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루오줌
학명: Astilbe rubra Hook.f. &Thomson var. rubra
이명 Astilbe chinensis (Maxim.) Maxim. ex Franch. &Sav.)
이명: 큰노루오줌, 왕노루오줌, 노루풀 /영명: /꽃말: 기약 없는 사랑, 붉은 설화, 정열, 연정)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장미목 >범의귀과 > 노루오줌속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의 산지 /서식: 산지의 냇가나 습한 곳 /크기: 약 30cm~70cm
생약명: 全草(전초)는 小升麻(소승마), 根莖(근경)은 赤升麻(적승마)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
범의귓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70cm이고 긴 갈색 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2~5회 세 갈래로 갈라진다. 7~8월에 분홍색의 잔꽃이 원추(圓錐) 화서로 줄기 끝에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는다. 어린순은 식용하고 식물 전체는 약용한다. 산에 자라는데 우리나라 각지와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호생하고 3개씩 2-3회 갈라지며 엽병은 길고 정소엽은 긴 난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짧은 예두이며 둔저 또는 심장저에 가깝고 가장자리에 복거치 또는 결각상의 톱니가 있으며 소엽은 길이 2-8㎝, 폭 1-4㎝로서 종이같이 얇다.
삭과는 길이 3-4mm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홍자색이며 줄기끝에 원추화서를 이룬다. 화서는 길이 30cm정도로서 많은 꽃이 달리며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이며 꽃잎은 5개로서 선형이고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높이 30-70cm이고 줄기가 직립하며, 긴 갈색털이 있다.
근경은 옆으로 짧게 뻗어 있다.
전국의 산지에 분포한다.
▶전국 산야 물가나 습지에서 자란다.
▶토양은 배수가 양호하고 부식질이 있는 사질양토가 적합하다. 양지성 식물로 햇볕이 잘 들거나 최소 40% 미만의 차광상태이어야 하지만 하루중 햇볕이 4시간 정도 비춰지면 성장에 무리가 없다.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자란다.
광선: 양생 /내한설: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토양은 보습성이 좋은 식양토를 사용하며 부엽을 충분히 혼합하는 것도 좋다. 적당한 시비관리는 식물체를 강건하게 하고 개화도 좋게 한다. 시비는 완숙퇴비를 시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재배적지
1. 하루중 햇볕이 4시간 정도 비춰지면 성장에 무리가 없다. 노지에 식재하여도 좋다. 고수부지와 같은 바람과 햇볕이 하루종일 비추는 장소에서는 잎의 마름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2. 토양은 어떠한 곳이라도 적응성이 뛰어난 편이지만 천근성 뿌리를 가지므로 관리와 시비(거름주기) 등을 고려하여 식재하여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배수가 잘되는 토양에서 생육이 좋지만 내습성이 있어서 습지 주변에 식재하여도 잘 자란다
▶거름주기 및 관리
1. 토양은 경작지에서 식재시 배수가 잘되고 부식질이 있는 사질양토가 적합하며 식재거리는 30-40㎝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햇볕이 잘 들거나 최소한 40% 미만의 차광상태여야 한다. 경사는 15도 미만의 완경사지가 좋으며, 평지에서는 대단히 적응성이 높다. 노지에서 월동하고 16-30℃에서 잘 생육한다. 거름주기는 완숙퇴비를 늦가을에 충분히 주면 다음해 성장이 좋고 꽃도 크게 핀다. 시비시기는 식재 전에 완숙퇴비를 10a당 1,000㎏정도 주고, 식재 후에는 2-3월초에 새싹이 올라오기 전 완숙퇴비나 Mix토양을 뿌려준다. 시비량을 전년도 성장에 따라서 가감하는데, 보통 10a당 500-1,000㎏정도를 뿌려 준다.
파종기: 4월, 10월, 11월 /이식기: 4월, 9월, 10월, 11월 /결실기: 9월, 10월, 11월 삽목기: 5월, 6월, 7월
▶조경용 군식재 지피식물로 적당하다.
▶全草(전초)는 小升麻(소승마), 根莖(근경)은 赤升麻(적승마)라 하며 약용한다.
⑴小升麻(소승마)
①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근경에는 bergenin이 함유되어 있고 전초에는 cyan 化水素酸(화수소산), 꽃에는 quercet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祛風(거풍), 淸熱(청열), 止咳(지해)의 효능이 있다. 風熱感冒(풍열감모), 頭身疼痛(두신동통), 咳嗽(해수)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24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가서 복용한다.
⑵赤升麻(적승마)
①여름, 가을철에 채취하여 수염뿌리, 인편, 융모 등을 제거하고 신선한 것을 쓰거나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분, tannin, berbenin이 함유되어 있는데 근경의 bergenin함유량은 1% 이상이다.
③약효 : 活血(활혈), 祛瘀(거어), 淸熱(청열), 해독, 鎭痙(진경),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과도의 勞傷(노상), 筋骨酸痛(근골산통), 타박상, 관절통, 위통, 手術後疼痛(수술후동통), 蛇咬傷(사교상) 등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증식이 비교적 쉬운편이며 대량 집단적으로 조성하면 새로운 분위기를 창출할 수 있는 소재로서 개발의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유사종
▶진퍼리노루오줌(A. divaricata NAK.) ; 제1차 우편의 소엽병과 엽축의 각이 90˚또는 둔각이며 광릉 및 함북에서 자란다.
▶숙은노루오줌(A. koreana NAK.): 노루오줌과 비슷하나 화서가 처진다.
속명 Astilbe는 희랍어 a(無(무))와 stilbe(윤채)의 합성어이며 Aruncus속에 비하여 잎에 윤채가 없음을 나타낸다.
▶병해: 토양건조시 흰가루병 발생. 응애.
▶흰가루병: 지오판수화제 또는 사프롤유재 1,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살포한다.
▶응애: 벤조메유제, 테디온유제 1,000배액을 한 잎당 3-4마리가 발생하였을때 살포하면 된다.
노루오줌
학명: Astilbe rubra Hook. f. &Thomson var. rubra
크기: 60cm
용도: 관상용
개화시기: 7월~8월
생육특성
노루오줌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산지의 숲 아래나 습기와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키는 60㎝ 내외이고, 잎은 넓은 타원형으로 끝이 길게 뾰족하며, 잎 가장자리가 깊게 패어 들고 톱니가 있으며 잎의 길이는 2~8㎝이다.
꽃은 연한 분홍색으로 길이가 25~30㎝ 정도이다. 열매는 9~10월에 달리며 갈색으로 변한 열매 안은 미세한 종자들이 많이 들어있다. 이 품종은 뿌리를 캐어 들면 오줌 냄새와 비슷한 냄새가 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외국에서는 많은 품종들이 육종되어 “아스틸베(Astilbe)”라 하여 절화식물로 이용된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순은 식용, 뿌리를 포함한 전초와 꽃은 약용으로 이용된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가을이나 봄에 포기나누기를 하여 수를 늘리는 방법이 있고, 9~10월경에 달리는 작은 종자를 모아서 종이에 싸서 냉장보관하였다가 이듬해 2월경 화분에 뿌리는 방법도 있다. 종자는 꽃송이마다 열려 숫자는 많지만 싹이 트는 것이 적기 때문에 뿌릴 때 가능하면 많이 뿌리는 것이 좋다.
관리법 : 화분이나 화단에 심는다. 물기가 많은 곳이나 마른 곳 어디에 심어도 좋은 품종이다. 하지만 물기가 많이 없으면 잎이 타는 현상이 생기기 때문에 마른 땅에서는 매일 물을 줘야 한다.
출처: 노루오줌 (야생화도감(여름), 2010.6.28, 푸른행복)
산이나 들의 냇가 또는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잎은 3~5개의 잔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잔잎의 가장자리는 아주 잔 톱니 모양이다. 꽃은 7~8월에 홍자색으로 피는데 원추(圓錐) 꽃차례로 무리지어 핀다.
이름의 유래에 대한 설이 많다. 그중 뿌리에서 노루 오줌 냄새가 나서 붙었다는 설과 노루가 자주 오는 물가에서 많이 보여 그렇게 지었다는 두 설이 지배적이다.그렇지만 특별하게 지린내가 나지는 않는다.
산골짜기의 냇가나 습한 곳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키는 약 40-70센티미터이고, 줄기에는 긴 갈색 털이 나 있다. 잎은 겹잎으로 2-3번 갈라져 세 장으로 된 잔잎이 2-3장 달려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잔잎은 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는 아주 작은 톱니가 있다. 꽃은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을 띠며, 7-8월에 원줄기 끝에서 원추꽃차례로 무리 지어 핀다. 열매는 씨방이 여러 개이며, 익으면 말라서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다.
한방에서 전초를 ‘소승마’, 뿌리를 ‘적승마’라 하여 약으로 쓴다. 소승마는 해열, 두통 등에 쓰고, 적승마는 타박상 등에 쓴다. 전초를 술로 담가 먹기도 하고,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김경식님, 촌부(조재근)님, narjagodori/김명원님, 산악인(강재성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三木님,
범의귀과(Saxifrag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1.11 20:37
노루오줌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7.02 16:37
노루오줌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1.05.20 22:09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숙은노루오줌 (0) | 2014.07.03 |
---|---|
숙은노루오줌 (0) | 2014.07.03 |
노루오줌속 (0) | 2014.07.02 |
나도승마 (0) | 2014.07.02 |
까치밥나무 (0) | 2014.07.02 |