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좀돌팥

호남인1 2014. 10. 5. 06:16

 

 

 

 

 

좀돌팥

 

학명: Vigna nakashimae (Ohwi) Ohwi &H.Ohashi

이명: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이판화아강 > 장미목 > 콩과 > 동부속

원산지: /분포: 한국(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인디아(인도), 일본, 중국 /서식: 들판 /크기:

생약명:

 

한해살이풀

새팥(V. angularis var. nipponensis)에 비해 잎 가장자리에 거치가 없고 폭이 좁으며, 소포는 악보다 짧고 꽃줄기에 털이 없어 구별된다. 또한 씨의 제는 위로 향하고 흰색을 띤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좀돌팥 /미기록종

 

 

-------------------------------------------------------------

학명: Vigna nakashimae (Ohwi) Ohwi &H.Ohashi

이명: Vigna nakashimae (Ohwi) Ohwi &H.Ohashi,Phaseolus nakashimae Ohwi,Azukia nakashimae (Ohwi) Ohwi

출판: Jap. Bot. 44: 30 (1969)

참고문헌

1)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2) 한국쌍자엽식물지(초본편) (박만규, 1974)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좀돌팥

 

학명: Vigna minima (Roxb.) Ohwi &H. Ohashi

 

개요

전국의 들판에 자라는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해외에는 인디아(인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양면에 거센 털이 있다. 턱잎은 피침형으로 길이 4mm쯤이다. 꽃은 8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부리는 길이 10mm쯤이다. 열매는 협과, 길이 3.5-6.5cm, 흑갈색 씨가 4-8개 들어 있다.1)

 

다른 학명

Phaseolus minimus Roxb.2)

 

국내분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3)

 

해외분포

인디아(인도), 일본, 중국4)

 

서식지/생육지

들판5)

 

형태

줄기는 덩굴성이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3장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 잎은 난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2-7cm, 폭 0.5-3.0cm, 변이가 심하며, 양면에 거센 털이 있다. 턱잎은 피침형으로 길이 4mm쯤이다. 꽃은 노란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부리는 길이 10mm쯤이다. 열매는 협과, 길이 3.5-6.5cm, 폭 0.4cm, 흑갈색 씨가 4-8개가 들어 있다.6)

 

생태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8월에 피고 열매는 9월에 익는다.7)

 

이용 및 활용

열매는 식용한다.8)

 

해설

새팥(V. angularis var. nipponensis)에 비해 잎 가장자리에 거치가 없고 폭이 좁으며, 소포는 악보다 짧고 꽃줄기에 털이 없어 구별된다. 또한 씨의 제는 위로 향하고 흰색을 띤다.9)

출처: 좀돌팥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좀돌팥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걸쳐 분포하며 볕이 잘드는 저지대에 주로 서식하고 새팥보다 흔하게 나타나는 일년생 덩굴식물이다.

 

잎은 어긋나며 3출엽이고 소엽은 난형에서 피침형까지 변이가

심하다.꽃은 8월에 황색으로 피며 업액에서 긴 화경이 나와 2~5개의 꽃이 달린다.

소포는 악(꽃받침)보다 짧으며 9월경에 성숙하는 종자는 주로 흑갈색으로 반점이 있으며 제가 뚜렷하게 위로 두드러진다.

 

새팥과 좀돌팥은 생육형과 분포가 비슷하여 외관상 동일 분류군으로 여겨지나 자세히 관찰을 하면 소포의 길이와 엽형, 종자의 제모양 및 줄기의 안토시아닌 색소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좀돌팥  ( Vigna nakashimae )은 엽연(잎가장자리)에 결각이 없고 새팥에 비하여 엽형이 좁으며 협난형에서 피침형에 가깝고 배축 및 엽병, 화경에 안토시아닌 색소를 띄고 있다.

소포는 악보다 짧으며 화서에 털이 없고, 종자의 제는 뚜렷하게 위로 두드러지며 희색을 띈다.

 

식물체로 구분이 어려울 때 종자의 제는 두 분류군을 동정할 수 있는 중요한 형질이 되고 있다.

협과도 좀돌팥의 경우 길이가 짧으며(37.0~55.4mm, 새팥은 43.4~76.5mm)종자 수(좀돌팥 5~11협과, 새팥은 7~13협과)가 적은 경향이 있다.

 

새팥 ( Vigna angularis var. nipponensis)은 엽연에 결각이 있거나 없으며 엽형은 난형에서 협난형이고, 소포는 악보다 길거나 같고 화서에 털이 있거나 없다.

종자의 제는 가늘고 긴 일자형이다.

자료출처 : 콩과 동부속 새팥과 좀돌팥의 동정 및 학명 표기 (농업생명공헉연구원, 유전자과 이정란외4명, 2006년9월)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구암리님, lailaps/경희님, 별꽃/민경화님, 김기훈님,

 

 

콩과(Leguminosae) | 식물도감(植物圖鑑)

동부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좀돌팥 - 포토 | 한국미인( 韓國美人)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둑놈의갈고리속  (0) 2014.10.05
돌콩속  (0) 2014.10.05
새팥  (0) 2014.10.05
덩굴팥  (0) 2014.10.04
  (0) 2014.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