라지 않는다. 

 

높이 20-5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서며, 세로로 능선이 있고, 적자색이다. 잎과 함께 신맛이 난다. 

근경이 뻗으면서 왕성하게 번식하며 털이 없으나 털같은 돌기가 있다. 

 

유럽이 원산으로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들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종자로 번식한다. 

▶어린 잎은 식용한다.

 

 

생약명

根(근)은 酸模(산모), 잎은 酸模葉(산모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酸模(산모)

①여름~가을철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根(근)에는 tannin 7.6%-27.5%, chrysophanein 19.3mg% 및 hyperin이 함유되어 있고 과실은 quercetin과 hyper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利尿(이뇨), 凉熱(양열), 살충의 효능이 있다. 熱痢(열리), 淋病(임병), 소변불통, 尿閉(뇨폐), 토혈, 惡瘡(악창), 疥癬(개선)을 다스린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하거나 짓찧어서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⑵酸模葉(산모엽)

①성분 : 잎에는 vitexin, hyperin, violaxanthin 및 비타민 C 63mg%, tannin 17.3-36.7%가 함유되어 있고 莖葉(경엽)에는 수산칼슘, 주석산이 함유되어 있다. 신선한 것에는 수산 0.82%, 탄산칼륨 63%, 비타민 C 86-108mg%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외용하면 瘡腫(창종), 瘡毒(창독)을 消(소)하는 효능이 있다. 疥癬(개선)을 치료한다. 

 

유사종

▶수영(R. acetosa): 땅속줄기는 약간 크고, 줄기에 능선이 있다. 잎은 긴 창모양, 잎자루는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토대황(R. aquaticus): 잎은 긴 타원상 난형, 긴 삼각형,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소리쟁이(R. japonicus): 뿌리는 비후하고, 잎은 타원형,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굴곡, 약간의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짧다.

▶호대황(R. gmelini): 잎 뒷면 맥에 흰색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잔돌기가 있어 거칠며, 잎자루는 길다. 

 

특징

수영과 비슷하지만 작기 때문에 애기수영이라고 한다. 

 

 

 

 

두산백과

애기수영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애기수영유럽 원산의 귀화식물로 길가나 빈터에서 자란다. 수영보다 작다.

 

학명: Rumex acetosella

원산지: 유럽

분포지역: 한국(중부 이남)

서식장소/자생지: 길가나 빈터

크기: 높이 20∼50cm

 

유럽이 원산지이다. 길가나 빈터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번식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가 20∼50cm이고 털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모가 난 세로줄이 있고 자줏빛이 돌며 잎과 더불어 신맛이 난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잎자루가 길며 창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에 귀 같은 돌기가 좌우로 퍼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뿌리에서 나온 잎과 모양이 같으나 크기가 작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5∼6월에 붉은빛이 도는 녹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은 지름이 3mm이고 꽃받침조각과 수술이 각각 6개이다. 암꽃은 수꽃보다 작고 꽃받침조각이 6개이며 암술이 1개이고 3개로 갈라진 암술대와 잘게 갈라진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는 수과이고 길이 2mm의 타원 모양이며 갈색이고 3개의 모가 난 줄이 있다. 연한 줄기와 잎은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잎과 줄기를 소산모(小酸模)라는 약재로 쓰는데, 항암 효과가 있으며, 폐결핵으로 인한 각혈에 지혈 효과가 있다. 수영과 비슷하지만 작기 때문에 애기수영이라 한다. 귀화식물로 한국에서는 중부 지방 이남에 널리 퍼져 있다.

출처: 애기수영 (두산백과)

 

 

 

 

몸에 좋은 산야초

애기수영

 

학명: Rumex acetosella L.

생약명: 산모근(酸模根), 당약(當藥), 산탕채(酸湯菜), 산대황(山大黃)

개화기: 5~6월

분포: 한국(중부 이남의 지역), 유럽지방

 

1. 특징

많은 뿌리줄기가 사방으로 뻗어나가며 빠른 속도로 증식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줄기는 가늘게 곧게 서서 높이 45cm 정도에 이르며 많은 가지를 친다.이른봄에 자라나는 잎은 땅거죽에 뭉치며 기다란 잎자루를 가지는데 줄기에서 나는 잎은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며 잎자루는 짧다. 잎의 생김새는 피침 꼴이고 밑동 좌우가 날개와 같이 뻗어 있어 갈라진 창(槍)과 같은 모습으로 보인다. 꽃잎을 가지지 않은 작은 꽃이 가지 끝에 이삭 모양으로 모여 핀다. 꽃의 크기는 3~4mm로서 푸른빛을 띤 붉은 색으로 핀다.

 

2. 분포

원래 유럽지방에 나는 풀인데 우리나라에 귀화한 것이다. 중부 이남의 지역에 주로 나며 길가의 풀밭에서 볼 수 있다

 

3. 약용법

생약명: 산모근(酸模根). 당약(當藥), 산탕채(酸湯菜), 산대황(山大黃)이라고도 한다.

사용부위: 뿌리를 약재로 쓴다. 수영(Rumex acetosa L.)의 뿌리와 함께 쓰는 경우가 많다.

채취와 조제: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잘 말린다. 쓰기에 앞서서 잘게 썬다.

성분: 수영의 함유 성분에 대해서는 자세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애기수영은 밝혀진 것이 아직 없다.

약효: 이뇨, 해열, 지갈의 효능이 있다. 적용질환은 방광결석, 토혈, 혈변,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세 등이다. 또한 종기와 옴의 치료약으로도 쓰인다.

용법: 말린 약재를 1회에 3~6g씩 200cc의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종기와 옴에는 생뿌리를 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출처: 애기수영 (몸에 좋은 산야초, 2009.11.15, (주)넥서스)

 

 

 

 

브리태니커

수영류 [sorrel]

 

마디풀과(―科 Polygonaceae)에 속하는 내한성이 있는 다년생초.

온대지역에 널리 자란다. 애기수영(Rumex acetosella)은 유럽이 원산지로 북아메리카에 널리 퍼져 자란다. 보기에는 아름답지만 목초지와 풀로 덮인 사면뿐 아니라 잔디밭과 정원에도 침입하여 자라는 성가신 잡초이다.

 

퍼져 있는 뿌리줄기에서 싹이 나와 자라고, 신맛이 나는 잎은 가느다랗고 삼각형처럼 생겼다. 꽃은 작고 노란색 또는 붉은색이다.

 애기수영의 자극적이고 신맛이 나는 잎은 채소로 쓰이며, 오믈렛·소스의 맛을 내거나 소럴크림스프의 주 재료로도 쓰인다. 어린 잎으로는 샐러드를 만든다.

 

수영(R. acetosa)과 루멕스 스쿠타투스(R. scutatus)는 서로 비슷한 식물로 둘 다 유럽과 아시아 전역에서 자라는 내한성이 있는 다년생식물이다. 수영도 애기수영처럼 북아메리카에 귀화식물로 자라고 있다. 영어로 'wood sorrel'이라고 하는 괭이밥류 는 괭이밥속(─屬 Oxalis) 식물을 가리킨다.

 

한국에는 애기수영이 유럽에서 건너와 중부 이남의 양지바른 곳에 자라며, 수영은 전국의 산이나 들의 풀밭에 자란다. 이와 비슷한 식물인 토대황(R. aquatcca)은 북한의 깊은 산속의 냇가에서 볼 수 있다.

출처: 식물 |브리태니커]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돌콩님, 예솔님, 모든님, 노중현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노인장대님, 靑山裏碧溪水님, 이상철(총무님),

 

 

마디풀과(Polygon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소리쟁이 | 식물도감(植物圖鑑)

애기수영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싱아속  (0) 2014.11.05
시베리아여뀌  (0) 2014.11.05
멧수영  (0) 2014.11.04
참소리쟁이  (0) 2014.11.04
좀소리쟁이  (0) 2014.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